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ed products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인의 성, 연령 및 지역에 따른 음식군별 칼슘과 인의 섭취량 및 섭취 기여율 분석 (Analysis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orus Intakes and Contribution Rates of Major Dish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 Korea)

  • 이연경;최미경;현태선;류은순;박혜련;노희경;허영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2-47
    • /
    • 2020
  • Objectives: Calcium (Ca) is an insufficiently consumed nutrient, whereas phosphorus (P) intake has exceeded the recommended intake level in Korea over the p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etary Ca and P intakes and their contribution rate according to dish groups. Methods: A 24-hour dietary recall survey of 640 healthy adults (aged 19-69 years) was undertaken twice in four Korean provinces. Dietary Ca and P intakes and their rates of contribution from 31 major dish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gender, age group, and region. Results: The average Ca and P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542.1 ± 222.2 mg/d and 1,068.3 ± 329.0 mg/d, respectively. The intakes of Ca and P as percentages of recommended nutrients intake (RNI%) were 71.7 ± 29.8% and 152.6 ± 47%, respectively, and the percentages under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ere 60.3% for Ca and 3.8% for P. The RNI% of C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in the sixties age group than in other age groups an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Korean capital than in other regions. The RNI% of P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gender or age groups,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ital than in Gyeong-sang. The five major dish groups contributing to Ca intake (contribution rate) were milks/dairy products 69.2 ± 109.2 mg/d (12.6%), soups 55.6 ± 69.6 mg/d (10.1%), stir-fried foods 53.1 ± 70.7 mg/d (9.7%), stews 43.4 ± 85.4 mg/d (7.9%), and kimchi 38.4 ± 31.8 mg/d (7.0%). The five major dish group contributing to P intake (contribution rate) were cooked rice 160.7 ± 107.1 mg/d (14.9%), stir-fried foods 88.5 ± 89.4 mg/d (8.2%), soups 76.7 ± 85.8 mg/d (7.1%), one-dish meals 63.3 ± 94.4 mg/d (5.9%), and stews 62.6 ± 89.3 mg/d (5.8%). The dish groups contributing to Ca and P intakes differed somewhat by gender, age group, and region. Conclusions: Programs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Ca and P intake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in Ca and P contribution rates by dish groups as well as by gender, age group, and region.

일부 지역 중학생 대상 일품요리의 대표영양가 산출 및 영양적정성 평가 (Representative Nutrients Contents and Nutritional Adequacy Evaluation of Single-Dish Me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지선;김영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3-101
    • /
    • 2018
  • Objective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 households and so-called Honbab-jok, those who eat alone, people tend to enjoy convenient and simple meals, such as single dish me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data on the energy and nutrient content, and nutritional adequacy of single-dish meal. Methods: From the literature reviews, 61 types of single-dish meal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steamed rice, noodle, porridge, and sandwich burger), and a further 11 sub-groups (bibimbab, fried rice, topped rice, rolled rice/ warm noodle, cold noodle, seasoned noodle, dukgook/ porridge/, and sandwich, burger). In addition, 38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Sejong, Jeonbuk, and Chungnam area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characteristics,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single-dish meals. The representative energy content (arithmetic mean) of single-dish meal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energy contents of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weighted values adjusted. The representative nutrient contents, energy contribution ratio, and INQ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of a single-dish meal were calculated for a nutritional adequacy evaluation. Results: The study subjects considered a single-dish meal as tasty, simple and fast to prepare, inexpensive, nutritious, and no low calorie food. The preference scores of all but 1 sub-group of singledish meals were ${\geq}5.00$ (5.00~5.97), and 1 sub-group (porridge) was 4.67 on a 7-point scale. The intake frequency of 11 sub-groups were 0.31~1.71/week, porridge was the lowest at 0.31 and warm noodles was the highest at 1.71. Fried rice, rolled rice, and warm noodle' intake frequency were ${\geq}1/week$. The representative energy of steamed rice, noodle, sandwich burger were 443, 429, and 428 kcal, respectively, and that of porridge was 264 kcal. Less than 5%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ve energy of 4 groups were observed when adjusted for the preference or intake frequency-weighted values. The energy contribution ratio of macro-nutrients calculations showed that porridge was a high carbohydrate and low fat food, whereas sandwich burger were high fat and low carbohydrate foods. The INQ of calcium and vitamin C were less than 1.0 in all 4 food groups, but the INQ of protein and thiamin were > 1.0 in all 4 single-dish food groups. Conclusions: The representative energy in the 4 groups of single-dish meal was 264~450 kcal, which is a rather low calorie meal, and the energy contribution ratio of macro-nutrients were inadequate. The protein and thiamin levels were sufficient but the calcium and vitamin C levels were insufficient in all 4 groups of a single-dish meal judged by the INQ. The additional intake of fruits and milk dairy products between meals with a single-dish meal, supply of calcium and vitamin C may increase, which will result in an improved nutritional balance.

