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ro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7초

저장온도가 소과종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Hivita Yellow' & 'Hivita Red')의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Mini Paprika, (Capsicum annuum L. 'Hivita Yellow' & 'Hivita Red') Fruits)

  • 오주열;김도한;송환준;임채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8
    • /
    • 2012
  • 미니파프리카의 저장 후 수분손실과 경도변화로 인한 상품과실의 감소는 여름재배에서 주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니파프리카('하이비타 엘로우'와 '하이비타 레드')의 저장기간에 따른 적정 저장온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미니파프리카의 저장온도 시험에서 경도변화는 $8^{\circ}C$에서 저장한 것 보다 $20^{\circ}C$에 저장한 것이 변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비타 엘로우의 경우 5일 저장 후 $20^{\circ}C$에서 경도가 $99.6g/cm^2$이었으며, 40일 저장은 $73.0g/cm^2$로 5일 처리와 비교할 때 $26.6g/cm^2$의 차이가 있는데 반하여 $8^{\circ}C$ 저장은 $109.7g/cm^2$에서 $92.7g/cm^2$으로 $17.0g/cm^2$ 의 차이가 나타나 $8^{\circ}C$에서 경도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당 함량은 두 품종 모두 4, 8, $12^{\circ}C$ 보다 $2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과실의 부패와 수분손실에 의한 과피주름짐 현상도 $20^{\circ}C$에서 높았다. 공기조성 변화는 $20^{\circ}C$ 처리구에서 $CO_2$ 함량이 높고 $O_2$ 함량이 낮았다.

대목 및 질소비료의 시용량이 접목 토마토의 생장, 뿌리 썩음병의 이병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stocks and Nitrogen Levels on Plant Growth, Infection of Root Rot Fusarium wilt Disease, and Fruit Quality in the Grafted-Tomato Plants)

  • 정희돈;윤선주;최영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6-71
    • /
    • 1997
  • 우리나라에서 토마토재배는$^{10)}$ 94.7%가 시설재배를 하고 있는데 연작에 따른 각종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 연작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장해 또는 병충해의 만연$^{8)}$ 이 있으나 가장 치명적인 것이 뿌리썩음시들음병(근부위조병, Fusarium oxyporum Schl. f. sp. lycopersici Snyder et Honsen, race J$_3$)으로 한번 발병하면 방제가 되지 않는다. (중략)

  • PDF

박과류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발생분포 및 분리병원균의 병원성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Monosporascus Root Rot and Pathogenicity of Monosporascus cannonballus on Cucurbitaceae Plants)

  • 허노열;류경열;현익화;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11-15
    • /
    • 2001
  • 최근 박과류 재배 주산단지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검은점뿌리썩음병의 방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지역적인 발생분포와 발생소장을 조사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Monosporascus cannonballus 에 의한 검은점뿌리썩음병은 멜론, 참외, 수박 및 오이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생포장 수는 \\`97년 10개 포장에서 \\`98년 32개 포장으로 확대되었고, 발생지역은 김해, 진주, 남해, 광양, 광주, 여주, 이천 등이었다. 경남 남해 멜론 재배포장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생육중기까지는 발병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과실 성숙기에 급격히 발병이 증가하여 50%이상의 식물체 덩굴이 시들어 고사하였다. 시들은 증상을 나타내는 기주에서 M. cannonballus의 분리비율은 36.7%이었고,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도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물한천 시험관법에 의한 박과류 유묘에 대한 병원성은 접종후 7∼14일 사이에 대부분의 식물체가 시들고 21일후에는 뿌리에 자낭각이 형성되었다. 특히 오이품종 중에서 백봉과 은화는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Musa sapientum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4-57
    • /
    • 2007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 동안 경남 진주시 농산물 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바나나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난 부위의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검은색으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6\;{\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3{\sim}195\;{\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2{\sim}12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9{\sim}20{\times}7{\sim}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바나나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oles of Ascospores and Arthroconidia of Xylogone ganodermophthora in Development of Yellow Rot in Cultivated Mushroom, Ganoderma lucidum

  • Kang, Hyo-Jung;Chang, Who-Bong;Yun, Sung-Hwan;Lee, Y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38-147
    • /
    • 2011
  • Xylogone ganodermophthora, an ascomycetous fungus, is known to cause yellow rot in the cultivated mushroom Ganoderma lucidu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semination of this fungal pathogen in G. lucidum grown in cultivation houses. To determine the role of ascospores produced by X. ganodermophthora in disease development, we constructed a green fluorescent protein-labeled transgenic strain. This X. ganodermophthora strain produced a number of ascomata in the tissues of oak logs on which G. lucidum had been grown and on the mushroom fruit bodies. However, the ascospores released from the ascomata were not able to germinate on water agar or potato dextrose agar. Moreover, less than 0.1% of the ascospores showed green fluorescence, indicating that most ascospores of X. ganodermophthora were not viable. To determine the manner in which X. ganodermophthora disseminates, diseased oak logs were either buried in isolated soil beds as soil-borne inocula or placed around soil beds as air-borne inocula. In addition, culture bottles in which G. lucidum mycelia had been grown were placed on each floor of a five-floor shelf near X. ganodermophthora inocula. One year after cultivation, yellow rot occurred in almost all of the oak logs in the soil beds, including those in beds without soil-borne inocula. In contrast, none of the G. lucidum in the culture bottles was infected, suggesting that dissemination of X. ganodermophthora can occur via the cultivation soil.

