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nts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3초

장기간(1997~2013) 라디오존데 관측 자료를 활용한 집중호우 시 연직대기환경 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Atmospheric Vertic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using Long-Term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1997~2013)

  • 정승필;인소라;김현욱;심재관;한상옥;최병철
    • 대기
    • /
    • 제25권4호
    • /
    • pp.611-622
    • /
    • 2015
  • Heavy rainfall ($>30mm\;hr^{-1}$) over the Korean Peninsula i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using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from seven upper-air observation stations during the last 17 years (1997~2013). A total of 82 heavy rainfall cases during the summer season (June-Augus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average values of thermo-dynamic indices of heavy rainfall events are Total Precipitable Water (TPW) = 60 mm, 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 = $850J\;kg^{-1}$, Convective Inhibition (CIN) = $15J\;kg^{-1}$, Storm Relative Helicity (SRH) = $160m^2s^{-2}$, and 0~3 km bulk wind shear = $5s^{-1}$. About 34% of the cases were associated with a Changma front; this pattern is more significant than other synoptic pressure patterns such as troughs (22%), migratory cyclones (15%), edges of high-pressure (12%), typhoons (11%), and low-pressure originating from Changma fronts (6%).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rmo-dynamic conditions (CAPE and SRH) is similar to the range of thunderstorms over the United States, but extreme conditions (supercell thunderstorms and tornadoes) did not appear in the Korean Peninsula. Synoptic conditions, vertical buoyancy (CAPE, CIN), and wind parameters (SRH, shear) are shown to discriminate among the environments of the three types. The first type occurred with high CAPE and low wind shear by the edge of the high pressure pattern, but Second type is related to Changma front and typhoon, exhibiting low CAPE and high wind shear. The last type exhibited characteristics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ypes, such as moderate CAPE and wind shear near the migratory cyclone and trough.

제주와 목포, 제주와 완도간의 표면수온 변화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JEJU AND MOGPO AND BETWEEN JEJU AND WANDO)

  • 노홍길;김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4-72
    • /
    • 1983
  • 1979年 12月부터 1981年 6月까지 濟州와 木浦, 濟州와 莞島 間을 運航하 는 定 期 旅客船을 理容하여 月別로 收集된 表面 水溫資料를 分析한 缺課는 다음과 같다. 1. 同系 및 春季에 濟州 海峽內에 溫流가 流入하여 楸子島와 靑山島를 잇는 線까지 그 影響을 미치지만, 그 主流部는 濟州道 沿岸으로부터 12海里 이내에 있다. 이 暖流는 주로 동 海峽내의 서쪽에서 流入되나 季節에 따라서는 變할 可能性도 있다. 2. 南海岸 沿岸水는 靑山島, 浦吉島, 橫干島, 北쪽 6海里(Sta. 8)를 잇는 線의 北쪽 沿岸 域에 定되지만 冬季 2月頃에는 그 範圍가 楸子島 附近까지 南下하는 境遇도 있다. 3. 楸子島와 靑山島 附近에는 水溫全線이 自主 나타난다. 4. 楸子島와 獐水島를 잇는 線 以北의 沿岸 域에는 夏季 低溫水가 出現하며, 이 低溫水는 外海쪽의 低層 低溫水의 供給 및 潮流에 의한 强制 鉛直混合과 깊은 關係가 있는 것 같다. 5. 春季 및 夏季에 局地的인 冷水가 자주 出現하는 곳은 楸子島, 密賣島, 鳴洋島, 浦吉島 등의 섬 附近과 濟州港의 周邊이다. 6 年中 濟州 海峽쪽이 沿岸域보다 水溫이 높으며 그 差가 가장 큰 時期는 冬季 이고 調査기간중 그 差는 約 8-9$^{\circ}C$였다. 7. 年較差는 濟州 海峽이 沿岸域보다 작고 調査 基幹 中 前者는 12-14$^{\circ}C$, 後者는 16-2$0^{\circ}C$이다. 最高 水溫은 9月에 出現했으나 最低 水溫은 海域에 따라 그 出現 時期가 달랐다.