시판 진미채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Jinmichae)

  • 엄애선;김지희;문지혜;장미경;이현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진미채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검사 및 조리 전처리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의 효과를 모색하고, 최종 조리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대상 시료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마트에서 국산 3종과 수입산 3종으로 분류하여 구입하였다. 진미채 원재료에서 실험재료 6종 중 1종이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생상 문제가 발견되었다. 총호기성균은 실험재료 중 F2군($7.20{\times}10^7$ CFU/g)을 제외한 5종에서 $1.0{\times}10^3{\sim}1.0{\times}10^4$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F2군의 경우 $5.13{\times}10^5$ CFU/g이 검출되었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의 원재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총호기성균수는 진미채를 20초 간 데쳤을 때, F2군에서 $5.08{\times}10^5$ CFU/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학교급식법의 미생물 허용치를 초과하지는 않는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진미채를 20초, 40초, 60초간 볶았을 때, F2군에서 각각 $7.07{\times}10^7$ CFU/g, $7.14{\times}10^7$ CFU/g, $6.93{\times}10^6$ CFU/g로 검출되었으며, 60초 이상 볶더라도 Solberg의 기준치 $1.0{\times}10^6$ CFU/g을 초과하여 위생상 문제가 되었다. 원재료 중 대장균군은 데친 실험군에서 조리시간과 관계없이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시간대별로 데치기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데치기 조리를 하는 경우 대부분 황색포도상구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그러나 볶음 조리 시 60초간 볶아도 양성인 실험군 3종이 존재하여, 데치기에 비해 저감효과가 미흡하므로 진미채를 이용한 식품 조리 시 전처리로 볶기보다는 데치기 방법이 권장된다.

  • PDF

제주지역 초등학생의 총당류 섭취실태 조사 (A study of dietary intake of total sugars by elementary students in Jeju province)

