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ed fish past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9초

시판 연제품류의 Shelf-life예측에 관한 연구 1. 시판 연제품의 품질특성 (Studies on the Predi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 Fish Paste Products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ish Paste Products)

  • 윤성숙;조우진;정연정;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2-655
    • /
    • 2001
  • 본 연구에서 시판 연제품류의 전분함량을 분석한 결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연제품류의 전분함량은 튀김어묵, 맛살류 그리고 진어묵 순으로 적었으며 그 함량은 각각 $16.5\sim20.6\%,\;12.4\sim17.3\%,\;8.1\sim8.7\%$ 범위였다. 특히 일부 제조회사의 튀김어묵류에서는 전분함량이 고형물의 절반이상 ($51.8\%$$67.2\%$)을 차지하였다. 품질 기준이 되는 전분함량과 각 조직감 특성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도와 탄력성이 전분함량과 유의적 상관성 (p<0.01)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전분함량의 증가와 함께 양의 상관성 (p<0.01) 이 있었고 탄력성은 음의 상관성 (p<0.01)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식품공전상에서 연제품류의 분류는 어육함량만으로 하기보다는 전분함량을 규정에 첨가하거나 부수적으로 전분함량에 대한 상관성이 높은 조직감 특성의 규제사항으로 제시한다면 더 나은 제품의 품질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양파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Added with Ethanol Extract of Onion)

  • 박양균;김현주;김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9-1055
    • /
    • 2004
  • 항산화성분인 플라보놀 함량이 높은 양파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 3% 및 5% 첨가하여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수분함량, pH, 산가, TBA가,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색도, 총 균수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어묵의 수분함량은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어묵의 pH, 산가, TBA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어묵의 색도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총 균수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1∼2일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가 색상, 향기 및 맛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나 조직감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3% 양파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프로폴리스 첨가 양미리 연육 튀김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of Fried Fish Paste Prepared with Sand-lance (Hypoptychus dybowskii) Meat and Propolis Additive)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0-175
    • /
    • 2008
  • We mad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1-0.5% propol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pH,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evaluation.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added propolis had a lower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after frying compared to the control prepared with potassium sorbate. The antioxidant and antispoiling effect of propolis on the fried fish meat past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propolis added.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0.2% added propolis was very acceptable. In addition, the bitter taste of th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2% propolis was blocked by adding 2% sweet amber powder to the paste.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of Alaska Pollack Meat Paste Added with Propolis)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5-4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를 명태 연육에 각각 0.17%, 0.34%, 0.51%, 0.67% 및 0.84%로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첨가한 명태 연육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과산화물가, 색도, 총 균수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제품에서의 항균.항산화효능을 분석 평가하였다.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과산화물가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태 연육튀김어묵의 겔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군에서 겔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겔 강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는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프로폴리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0.17%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에서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멸치 분말을 첨가한 튀김어묵의 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Containing Anchovy Powder)

  • 배명숙;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8-1192
    • /
    • 2007
  • 영양과 기능성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현대인에게 부족되기 쉬운 칼슘섭취의 증가를 위하여 일반인들이 널리 애용하고 있는 멸치(자멸, 중멸)를 첨가한 칼슘강화 어묵을 제조하여 칼슘함유량, 색조변화, 물성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멸치를 분말화 하여 각각 1, 2, 5, 10%를 첨가한 어묵의 색도는 멸치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자멸, 중멸 모두에게서 L값, ${\alpha}$값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연성과 탄력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는 첨가군에 관계없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물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강도,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자멸 및 중멸 모두에게서 1, 2%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맛, 향기, 조직감, 색깔, 전체적인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칼슘함량은 자멸 및 중멸 모두에게서 무첨가군에 비해 멸치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자멸보다 중멸에서 칼슘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멸치분말 첨가량을 1, 2% 정도 첨가한다면 물성적, 영양적, 기능적인 면에서 모두 우수한 고품질의 어묵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육연제품의 세균학적 품질 및 내열성세균의 특성에 관한 연구 (Bacterial Qual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and Isolation of Thermoduric Bacteria)