An Infection Model of Apple White Rot Based on Conidial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Botryosphaeria dothidea

  • Kim, Ki-Woo;Kim, Kyu-Rang;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22-327
    • /
    • 2005
  • Regression models for determining infection periods of apple white rot were developed based on conidial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Botryosphaeria dothidea. A total of 120 apple fruits were inoculated with the fungal conidial suspension and subjected to 6 temperatures and 10 wetness periods. Conidia germinated and produced appressoria, exhibiting swollen tips of germ tubes on the fruit surface. Conidial germination (G) increased with temperature (T) and wetness period (W), and was described as $G=-89.273+7.649T+7.056W-0.109T^{2}-0.085W^{2}-0.066TW(R^{2}=0.75)$. Less than 2 hr of wetness period were enough for conidia to germinate at 25 to $30^{\circ}C$. Effects of temperature and wetness period on appressorium formation (A) could be explained as $A=-1.540-2.375W+0.045W^{2}+0.213TW(R^{2}=0.77)$. The relationship between conidial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A_g$) was described as$A_g=0.381-0.227G+0.005G^{2}(R^{2}=0.67)$, suggesting that conidial germination may have to reach approximately $43.7\%$ to initiate appressorium formation.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for conidial germination and the criterion of $43.7\%$ conidial germination, an infection model was developed to determine infection periods based on temperature and wetness period. The infection model with the criterion of $43.7\%$ conidial germination was apparently more conservative than the appressorium formation model in determining possibility of apple infection. The infection model seemed sensitive to variable weather conditions, suggesting possible use of the model for timing fungicide sprays to control white rot of apples in practic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plodia parva and Diplodia crataegicola Causing Black Rot of Chinese Quince

  • Sungmun Kwon;Jungyeon Kim;Younmi Lee;Kotnala Balaraju;Yongho J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3호
    • /
    • pp.275-289
    • /
    • 2023
  • Fungal isolates from infected Chinese quince trees were found to cause black rot in Yeongcheon, Gyeongsangbuk Province, Korea. The quince leaves withered and turned reddish-brown and fruits underwent black mummification. To elucidate the cause of these symptoms, the pathogen was isolated from infected leaf and fruit tissues on potato dextrose agar and Levan media. Several fungal colonies forming a fluffy white or dark gray mycelium and two types of fungi forming an aerial white mycelium, growing widely at the edges, were isolated. Microscopic observations, investigation of fungal growth characteristics on various media,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using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β-tubulin,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genes were performed. The fungal pathogens were identified as Diplodia parva and Diplodia crataegicola.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pathogen-inoculated fruits exhibited a layered pattern, turning brown rotting; leaves showed circular brown necrotic lesions. The developed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 Fungal pathogens were reisolated to fulfill Koch's postulates. Apples were inoculated with fungal pathogens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Strong pathogenicity was evident in the fruits, with browning and rotting symptoms 3 days after inoculation. To determine pathogen control, a fungicidal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using four registered fungicides. Thiophanate-methyl, propineb, and tebuconazole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athoge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al pathogens D. parva and D. crataegicola from infected fruits and leaves of Chinese quince, causing black rot disease in Korea.

Detection of Rhizina undulata in Soil by Nested-PCR Using rDNA ITS-specific Primer

  • Lee, Sun Keun;Lee, Jong Kyu;Lee, Seung Kyu;Kim, Kyung Hee;Lee, Sang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85-590
    • /
    • 2007
  • Rhizina undulata is the fungus, which causes Rhizina root rot on coniferous trees. Nested-PCR using ITS-specific primer was applied to detect R. undulata from the soils of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l) forests infested with the disease in Seocheo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different sites, both dead trees and fruit bodies of R. undulata were present, dead trees only present, fruit bodies only present, and both were absent. Nested-PCR products specific to R. undulata ITS-region were amplified. Positive reactions were found in some samples from the sites, where dead trees and fruit bodies of R. undulata were absent as well as where both of those were present. R. undulata was mainly detected in the soil samples from the depth of 5~20 cm under the soil surfa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sted-PCR could be used to diagnose the presence or potential infestation of R. undulata in the soils of pine forests.

충북에서 사과 주요 토양병에 의한 고사율과 재배환경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Dieback Ratio and Cultivation Environment for Apple Orchards Infected by Soil-Borne Diseases in Chungbuk Province)

  • 이성희;권의석;신현만;김익제;남상영;홍의연;김대일;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49-55
    • /
    • 2017
  • 이전 연구에서 충북지방의 사과과수원에서 토양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율과 재배환경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자주날개무늬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율은 토양 내 칼슘 함량과 유의하게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흰날개무늬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율은 토양 내 유효 인산 함량과 유의하게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역병 피해 사과원 14개소에서는 사과나무 고사율과 재배환경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세분화한 재배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토양 내 칼슘함량 외에 과원 경사도와 착과수가 자주날개무늬병에 의한 고사율에 영향을 미쳤고, 토양 내 유효인산 함량 외에 칼슘 함량이 흰날개무늬병에 의한 고사율에 영향을 미쳤다. 과원경사도, 토성, 마그네슘과 칼슘 함량이 사과역병에 의한 고사율에 영향을 주었다. 이 결과는 사과과원의 재배법 변경에 의해 토양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율을 감소시키는 데 적용 가능할 것이다.

포도 '캠벨얼리'에서 유기칼슘제 수관살포에 의한 엽병과 과피의 무기성분 농도 및 과실품질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agent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of petiole, fruit skin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in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이영철;남기웅;구자준;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11
  • 포도 '캠벨얼리' 품종에서 유기칼슘제(ECa)를 수체살포하여 엽병과 과피의 칼슘농도, 과실품질 및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칼슘제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염화칼슘 0.4%, ECa 250X 및 MCa 500X 처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ECa 시기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개화 7일후 및 14일후 처리가 무처리 및 21일 후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함량은 500X 및 무처리에 비하여 250X 및 125X 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ECa 수체살포는 시기별, 농도별 과실품질 및 과방의 크기, 탄저병 및 열과 발생율은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할만한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