• 제목/요약/키워드: fruiting bodies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9초

Antioxidant and inflammation inhibitory effects from fruiting body extracts of Ganoderma applanatum

  • Im, Kyung Hoan;Choi, Jaehyuk;Baek, Seung A;Lee, Tae So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1-271
    • /
    • 2021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ME) and hot water extracts (HE) from the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applanatum were investigat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0 mg/mL ME (94.83%) was comparable to tha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96.97%), the reference standard.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 and HE were similar to that of BHT at 2.0 mg/mL, whereas lipid peroxidation activity of the ME and H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showed that the G. applanatum fruiting bodies contained nine phenolic compounds, which might contribute t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survival rate of RAW 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2.0 mg/mL ME and HE were 65.23 to 68.12% at 2.0 mg/mL, thereby indicating that the extracts were slightly cytotoxic at the concentration tested. The extracts also inhibited the nitric oxide (NO)-mediat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and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in rat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ruiting bodies of G. applanatum possessed goo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hich might be used to develop novel anti-inflammatory agents.

LED 혼합광이 표고 '농진고' 자실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LED light sources on the fruiting body growth of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Nongjingo')

  • 박윤진;오태석;조용구;김창호;김태권;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3
    • /
    • 2017
  • 표고 '농진고'를 LED 혼합광에 따른 갓의 색차 및 경도차를 확인한 결과 갓의 명도값은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혼합광 처리구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형광등 처리구에 비해 처리구 모두 높아졌고, 황색도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광원별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형광등 대조구 대비 처리구 모두에서 갓직경이 컸으며, 자실체들에 대한 균일도는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를 사용하였을 경우 낮은 값을 나타내어 형광등을 처리하는 것보다 균일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직경은 처리구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White Green LED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길이는 형광등 처리구보다 LED처리구 모두에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갓직경과 대길이의 비를 조사한 결과 White Green LED을 제외한 White LED와 White Blue LED에서 형광등 처리구 대비 높은 값을 나타내어 대길이에 비해 갓의 직경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실체 물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한 결과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LED 처리는 White LED처리에서 가장 큰 항산화능을 확인하였고 White Green LED, White Blue LED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ED처리는 Vitamin C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White LED와 White Blue 처리가 표고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광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망태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β-glucan, and amino acid contents of Phallus indusiatus)

  • 안기홍;조재한;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망태버섯의 성숙한 자실체(fruiting body)와 균모와 자루가 돌출하기 전의 에그(egg)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 중에서 항산화 활성과 베타글루칸 함량,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방법 별로 열풍 건조한 시료와 동결 건조한 시료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망태버섯의 에그의 열풍건조 후 열수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59.4%와 15.6%로 자실체 추출물 시료에 비하여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도 역시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열수추출물에서 8.25 mg GAE/g의 함량치를 가장 높았다.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45.9%로 나타나 자실체 및 동결건조 시료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시료로부터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망태버섯 에그 건조시료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자실체의 건조시료 함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에서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인 아미노산 성분은 비필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Cys)으로 에그에서는 205.6 mg/kg의 함량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높은 성분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과 비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 이었다. 본 연구의 야생 식용버섯으로 잘 알려진 망태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은 열풍건조에 의한 건조시료로부터 추출하였을 경우 효능이 더 높았으며,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망태버섯의 자실체에 비하여 에그의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배형 분석을 활용한 표고 교배균주 육성 및 자실체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Fruiting Bodies Formed by Mono-mono Hybridization Using Mating Type Analysis)

  • 장영선;박미정;김은진;김민준;정연석;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9-39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교배형 분석을 활용하여 표고의 교배균주를 육성하고 그로부터 발생한 자실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핵균주 분리에는 산백향과 청흥1호 품종을 이용하였는데, 산백향은 버섯으로부터 100여개의 단포자를 분리하였으며, 청흥1호는 원형질체 분리 및 재생과정을 통해 단핵균주를 얻었다. 이렇게 얻는 단핵균주는 우선 교배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배 가능한 조합을 확인하고 총 60개의 균주를 교배하였다. 톱밥재배는 2 kg 사각블럭배지를 이용하였으며, 배양 120일 후에 버섯 발생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60균주의 교배성공률은 100%에 이르렀으며, 그 중 55개인 91.7%의 균주에서 버섯이 발생하였다. 모든 균주에서 정상적인 버섯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10개 균주에서는 주름살을 온전하게 형성하지 않는 기형버섯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버섯의 형태적인 특성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배모본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국내 노루궁뎅이버섯 야생수집균주의 자실체 특성 및 유전적 다양성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wild-type collections of Hericium erinaceus in Korea)