  • PDF

2006년 9월 황해저층냉수괴의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in September, 2006)

  • 최영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25-432
    • /
    • 2011
  • 하계와 추계사이 황해저층냉수괴의 분포양상과 영양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9월에 황해 내 15개 정점에서 수온, 염분, 영양염류 등을 조사하였다. 9월에 연구해역의 표층수는 $20^{\circ}C$ 이상을 나타내는 양자강 희석수가 분포하고, 30m이심층에서는 $10^{\circ}C$ 이하의 냉수괴가 분포하였다. 특히 50m이심층에서는 $8^{\circ}C$ 이하의 수괴가 북위 $35^{\circ}$까지 남하하고 있었으며 조사정점에서 우리나라 연안쪽보다는 중국연안쪽에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8^{\circ}C$의 냉수괴가 분포하는 50m이심층에서의 염분은 33.5psu로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며 북쪽으로 밀려 올라가고 있는 형상으로 수온, 염분 전선역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양염류 등 총무기질소 농도분포는 냉수괴에서 표층수보다 2배 이상 높은 농도를 보여 저층에서 저온현상에 의한 난분해와 소모가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9월까지 지층냉수괴는 북위 $35^{\circ}$까지 남하하고 있으며 냉수괴 내 높은 영양염 농도를 함유하고 있었다.

TRIO (Triplet Ionospheric Observatory) CINEMA

  • Lee, Dong-Hun;Seon, Jong-Ho;Jin, Ho;Kim, Khan-Hyuk;Lee, Jae-Jin;Jeon, Sang-Min;Pak, Soo-Jong;Jang, Min-Hwan;Kim, Kap-Sung;Lin, R.P.;Parks, G.K.;Halekas, J.S.;Larson, D.E.;Eastwood, J.P.;Roelof, E.C.;Horbury, T.S.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42.3-43
    • /
    • 2009
  • Triplets of identical cubesats will be built to carry out the following scientific objectives: i) multi-observations of ionospheric ENA (Energetic Neutral Atom) imaging, ii) ionospheric signature of suprathermal electrons and ions associated with auroral acceleration as well as electron microbursts, and iii) complementary measurements of magnetic fields for particle data. Each satellite, a cubesat for ion, neutral, electron, and magnetic fields (CINEMA), is equipped with a suprathermal electron, ion, neutral (STEIN) instrument and a 3-axis magnetometer of magnetoresistive sensors. TRIO is developed by three institutes: i) two CINEMA by Kyung Hee University (KHU) under the WCU program, ii) one CINEMA by UC Berkeley under the NSF support, and iii) three magnetometers by Imperial College, respectively. Multi-spacecraft observations in the STEIN instruments will provide i) stereo ENA imaging with a wide angle in local times, which are sensitive to the evolution of ring current phase space distributions, ii) suprathermal electron measurements with narrow spacings, which reveal the differential signature of accelerated electrons driven by Alfven waves and/or double layer formation in the ionosphere between the acceleration region and the aurora, and iii) suprathermal ion precipitation when the storm-time ring current appears. In addition, multi-spacecraft 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low earth orbits will allow the tracking of the phase fronts of ULF waves, FTEs, and quasi-periodic reconnection events between ground-based magnetometer data and upstream satellite data.

  • PDF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목원 수우(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채집표본을 근간으로 한 이창복교수의 채집기록 (Field records of Dr. Tchang-Bok Le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deposited at SNUA)

