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ripening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초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2보(第2報)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2) Changes in hot-taste component-)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추숙(追熟)에 따른 변동(變動)을 측정(測定). 고찰(考察)하였다. (1) 추숙중(追熟中)의 각(各) stage의 sample을 진공동결건조(眞空凍結乾燥)하므로서 생리작용(生理作用)을 정지(停止)시켜 capsaicinoid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하였든 바 추숙(追熟)에 따라 줄곧 증가(增加)하였다. (2) capsaicin의 vanilly amine부(部)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을 고찰(考察)하기 위하여 추숙(追熟)에 따른 phenylalanine 함량(含量) 과 PAL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므로서 capsaicin이 추숙(追熱)에 따라 서서(徐徐)히 생성(生成)되어 최종대사산물(最終代謝産物)로서 축적(蓄積)되어 나가는 것으로 추정(推定) 할 수 있었다. (3) lignin 양물질(樣物質)은 추숙(追熟)에 따라 capsaicinoid와 한가지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4) polyphenol물질함량(物質含量)과 polyphenol 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상온구(常溫區)보다 저온구(低溫區)가 높았다.

  • PDF

국내 육성 품종 '청향' 포도의 숙도별 양조 적성 연구 (Study on Wine Qua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heonghyang' classified by Ripening Stage)

  • 이효영;전진아;박영식;이재형;권혜정;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5-449
    • /
    • 2016
  • In this study, Red pearl (4x) and MBA (2x) were crossed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00 to compare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a seedless kind of grape registered in 2009, by maturity. Fruit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were examined after the first racking and 300 days after fermentation during aging in manufacturing wine based on maturity categories of being immature, mature, and overmature after harvest between August 25 and 27, 2014. The soluble solid matter content did not differ between the first racking following manufacturing wine and during ripening, and the alcohol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was 12.9% for immature ones, 13.0% for mature ones, and 12.7% for overmature ones., The alcohol content decreased by appropriately 1.3% to 1.8% during ripening. The total acidity content was 0.9% for immature ones, 0.8% for mature ones, and 0.5% for overmature ones following the first racking and showed insignificant variations during ripening of 0.8%, 0.7%, and 0.5%, respectively, with wine made from mature ones showing proper acidity. The volatile acid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during ripening, showing insignificant variation by maturity; however, it decreased after ripening. The sensory evaluation detected differences in acidity of wine between mature and overmature gra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ur taste between immature and mature grapes; however, overmature ones had low levels of sour taste. Our results showed that mature wine had the best overall preference.

The use of SlAdh2 promoter as a novel fruit-specific promoter in transgenic tomato

  • Chung, Mi-Young;Naing, Aung Htay;Vrebalov, Julia;Shanmugam, Ashokraj;Lee, Do-Jin;Park, In Hwan;Kim, Chang Kil;Giovannon, Jame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72-178
    • /
    • 2020
  • Fruit-specific promo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of traits, such as fruit quality through genetic engineering. In tomato, the development of fruit-specific promoters was previously reported,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romoters involved in the fruit development stage.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tomato alcohol dehydrogenase 2 (SlAdh2) in various tissues of wild-type tomato (cv. Ailsa Craig). Our findings revealed that SlAdh2 expression levels were higher in the developing fruit than in the leaves, stems, and flowers. The ProSlAdh2 region, which is expressed at different stages of fruit development, was isolated from tomato genomic DNA. Following this, it was fused with a β-glucuronidase reporter gene (GUS) and introduced into wild-type tomato us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o evaluate promoter activity in the various tissues of transgenic tomato. The ProSlAdh2:GUS promoter exhibited strong activity in the fruit and weak activity in the stems, but displayed undetectable activity in the leaves and flowers. Interestingly, the promoter was active from the appearance of the green fruit (1 cm in size) to the well-ripened stage in transgenic tomatoes, indicating its suitability for transgene expression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ProSlAdh2 may serve as a potential fruit-specific promoter for genetic-based improvement of tomato fruit quality.

대추(Zyziphus jujuba)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당함량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of Five Different Jujube Cultivars)

  • 박영기;김재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9-546
    • /
    • 2016
  • 대추 품종별 미숙과와 성숙과의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당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과 당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즉, 대추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과실의 무게와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은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총페놀 함량 역시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추 품종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미숙과 복조품종의 항산화 활성(71.20%)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환원력은 미숙과 무등 품종이 가장 뛰어났다. 총페놀 함량과 비타민 C의 최대 함량은 각각 62.50 ㎍/g(무등, 미숙과) 그리고 2540.0 ㎎/ 100 g(보은, 성숙과)이었다. 항산화 활성과 유용성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과의 상관관계 r = 0.956으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대추를 식용으로 이용함에 있어 성숙과를 이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낸 결과를 보면 대추 미숙과의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 등이 성숙과보다 우수하여 약리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할 수 있으며, 크기나 무게 그리고 당도 등을 고려하면 성숙과는 식용으로 유용하여 용도별에 따른 수확시기의 결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토마토 (Solanum lycopersicum) 과육의 숙성정도에 따른 peptide:N-glycanase 발현 분석 (Characterization of peptide:N-glycanase from tomato (Solanum lycopersicum) fruits)