  • 고양숙;김은미;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81-93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1명을 대상으로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일 식이조사를 통한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1일 열량섭취량은 1,629.8 kcal, 1일 총 당류섭취량은 남학생 53.1 g, 여학생 57.6 g으로 남녀 평균 55.3 g이었다. 2. 끼니별 1일 총당류섭취량은 간식에서 34.9 g (63.1%)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며,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에서 섭취하는 양은 각각 6.3 g, 6.9 g, 7.2 g이었다. 3. 식품군별로는 우유류 (17.04 g), 곡류 (12.79 g), 과일류 (9.40 g), 당류 (7.30 g)에서 섭취하는 당 함량이 높았다. 4. 조리법별 총당류 섭취량은 유제품류 (15.08 g), 빵 과자류 (6.4 g), 음료류 (5.5 g), 과일류 (5.1 g), 빙과류 (4.8 g)의 순이었고, 주식과 부식류에서는 면류 (5.1 g), 볶음류 (2.3 g), 튀김류 (1.4 g), 일품요리류 (1.4 g), 조림류 (1.1 g)의 순이었다. 후식류에서 서당 섭취량이 높은 음식은 빵 과자류 (4.1 g, 6.4 g), 음료류 (2.5 g, 1.4 g), 빙과류 (3.4 g, 4.4 g)이었다. 주식과 부식류에서 서당 섭취량이 높은 음식은 면류 (2.0 g, 4.1 g), 볶음류 (1.0 g, 1.1 g) 등 이었다. 5. 1일 총당류섭취량 중 천연당은 25.8 g, 첨가당은 23.3 g, 혼합당은 6.2 g으로 1일 총당류 섭취량의 42.1%가 첨가당에서 섭취되었다. 6. 총열량섭취량 중 당류에서 얻어지는 열량비율이 20% 이상인 고당류섭취군이 20% 미만 저당류섭취군에 비해 철분, 아연, 니아신 섭취가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7. 단맛선호군은 단맛저선호군보다 열량, 탄수화물 섭취량, 그리고 총당류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초등학교 5학년 남녀학생들의 총당류섭취량은 1일 평균 55.4 g으로, 주로 간식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총 당류 섭취량 통제를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선택과 당 저감화 관련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ook/Chill System에서의 고기완자 제조에 관한 연구 1. Herb를 이용한 고기완자의 제조 및 품질특성 (A Study on Preparation of Wanjajun for Cook/Chill System 1. Preparation of Wanjajun with Herb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강은주;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1-666
    • /
    • 2003
  • 단체급식에서의 cook/chill system을 위한 완자를 제조하되, 제조와 저장중에 일어 나는 이화학적 변화를 최소화시키는 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완자의 지방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지연시키고자 천연 항산화제인 허브를 2% 첨가하였다. 전통적인 방식인 pan-frying으로 기름온도 11$0^{\circ}C$에서 6분 이상 조리하여 내부온도가 74$^{\circ}C$ 이상이 되게 한 다음 냉장고에 넣어 내부온도가 3$^{\circ}C$가 되도록 냉각시킨 후에 비닐팩에 넣어 3$^{\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완자의 산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완자의 조리, 저장 중 대조구에 비하여 허브를 첨가한 완자의 산가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sage 첨가구는 4.23 KOH mg/g으로 가장 낮은 산가를 나타냈다. 과산화물자도 sage 첨가구가 가장 낮은 산화양상을 나타냈고 (22.0 meq/kg) 다른 허브의 첨가구들도 대조구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TBA가는 rosemary/parsley/thyme 첨가구가 0.29 mgMA/kg으로 가장 낮았고, sage 및 basil/mints 첨가구도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여 허브에 의해 산화반응이 지연되거나 산화생성물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완자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허브향 자체에 거부감이 없고 오히려 고기 특유의 냄새를 없애주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아닌 허브 자체의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 가능성은 물론 육제품의 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SA>RPT>BM 처리구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미생물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일부 해조류 및 어패류와 그 가공식품의 비타민 $B_{12}$ 함량 분석 (Vitamin $B_{12}$ Content Using Modified Microbioassay in Some Korean Popular Seaweeds, Fish, Shellfish and Its Products)

  • 곽충실;박준희;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94-102
    • /
    • 2012
  • There is a limitation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due to a lack of data on vitamin $B_{12}$ content in many Korean foods. In this study, vitamin $B_{12}$ content was determined in some seaweeds, fish, and shellfish and their product that are consumed in Korea using a modified microbioassay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 ATCC 7830. Dried laver and dried seasoned and toasted laver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vitamin $B_{12}$ (66.8 and $55.2-71.3\;{\mu}g$/100 g, respectively. Sea lettuce and seaweed fulvescene also contained high vitamin $B_{12}$ content of 5.47-9.41 and $6.46-7.20\;{\mu}g$/100 g, respectively, whereas sea mustard and sea tangle contained low levels of vitamin $B_{12}$; vitamin $B_{12}$ was not detected in seaweed fusifome. Pacific saury, trout, sea-bass, or squid contained 12.01, 2.00, 0.49 and $2.33\;{\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Ochellatus octopus, and naked sand lance contained 0.72-1.43 and $3.68\;{\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Dried Alaska pollack con-tained $0.19-2.64\;{\mu}g$ vitamin $B_{12}$/100 g. Shellfish such as little neck clam and small ark shellfish contained high levels of vitamin $B_{12}$ of $30.5-40.5\;{\mu}g$/100 g, and mussel and abalone contained 17.71 and $7.82\;{\mu}g$/100 g, respectively. Of uniqu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products, salt-fermented products of squid ($2.91\;{\mu}g$/100 g), clams ($34.31\;{\mu}g$/100 g), Ala-ska pollack roe ($9.98-12.02\;{\mu}g$/100 g), hairtail guts ($4.58\;{\mu}g$/100 g) or small shrimp ($0.58-1.55\;{\mu}g$/100 g), and fish sauce from anchovies ($1.52-1.78\;{\mu}g$/100 mL), sand eel ($0.22-0.24\;{\mu}g$/100 mL) or small shrimp ($0.19-0.78\;{\mu}g$/100 mL) were analyzed. A few commercial brands of flying fish roe ($0.73-1.73\;{\mu}g$/100 g), canned tuna ($0.40\;{\mu}g$/100 g), and fried fish paste ($0.25-0.69\;{\mu}g$/100 g) were also analyzed. In conclusion, vitamin $B_{12}$ content in these foods, chosen considering the Korean food culture,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present vitamin $B_{12}$ food database. It may be helpful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more correctly than before,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B_{12}$ and meal management.