  • 장진성;김휘;전정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5-472
    • /
    • 2003
  • 수우(樹友) 이창복교수는 1946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하여 1984년 퇴임하기까지 우리 나라 식물분류학계의 기반을 다지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1952년부터 1984년까지 33년간 남한지역에서 약 7만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우(樹友)표본관(SNUA)의 근간을 확립하여 체계적인 국내 최대의 표본관으로 발전시켰다. 시기별 주요 채집 활동으로 1950년대는 소지 식별을 위한 채집과 박사학위 논문연구를 위한 채집, 1960년대는 1920-1930년에 걸쳐 일본학자인 T. Nakai가 채집한 희귀식물에 대한 분포 확인차원의 채집을 시도한 시기였고, 1970년대와 1984년까지 학술조사 목적으로 특정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는 채집이 주를 이루었다. 이창복교수는 참나무속과 싸리속 표본에 대한 채집과 기타 목본, 희귀식물과 관련된 수집을 직접 현장에서 식물을 확인하고 확증 표본 확보에 주력하여 현재 SNUA의 소장표본이 전국 주요 지역 식물상의 대표성을 가지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히 이창복교수의 1950년 후반에서 1960년 초반에 걸쳐 채집하여 연구한 아시아산 낙엽성 참나무속에 대한 결과는 많은 관련 연구에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표본을 제외한 기타 채집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아 주요 채집지와 채집 날짜 이외에 조사와 채집의 목적을 명확하게 검증하기 어렵다.

교육서비스수출 촉진을 위한 한국 대학교육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인 유학생 관점에서 (A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for Promoting Educational Service Expor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 in Korea)

  • 홍성헌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463-4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서비스 수출활성화를 위해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의 평가요인과 속성을 도출하고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실증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4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의 중요도 평가에 국립대 재학 유학생과 사립대 유학생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서 국립대 재학 유학생과 사립대 유학생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셋째,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의 중요도 평가와 만족도 평가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한국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평가요인의 전반적 한국 대학교육서비스품질 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떻게 다른가? 검증결과, 첫째, 국립대와 사립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중요도평가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만족도에서 관계복지요인에서만 국립대와 사립대 간의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국립대와 사립대 모두 서비스품질요인 중요도에 비해 실제 만족하는 정도와는 1% 유의 수준에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의요인과 교육시설요인만이 대학의 전반적 교육서비스 품질 평가요인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강의요인이 교육시설보다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당국이 외국학생 유치전략 수립 시교육서비스와 관련된 품질차원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서 적절한 시스템과 적절한 방안을 세워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3-D 최적 내삽 합성장 생산 방법과 한계점 (A Methodology for 3-D Optimally-Interpolated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Field and Limitation)

  • 박경애;김영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3-233
    • /
    • 2009
  • AQUA/AMSR-E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3차원 최적내삽 해수면온도 합성장을 생산하였고 시간평균장과 비교하여 문제점과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3-D SST 합성장은 북태평양 중앙부에서 전체적으로 $0.05^{\circ}C$ 이하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나, 위성 결측이 있는 연안에서는 $0.4^{\circ}C$ 이상의 비교적 큰 오차를 유발하였다. 강한 강수나 구름으로 인한 결측이 있는 부분에서는 $0.1-0.15^{\circ}C$에 달하는 오차를 보였다. 시간평균장과 비교한 결과, 구름 부근의 화소에서는 해수면온도를 낮게 계산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해수면온도의 공간적 구배를 감소시키는 평활화가 전체적으로 나타났다. 적도 부근 저위도에서 OI SST는 실제 해수면온도에는 없는 불연속성을 만드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OI 과정에서 사용한 윈도우의 크기와 해양 현상의 수평 규모가 위도에 따라 변화하는데서 기인하였다. 현상의 공간 규모의 척도인 로스비 내부변형 반경은 북태평양에서 O(1) 정도로 위도에 따른 공간적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ST합성장 생산과정에 위도와 해수의 수직적 밀도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양 현상의 수평적 규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북동아시아 해역에서 인공위성 관측에 의한 해수면온도의 오차 특성 (Error Characteristics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Northeast Asian Sea)