  • 위수진;박기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59-167
    • /
    • 2014
  •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생성된 단백질은 전사후 변형 과정을 통해 소포체와 골지체에서 당질화가 일어난다. 당질화된 당단백질은 접힘의 오류가 있는 경우를 비롯하여 식물의 분화 조절 등의 경우 당단백질이 분해되며, 이 때 PNGase에 의해 N-당사슬이 단백질의 아스파라긴산 잔기로부터 절단된다. 그러나 식물의 발달과 분화 과정에서 PNGase의 발현 조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기존에 보고된 유전적 정보를 활용하여 토마토의 잎에서 제조된 cDNA library에서 nested RT-PCR을 통하여 PNGase T의 유전자(GenBank Accession number KM401550)를 분리하였는데 이의 ORF는 1,767 bp, 588개의 이미노산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자량은 65.8 KDa이었다. PNGase T의 유전자는 토마토 과육에서 높은 수준으로 항시적으로 발현되었으며, 특히 녹색과보다는 오렌지색으로 숙성되는 과정에서 PNGase T의 전사체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발현 패턴은 토마토 과육에서 세포죽음의 과정에서 증가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metacaspase의 전사체 증가 페턴과 유사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에틸렌의 생합성 효소 중 노화관련 ACC synthase의 유전자 members (LeACS2, LeACS4, LeACS6)의 발현 패턴과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과육에서 PNGase T의 유전자 발현은 거대분자가 분해되는 시기에서 과육의 숙성과 노화 과정에서 특이적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고가의 의약용 재조합단백질의 면역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하여 식물체 유래의 당단백질의 탈당질화과정에서 PNGase T를 활용함으로써 식물생명공학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과실 선도유지 특성 및 포장기술 고찰 (Review of Quality Changes of Postharvest Fruits and Packaging Applications to Extend Their Shelf Life)

  • 이윤석;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5
    • /
    • 2006
  •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changes in current consumer demands and market trends for postharvest produces, the functional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packaging is becoming increasely significant. This paper focuses on the overview of important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status related to postharvest physiology and applications of the functional packaging materials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ruits after harvest. During postharvest treatment and storage periods, fresh fruits undergoes the ripening process in quality attributes of the fruit such as major changes of texture, color, and flavor. Major fruit packaging technologies are concerned with correct gas permeable film and functions of ethylene removal, antimicrobial, and antifogging substances to keep the effective freshness.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functional packaging in fresh produces were studied.

  • PDF

Enhancement of Virus-induced Gene Silencing in Tomato by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 Fu, Da-Qi;Zhu, Ben-Zhong;Zhu, Hong-Liang;Zhang, Hong-Xing;Xie, Yuan-Hong;Jiang, Wei-Bo;Zhao, Xiao-Dan;Luo, Yun-B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1호
    • /
    • pp.153-160
    • /
    • 2006
  •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is an attractive reverse-genetics tool for studying gene function in plants. We showed that silencing of a phytoene desaturase (PDS) gene is maintained throughout TRV-PDS-inoculated tomato plants as well as in their flowers and fruit and is enhanced by low temperature ($15^{\circ}C$) and low humidity (30%). RT-PCR analysis of the PDS gene revealed a dramatic reduction in the level of PDS mRNA in leaves, flowers and fruits. Silencing of PDS results in the accumulation of phytoene, the desaturase substrate. In addition,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hlorophyll in the leaves of PDS-silenced plants was reduced by more than 90%. We also silenced the LeEIN2 gene by infecting seedlings, and this suppressed fruit ripenning. We conclude that this VIGS approach should facilitate large-scale functional analysis of gen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ripening of tomato.

The Responses of Yukbo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Fruit to Nitric Oxide