Factors Influencing the Acrylamide Content of Fried Potato Products

  • Jin, Yong-Ik;Park, Kyeong-Hun;Chang, Dong-Chil;Cho, Ji-Hong;Cho, Kwang-Su;Im, Ju-Sung;Hong, Su-Young;Kim, Su-Jeong;Nam, Jung-Hwan;Sohn, Hwang-Bae;Yu, Hong-Seob;Chung, Ill-M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5
    • /
    • 2016
  • BACKGROUND: Acrylamide (CAS No. 79-06-1) is known to be a carcinogenic compound, and is classified as a Group 2A compound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1994). Acrylamid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browning process via the non-enzymatic Maillard reaction of carbohydrates such as reducing sugars and of amino acids such as asparagine, both of which occur at a temperature above $120^{\circ}C$. Potato tubers contain reducing sugars, and thus, this will affect the safety of processed potato products such as potato chips and French fries.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acrylamide in potato processed produc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that affect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otatoes, such as environmental factors and potato storage condi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acrylamide formation during potato processing itself. METHODS AND RESULTS: Potatoes were cultivated in eight regions of Korea; For each of these different environments,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 content were measured and correlations with potato reducing sugar content and potato chip acrylamide levels were examin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 potato during storage for three months was determined and acrylamide level in potato chip was analyzed after processing. The storage temperature levels were $4^{\circ}C$, $8^{\circ}C$, or $10^{\circ}C$, respectively. The acrylamide content of chips prepared from potatoes stored at $10^{\circ}C$ or $20^{\circ}C$ for one month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t frying times were 2, 3, 5, and 7 m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hosphate content within a potato field should be sufficient to avoid producing brown or black potato chips. For potatoes stored at low temperatures, a reconditioning period ($20^{\circ}C$ for 20 days) i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levels of reducing sugars in the potato and subsequently reduce the acrylamide and improve chip coloration and appearance.

감자의 가공제품 종류와 조리방법에 따른 Glycoalkaloid의 함량 (Glycoalkaloid content in potato tubers by various cooking methods and potato products)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0
    • /
    • 200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감자 가공제품 12종류와 8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조리한 감자 가공품의 potato glycoalkaloid(PGA)의 함량을 HPLC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리 후 PGA의 감소는 물에 삶은 감자(91.68%)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물에 데친 감자(84.17%)였다. 기름에 튀긴 감자와 볶은 감자의 감소율은 각각 49.42%, 49.51%였으며 찐 감자는 50.52%로서 삶은 것에 비하여 감소율이 낮았으며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한 감자는 40.82%, 구운 것은 9.14%로서 가장 감소율이 낮았다. 증류수에 삶은 감자보다 1% 소금물에 삶은 감자의 PGA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PGA 함량의 감소율이 높은 순서는 boiling 〉 blanching 〉 boiling with 2% NaCl 〉 steaming 〉 sauteing 〉 frying 〉 microwaving 〉 baking 이었다. 2. 수입 감자로 만든 국내회사의 1종류 potato chip에서 PGA 69.57mg/100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동일 브랜드의 국내산 감자로 만든 potato chip은 0.23mg/100g으로 미량이 함유되었다. 냉동 french fry용 감자에서는 미국산, 캐나다산의 수입 제품은 각각 PGA 5.54mg/100g, 6.45mg/100g 이었으나 국내산은 2.05mg/100g 였다. 국내 유명 fast food점 2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french fry 감자에는 PGA가 검출되지 않았다. Potato powder로 만든 과자류는 미국산 수입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사 2종류는 3.68mg/100g, 4.88mg/100g 의 함량을 보였다.