  • 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0-289
    • /
    • 2008
  • 북동아시아 해역에서 10년 동안 관측된 광범위한 해양관측 자료와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온도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오차(인공위성 해수면온도-실측수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845개의 일치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성 해수면온도 (MCSST)는 해양 관측치에 대해 0.89$^{\circ}C$의 제곱평균오차와 0.18$^{\circ}C$의 편차를 보였다. 위성 수온의 오차는 40$^{\circ}N$에서 $\pm3^{\circ}C$에 달하는 위도에 따른 의존성을 보였는데 이는 고위도 해역에 존재하는 작은 소용돌이, 해류, 열전선의 큰 시공간적 변동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많은 수의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는 겨울철에 해양관측치보다 낮게 산출되고 여름철에는 높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계절적 의존성은 인공위성 표층부이 자료가 아닌 해양조사선과 계류부이의 수온자료에서 발견되었는데 해양 상층의 수 m 이내에 강한 수직적 수온 구배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 자료로부터 해수면온도를 산출할 때 해양 피층과 그 아래 층 사이의 수온 차이를 고려하고 보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제주도 서남방 동중국해역에서 하계 해양전선 형성과 수질특성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cean Fronts at the East China Sea in Southwestern Sea Area from Jeju Island, Summer)

  • 허만영;최영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4-69
    • /
    • 2004
  • 제주도 서남쪽 동중국해 해역에서 하계인 8월에 형성되는 외양 전선역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999년 8월 하순에 관측이 이루어 졌는데, 그 결과를 해 보면 A라인에서는 경도 124°,위도 31°30'에 위치한 정점 A5에서 표층부터 수심 50m까지의 밀도가 21.4에서 22.1의 범위로 비교적 균등한 분포를 보임으로써 중국연안쪽의 22.0과 외양역의 22.0의 값과는 구분되는 전선역이 형성된다. 또한 B라인에서는 경도 124°,위도 33°에 위치한 정점 B,6에서 A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연안쪽과 외양역의 밀도 20.0과 구분되는 전선역이 형성된다. 이 결과는 동중국해 해역에서 양자강 담수의 유출로 인한 외양역(에서)의 전선역이 양자강에서 정동방향으로는 동경 124°,동북쪽으로는 동경 124°30'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선역에서의 영양염 특성은 전선역을 중심으로 중국 연안쪽에서 높고, 외양역에서 표층과 저층간의 농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전선역에서는 상하 층이 거의 균일하며 낮은 농도 분포를 보인다. 엽록소 a의 농도도(는) 전선역을 중심으로 중국 연안쪽과 외양역에서 높으나 전선역 중심에서는 낮은 분포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전선역이 형성되는 해역은 상하혼합과정에서 흐름의 증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의 활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생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름철 동중국해 해역에서 형성된 외양전선역은 중국대륙 담수의 유출량에 따라 전선역이 제주도까지 밀려올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남해 해역의 해양환경변화가 시아노박테리아 개체수와 군집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e Environment Changes on the Abundance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Cyanobacteria in the South Sea of Korea)

  • 원종석;이연정;이호원;노재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279-293
    • /
    • 2021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asonal marine environment conditions on the cyanobacteria abundance and diversity in the South Sea, four-seasonal surveys were conducted along the 127.5°E survey transect line in the central South Sea using flow cytometry and 16S-23S ITS on the Miseq platform from August 2016 to May 2017. The average abundance of Synechococcus varied from 3.3 × 103 to 7.4 × 104 cells ml-1.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the summer and the lowest in the winter, and the abundance fluctuated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The abundance was high in the outer sea affected by TWC. However, in summer, the Coastal areas affected by the Yangtze River were more populated than the outer sea. Prochlorococcus was rare and could not penetrate into coastal areas due to the fronts, but showed its dominance in the waters influenced by the TWC. Synechococcus clades II, VII, IX, CRD1, and CRD2 were predominant in the outer sea area affected by the TWC. In the coastal area, clades I and IV showed higher dominance whereas clades V, VI, WPC1, and 5.3-MS3 with euryhaline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 dominance rate in the water masses affected by the low-salinity water of the Yangtze River in the summer. Clade XVI, XVII, CB1, CB5, and 5.3-I/II showed high dominance in nutrient-rich waters in the summer with increased water temperature. The abundance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cyanobacteria changed in the South Se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WC and stratification. In the summer, the abundance and the community composition differed, and were mainly affected by the general influence of the TWC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the Yangtze River low-salinity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