  • 김동판;장동석;김성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9-415
    • /
    • 1985
  • 시판 어육연제품의 보장성과 식품위생학적인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4년 5월부터 10월사이에 연제품 가공공장과 수퍼마켓등에서 구입한 게맛살, 판어묵, 부들어묵, 튀김어묵 및 어육소시지등 5종총 70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세균학적 품질, 세균특징별 분포, 내열성세균의 배양적 세균학적 특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열후에 포장하는 부들어묵과 튀김어묵은 위생지표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의 오염이 대체로 높았으며, 가열전에 포장하는 게맛살과 판어묵은 세균학적으로 매우 깨끗하였다. 포도상구균은 튀김어묵에서만이 검출되었으며, Salmonella균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가공공장 시료에서 연제품 가공공정중 열처리전의 게맛살과 판어묵 시료중에 호기성 및 염기성균이 $10^{6}$-$10^{7}$ g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열처리직후의 제품은 호기성균이 <$10^2$/g 이었으며 염기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어육소시지에서는 전혀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2. 분리된 세균중 단백질분해능이 있는 세균의 분포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87% 이상으로 높았고, 지방분해능이 있는 세균의 분포는 20%미만이었다. 3. 분리된 세균에 대한 Gram 염색결과는 게맛살과 판어묵에서는 Gram양성균이 70%이상이었고 튀김어묵에서는 47.3%이었으며, 형태별로는 간균이 분리균주의 90%이상을 차지하였다. 4. 분리균중 내열성이 제일 강한 균주는 Bacillus licheniformis CR-11이었는데, 단백질분해능이 있을 뿐 아니라 2$0^{\circ}C$이상에서는 발육이 양호하였으며 또한 염기적 조건에서도 발육이 좋았다. 5. CR-11 균주의 배양온도별 비증식속도와 평균세대시간은 2$0^{\circ}C$에서 각각 0.31$hr^{-1}$, 2.24hr, 3$0^{\circ}C$에서 0.64$hr^{-1}$, 1.09hr, 그리고 35$^{\circ}C$에서는 0.78$hr^{-1}$, 0.89hr이었고, 포자의 내열성은 D$_{85}$ $^{\circ}C$=41.9min, D$_{90}$ $^{\circ}C$=27.9min, D$_{95}$ $^{\circ}C$=10.2min, D$_{100}$ $^{\circ}C$=4.3min이었으며, Z-value는 13.8$^{\circ}C$이었다.

  • PDF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1. 열처리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f Retort Pouched Fried Fish Meat Paste 1.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 하진환;이응호;김진수;지승길;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73-581
    • /
    • 1987
  • 어육연제품은 최근 그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AF-2 등 식품방부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어묵은 유통상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영양적 및 관능적인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하되 저장 수명이 길면서 상온유통이 가능한 제품생산을 위한 고온열처리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열처리시간은 $F_o$-값 6을 기준으로 하고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크기와 열처리온도를 달리 하였을 때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젤리강도와 경도는 열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보수력과 강성은 차이가 없었다. 젤리강도, 경도, 명도 및 in vitro 단백질소화율은 전 제품에서 모두 직경이 12mm인 것을 $124^{\circ}C$에서 ?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관능검사 결과는 $124^{\circ}C$에서 열처리 16mm의 것이 12mm의 그것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저장 40일까지 전 제품의 젤리강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70일 저장하였을 때는 직경이 12mm인 것만 증가하고 23mm 이상의 것들은 대체로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중 직경이 23mm 이상의 제품은 약간씩 그리고 직경이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보수력, 강성 그리고 색조는 전 저장기간을 통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을 제조할 때 직경이 16mm 혹은 그 이상의 것은 고온단시간열처리로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여름철 동남권 전통시장에서 판매되는 즉석섭취 튀김어묵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ried Fish Paste, a Ready-To-Eat Food Distributed from Traditional Markets in Korea's Southeast Region During Summer)

  • 김소희;전은비;박은희;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5-22
    • /
    • 2024
  • This study assessed microbial contamination in seven fried fish pastes sold in Southeast Asian traditional markets during summer. It measured viable cell count, coliforms, Escherichia coli, fungi, and Staphylococcus spp. It also qualitatively analyzed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e average viable cell count, coliforms and fungi were detected as 6.34 (3.84-8.13), 2.16 (1.00-3.55), and 3.92 (1.85-7.74) log10 CFU/g, respectively. Staphylococcus spp. was detected at 4.59 (2.10-7.63) log10 CFU/g. Some samples had high contamination levels: viable cell count (8.13 log10 CFU/g), fungi (7.74 log10 CFU/g) and S. aureus (7.63 log10 CFU/g). However, E. coli was not detected in any samples (ND, <1 log10 CFU/g).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B. cereus, L. monocytogenes, and Cl. perfringens were also not detected in the sample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data provide insight into manag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ensuring the safety of fried fish pastes in traditional summer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