  • 박순애;김자윤;임선화;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4-90
    • /
    • 2020
  • 국내의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한 19 야생버섯균주를 이용하여 배지조성인 참나무 톱밥과 밀기울을 부피비율 7:3으로 병재배 650 g/1,100 ml에서 자실체를 생산하였다, 시험한 19균주중 14균주가 원기를 형성하였으며 자실체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대조품종 노루1, 2호의 병당 75 g보다 KFRI349, KFRI1091, KFRI1093은 병당 120 g 이상으로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었다. 자실체 색형은 백색과 핑크색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침의 형태에 따라 고드름형과 산호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SEM)에 의한 노루궁뎅이버섯의 담자기, 포자, 침의 형태를 포함한 자실체 미세구조를 관찰 하였으며 UFP-PCR분석으로 균주간의 PCR다형성밴드가 검출되어 4 그룹으로 분류 할 수 있었으며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 이용국;김민경;윤봉식;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35-47
    • /
    • 2019
  • 간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은 PDA와 YMA에서 균사의 밀도와 생장량이 양호하였으나, MEA에서는 균사 생장량과 속도가 저조하였다. 배양 기간 중 광(光)조사는 균사체의 색소 형성과 균사체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간버섯은 병 재배와 봉지 재배 모두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었고 종균 배양과 재배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배지 원료는 참나무톱밥으로 밝혀졌다. 톱밥배지를 사용한 인공재배에서 자실체의 발생은 15일째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자실체 원기가 생장하였으며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5일 정도 빠르게 형성되었다. 버섯 발생 40~45일째에는 성숙한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고, 생육실의 상대습도가 낮은 편이 버섯 발생과 생육에 유리하였다. 인공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간버섯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과 야생 간버섯 자실체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505㎍/㎖, 515㎍/㎖의 농도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봉지 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활성 2,000㎍/㎖ 농도 이상의 IC50값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버섯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간버섯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이 IC50값 154.5㎍/㎖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버섯 methanol 추출물은 동일 농도(10mg/㎖)에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야생 간버섯 자실체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Armillaria mellea on Oak Sawdust Medium Covered with Ground Raw Carrots

  • Shim, Jae-Ouk;Chang, Kwang-Choon;Lee, Youn-Su;Park, Cheol-Ho;Kim, Hey-Young;Lee, U-Youn;Lee, Tae-Soo;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06-208
    • /
    • 2006
  • To produce an artificial fruiting body of Armillaria mellea on the oak sawdust medium, seven strains of A. mellea were used. The top surface of oak sawdust medium covered with ground raw carrot was inoculated with each of 7 strains and cultur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A. mellea completely colonized the medium from top to bottom. Then, the mycelia which were fully cover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dium were scratched slightly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the 7 strains of A. mellea were transferred to the growth chamber under the illumination (350 lux) of 12 hours and relative humidity of $85{\pm}5%$ in a day and then cultured at $16{\pm}1^{\circ}C$. Only A. mellea IUM 949 could form primordia on the sawdust medium, but the other strains did not make primordia at the same condition. The primordia of A. mellea IUM 949 were formed 10 days after complete colonization of the medium and the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7 days after a primordial form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ed that IUM 949 strain might be a good candidate for mass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of A. mellea.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송이감염묘로부터 발생한 송이 확인 (Confirmation of Fruiting Bodies of Tricholoma matsutake Occurring from Matsutake-infected Pine Tre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가강현;김희수;이제완;장영선;유림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69-476
    • /
    • 2021
  • 송이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야생 식용 버섯이다. 현재까지 송이 재배는 송이감염묘를 이용한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2020년 송이감염묘로부터 21개의 송이가 홍천 송이시험지에서 발생하였다. 송이감염묘 생산지역의 송이와 이식한 송이감염묘로부터 발생한 송이는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였고, 13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동일한 것이 확인되었다. 송이감염묘는 송이균환 형성과 송이 발생에 성공하였고, 송이발생은 2010년과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송이 버섯발생은 송이감염묘의 송이균에서 기원한 것이다.

Phellinus linteus KACC 93057P, '한경상황버섯'인공재배 자실체 페놀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화학적 동정 (Chemical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ankyong Sanghwang', Phellinus linteus KACC 93057P)

  • 민경진;정이은;윤봉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1-317
    • /
    • 2018
  • 참나무 단목원목으로 재배한 P. linteus KACC93057P(PLHS)2년산 자실체 60%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19.05{\pm}0.32mg\;GAE/g$로 다른 비교구 버섯 종에 비하여 4배에서 10배이상의 높게 나타났다. $125{\mu}g/mL$농도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62%와 100%를 나타냈으며 FRAP 환원력은 $0.7{\mu}MFeSO_4/g$으로 비교 구 버섯종 보다 2에서 10배이상의 유효활성이 검출 되었다. PLHS 자실체 ethyl acetate분배 추출물의 HPLC분석에서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 davallialactone, hispidin, hypholomine B와 phenylpropanoid 계열의 화합물인 caffeic acid가 동정 되었다.

Neuraminidase Inhibitors from the Fruiting Body of Glaziella splendens

  • Kim, Ji-Yul;Woo, E-Eum;Ha, Lee Su;Ki, Dae-Won;Lee, In-Kyoung;Yun, Bong-Sik
    • Mycobiology
    • /
    • 제47권2호
    • /
    • pp.256-260
    • /
    • 2019
  • Neuraminidase (NA) cleaves the glycosidic bond linkages of sialic acids to release the mature virions from infected cells and has been an attractive therapeutic target for anti-influenza agents. In our ongoing investigation of NA inhibitors in mushroom extracts, we found that the extract the fruiting body of Glaziella splendens potently inhibited neuraminidase. The fruiting bodies of G. splendens were extracted and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ethyl acetate soluble-layer was subjected to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and MPLC to obtain five compounds (1-5).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thods. NA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evaluated using NAs from recombinant rvH1N1, H3N2, and H5N1 influenza A viruses. One compound (1) was elucidated as a new azaphilone derivative, and four compounds (2-5) were identified as entonaemin A, comazaphilone D, rubiginosin A, and entonaemin B, respectively. Compounds 3 and 4 showed considerabl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ree types of neuraminidases with the $IC_{50}$ values of 30.9, 41.8, and $35.7{\mu}M$ for 3 and 46.5, 50.4, and $29.9{\mu}M$ for 4, respective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ruiting bodies of G. splendens possess azaphilone derivatives with the NA inhibitory activit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of neuraminidase inhibitors from the fruiting bodies of G. splend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