  • Eum, Hyang-Lan;Lee, Seung-K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123-126
    • /
    • 2007
  • The quality of Yukbo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fruit declines rapidly after harvest.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nitric oxide (NO) on its respiration rate, quality, and shelf life. Strawberries were fumigated for 5 hr at 0, 50, 100, 200, or $500\;{\mu}L/L$ NO atmosphers, followed by a hold at $18^{\circ}C$ in air. Treatment with NO delayed the onset of ethylene production ad reduced respiration, which at $18^{\circ}C$ resulted I a maintained quality and prolonged shelf life. The NO-treated strawberries were also firmer and had a lower incidence of disease than the untreated fruit. The effect of NO on fruit quality was dose-dependent. Strawberries that were treated with low and high concentrations of 50 and $500\;{\mu}L/L$ No, respectively, had severe disease incidence and were of poor quality. Treating with NO at a concentration of $200\;{\mu}L/L$ appeared to slow down the ripening and senescence of fruit stored at $18^{\circ}C$. Calyx browning, respiration, and rot development progressed more quickly in strawberries treated with $500\;{\mu}L/L$ NO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200\;{\mu}L/L$ No.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 6 보(第 6 報)] -부위별(部位別)과 Capsaicin 동족체별(同族體別)로 본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6) -Hot-taste component in different parts and of capsaicin homologue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57-163
    • /
    • 1971
  •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추숙(追熟)에 따른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를 부위별(部位別)과 capsaicin 동족체별(同族體別)로 측정(測定) 고찰(考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추숙(追熟)에 따라 capsaicin homologues의 조성(組成)에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다. (2) 과육부(果肉部)(태좌(胎座), 격벽(隔壁), 과피(果皮)) 신미성분(辛味成分)의 건물중당(乾物重當) 함유율(含有率)(%)이 추숙(追熟)에 따라 증가(增加)하고 있다. 이것은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생성(生成)과 고형물소장(固形物消長)사이의 상관관계(相關關係)의 결과(結果)라고 보겠다. (3) 태좌(胎座) 격벽부(隔壁部)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은 그함량(含量)이 매우 높고 또 chi.-onset stage까지 증가(增加)하고 그후(後)는 감소(減少)하는데 비(比)하여 과피(果皮)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은 줄곧 증가(增加)하고 있어서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이동(移動)을 짐작할수 있었다. (4) 종자(種子)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은 함량(含量)이 매우 낮으나 추숙(追熟)에 따라 조금씩 증가(增加)하고 있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감귤류(柑橘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주요품종별(主要品種別) 당(糖) 및 산조성(酸組成)의 시기별(時期別)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fruits in Korea(II) -Changes of acid and sugar components with growth-)

  • 박훈;김영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41-57
    • /
    • 1968
  • 제주산(濟州産) 감귤(柑橘) 14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과실(果實) 부위별(部位別) 산(酸) 및 당조성(糖組成)의 추이(推移)를 조사(調査)하고 거제산감귤(巨濟産柑橘)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으며 혈연(血緣)이 먼 타과실(他果實)의 부위별(部位別) 산조성(酸組成)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율(果皮率)이 생육(生育) 초기(初期)에 크고 그후 완숙(完熟)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減少)하며 이는 동화(同化) 산물(産物)의 전류(轉流)가 초기(初期)에는 과피(果皮)로 후기(後期)에는 과육(果肉)으로 더많이 전류(轉流)하거나아니면 과피(果皮)에서 과육(果肉)으로 전류(轉流)될 가능성을 보인다. 2) 과중(果重)이 클수록 과피율(果皮率)이 큰 경향을 나타내며 과실중(果實重)이 200이상(以上)의 것은 과피율(果皮率)이 30이상의 품종(品種)은 종실수(種實數)가 15개(個) 이상(以上)이다. 3) 과중(果重)이 최고점(最高點)에 이를때 과육(果肉) 전산함량(全酸含量)이 최고(最高)에 이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는것이 대부분이나 최고전산(最高全酸) 함량(含量)이 20me/100g 이하로 가장 낮은 품종(品種)들은 수확기(收穫期)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4) 생육각시기(生育各時期)의 과육중(果肉中) 전산(全酸)과 적정산간(滴定酸間)에 r=0.933, 과피중(果皮中) 전산(全酸)과 결합산간(結合酸間)에 r=0.970으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과육(果肉)에서는 대부분 적정산(滴定酸)(73%)인 반면 과피(果皮)에서는 대부분이 결합산(結合酸)(88%)이다. 5) 결합산(結合酸)은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과육(果肉)에서 증가(增加)하고 과피(果皮)에서 감소(減少)하므로 과피(果皮)로부터 과육(果肉)으로의 염류(鹽類)의 전류(轉流)가 예상된다. 6) 산(酸)과 당조성(糖組成)의 부위별(部位別) 차(差)에 의(依)한 과실(果實)의 유형적분류방법(類型的分類方法)은 혈연(血緣)이 먼 수박과 도마도등(等에)도 적용(適用)될 수 있다. 7)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은 계속 증가(增加)하며 전당(全糖)과 환원당(還元糖)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49^{**}$ ,$0.732^{**}$ $0.583^*$으로 감소(減少)하고 환원당비율(還元糖比率)도 감소(減少)한다.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5%$) 8) 과육당(果肉糖)은 주로 비환원당(非還元糖)(61%)인 반면 과피당(果皮糖)은 주로 환원당(還元糖)(88%)이며 수확기(收穫期)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간(非還元糖間)에 r=0.861, 과피중(果皮中) 전당(全糖)과 환원당간(還元糖間)에 r=0.972로 모두 1%(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다. 9) 과피율(果皮率)이 36% 이하(以下)의 품종(品種)은 과피당비(果皮糖比) (과육전당(果肉全糖)/과피전당(果皮全糖))가 1보다 크고 과피율(果皮率)이 36% 이상(以上)인 품종(品種)은 1이하(以下)로 당함량(糖含量)과 부위별(部位別) 생장속도(生長速度)에 관련성(關聯性)이 있는 것 같다. 10) 거제군(巨濟郡) 온주(溫州)는 제주산(濟州産)에 비(比)해 과피율(果皮率)이 적고 산(酸)과 당함량(糖含量)이 낮으나 감미비(甘味比)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