Determination of Sodium Alginate in Processed Food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

  • Yang, Hyo-Jin;Seo, Eunbin;Yun, Choong-In;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74-480
    • /
    • 2021
  •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알긴산나트륨은 알긴산염류로서 안정제, 증점제, 유화제 등의 기능을 한다. 알긴산나트륨의 정량법은 전처리가 복잡하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보편적인 분석법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분석장비로는 HPLC-UVD 및 Unison US-Phenyl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조건으로 진탕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50 rpm으로 180분간 추출하였다. 알긴산나트륨의 표준용액을 5개 농도 범위에서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직선성(R2)은 평균 0.9999로 측정되었으며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3.96 mg/kg, 12.0 mg/kg이었다. 또한, 천사채를 이용해 얻은 일내 및 일간 평균 회수율과 정밀도는 각각 98.47-103.74%, 1.69-3.08 RSD%이고, 빙과류에 대한 일내 및 일간 평균 회수율과 정밀도는 각각 99.95-105.76%, 0.59-3.63 RSD%이다. 상대불확도%는 CODEX의 기준에 적합한 1.5-7.9%의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총 103개 품목에 대한 알긴산나트륨의 함량을 정량한 결과 당면, 유탕면, 당류가공품 유형 순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부산.경북지역 초.중학교 급식메뉴의 나트륨 함량 및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 조사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 이휘재;이창희;이광수;정영지;하숙희;정유영;김동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북 지역 초 중학교 단체급식에 함유된 나트륨 함량 및 초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 실태를 조사하여,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및 섭취량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나트륨 섭취 저감화 사업 등의 과학적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식품군별 나트륨 함량은 소스류(1459 mg/100 g)와 절임류(1165 mg/100 g)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구이류(894 mg/100 g), 조림류(786 mg/100 g), 김치류(737 mg/100 g), 볶음류(624 mg/100 g), 무침 나물류(444 mg/100 g), 튀김류(434 mg/100 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223 g/인), 일품식류(186 g/인), 밥류(122 g/인), 죽류(11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유제품(106 g/인), 탕 전골류(77 g/인), 국류(70 g/인), 찌개류(56 g/인), 과일류(44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665 mg/인), 일품식류(558 mg/인), 죽류(329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227 mg/인), 소스류(219 mg/인), 국류(200 mg/인), 구이류(194 mg/인), 찌개류(178 mg/인), 튀김류(159 mg/인)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325 g/인), 면류(323 g/인), 밥류(180 g/인), 죽류(15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131 g/인), 음료(123 g/인), 찌개류(98 g/인), 국류(90 g/인), 유제품(76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1039 mg/인), 면류(819 mg/인), 죽류(530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374 mg/인), 튀김류(330 mg/인), 찜류(323 mg/인), 국류(316 mg/인), 볶음류(295 m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 끼당 나트륨 섭취량은 초등학생의 경우 1인당 605 mg(저학년 남자), 572 mg(저학년 여자), 774 mg(고학년 남자), 730 mg(고학년 여자)이며, 중학생의 경우 1인당 1423 mg(남자), 1063 mg(여자)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보아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교급식 한끼를 통해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한국인(9세 이상) 나트륨 상한섭취량인 2000 mg/day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위해가능 영양성분인 나트륨의 섭취량 저감화를 위해서는 학교급식에 대한 나트륨 섭취 권고안을 만들고,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식단에 반영할 수 있는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트륨 섭취 저감화 등 어린이 보건 향상을 위한 식품안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