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red pepper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일시 수확한 고추의 품질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 정구민;권승규;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8-131
    • /
    • 2002
  • 'Manita', a red pepper cultivar being cultivated currently and 'HL', a cultivar bred for single-harvest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ere grown by direct sowing and raising seedling methods, respectively, and all the fruits on the tree were harvested once. Fruits were grouped into 6 grades by color and appearance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Generally, 'HL' showed less redness and contained less amounts of capsaicin, organic acid, Vit. C, and sugar than 'Manita'. Regardless of cultivar and cultivation method, red-old fruits, ripened and partially dried on the plant, had more red color (21-30%) and more capsaicin (40.0-78.3 mg% vs. 33.2-52.7 mg%), but less sugar (12.70-16.69% vs. 14.46-17.43%) than red-fresh fruits.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rect sowing and raising seedling.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 생육,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Red Pepper and Egg Plant in Pot Culture)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8
    • /
    • 2002
  •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추출 조건에 따른 고추 수용액의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이현덕;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35-541
    • /
    • 1998
  •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고추가루 관련 식품에서 각각의 식품을 결정짓는데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적색도, 매운맛, 단맛, 새콤한 맛, 감칠맛 등의 조화로서 이들이 고추의 맛과 색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추출 온도와 시간에서 연상되는 음식은 고추장과 찌개, 김치의 맛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액과 이를 이용한 관능검사의 관계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총인자의 51%를 주성분 1과 주성분 2로 설명 가능하였다. 추출온도 $40^{\circ}C$에서 추출했을 때는 감칠맛, 새콤한 맛, 단맛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4^{\circ}C$의 경우는 색소성분과 주로 관련이 높았고 $60^{\circ}C$로 추출한 용액의 경우는 떫은맛, alcoholic, 매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는 주로 색소성분이 그리고 온도가 점차 올라 갈수록 맛성분들이 점차 용출되어 각각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with Frozen Mash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설민숙;황성연;박소희;이현자;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6-443
    • /
    • 2004
  •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4$^{\circ}C$ 저장기간중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 직후 고춧가루를 첨가한 깍두기 마쇄액이 가장 높았고 마쇄 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액이 가장 낮았으며 숙성이 진행될수록 차이가 감소하여 숙성 5주째에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L값은 깍두기 마쇄액이 깍두기액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마쇄고추를 사용하여 담근 것이 고춧가루를 사용한 것보다 높게 나왔으며 전반적으로 숙성 3주부터는 모든 시료에서 L값의 감소를 보였다.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깍두기액이 전 숙성기간동안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액에서는 숙성초기에 고춧가루 첨가구가 마쇄고추 첨가구보다 높게 나왔으나 숙성 2주가 지나면서 반대로 마쇄 고추를 사용한 것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b값은 깍두기 마쇄액에서 숙성 2주까지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3주째부터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이다가 숙성 2주째에는 서로 일치하였고 숙성 3주째부터는 다시 마쇄고추 첨가구의 값이 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 변화에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itric, quinic, malic acid는 감소 하였고 lactic과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또한 citric, lactic 및 malic acid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quinic acid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더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cetic acid는 숙성 후반기인 4주째부터 마쇄고추 첨가구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QDA결과 적색도 및 상큼한 맛에서,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 외관 및 맛에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고추 품종인 칠보, 포청천, 부촌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깍두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하면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것보다 특히 적색도와 유기산 함량을 증가시켜 깍두기의 기호도에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추씨 기름의 저장 및 가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Frying)

  • 최영진;고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7-76
    • /
    • 1990
  • To observe the propability as the frying oil and oxidativ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ome physico-chemical tests of the oil were examined during 21 days storage period at 5$^{\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AOM value determined and after heating the oil at 180${\pm}$5$^{\circ}C$ for 40 hours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The analysis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howed that the quality of storage group at 5$^{\circ}C$ was almost as good as fresh oil, and the storage group at 30$^{\circ}C$ showed certain degree of rancidity.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during storage were so small so that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found to be good. AOM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7 hours which is lower than other vegetable oil, but the degree of stability grew greatly after adding phenolic antioxidants, such on TBHQ or PG. As for the chemical change after heating continuously for 40 hour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refractive index increased, but iodine value decreased as the heating process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also showed the remarkable reduction of linoleic acid.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resulted in the delay of oxidation, the degree of which was greater in TBHQ than in PG.

  • PDF

고추 플러그묘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3의 분리 및 상토내 처리 효과 (Iso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3 and Its Effect on the Early Growth Promotion of Red Pepper Plug Seedlings in Compost)

  • 김진호;최용화;강상재;주길재;서장선;임태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2-58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가지과 작물의 근권에서 유용한 균주를 분리하고 근권ㆍ길항ㆍ생육촉진미생물을 선별ㆍ제제화하고 상토에 첨가하여 미생물제제 혼입 상토를 제조한 후 고추 플러그묘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근권미생물로는 가지과 작물의 뿌리 및 재배 토양 등 385점의 균원시료로부터 540여점을 분리한 후, 가지과 작물에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Alternaria solani, Botrytis cinerea, Fusarium oxysporium, Phytophthora capsici, Sclerotinia sclerotiorum 등의 병원균에 높은 길항력을 가진 미생물 20여종을 선발하고, 이들 길항미생물 중에서 고추의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는 MJ-3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근권ㆍ길항ㆍ생육촉진미생물인 분리주 MJ-3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방법과 16S rDNA sequence법 등으로 조사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동정하였다. 제제화한 B. amyloliquefaciens를 상토에 첨하여 미생물 혼입 상토를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재배한 고추 플러그 묘는 초장과 경경, 뿌리길이, 생체중량 등이 모두 대조구에 비해 소량 증가되었으나, 특히 뿌리의 생체중량이 대조구가 0.61g/plant인데 비해 시험구는 0.88g/plant로 44.3%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제 첨가 상토에서 재배한 고추의 gib-berellin (GA$_1$) 함량은 0.559ng/g(건조중량)이었다.

건조조건에 따른 고추의 색도와 향기 성분의 변화 (Effect of Drying Condition on the Colors and Flavors Change of Fresh pepper)

  • 주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5
    • /
    • 1995
  • 고추의 품질향상과 품질평가척도 등을 제시하는 효율적인 건조조건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건조온도(40, 50, 70, $90^{\circ}C$)와 건조시간(12, 24, 36, 48시간)을 달리하여 고추를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추의 수분함량변화, 색도 및 향기 성분을 조사하였다. 1) 고추품질면에서 최적수분함량($11.85{\sim}11.05%$)을 고려할 때 $5^{\circ}C$에서 36시간 또는 48시간 건조하는 것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태양건조와 열풍건조를 비교한 결과 열풍으로 $50^{\circ}C$에서 48시간 건조하는 것이 고추의 색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3) 고추의 색도 특성은 hexane 추출물에서 284nm와 carotenoids($430{\sim}474nm$)의 전형적인 흡광도 값의 비가 $2.5{\sim}3.4$범위에 있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이것은 육안판정에서도 확인되었다. 4) 고추의 향기성분 분석에서 hexane 추출물이 benzene추출시보다 다양한 peak를 보였으며 BSTFA으로 silylatin하여 고추의 향기성분 조성 profile을 얻었으며 이 profile은 고추의 향기성분 및 정미성분의 품질척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고추의 향기성분으로 benzene dicarboxylic acid의 7종을 확인하였으며, 주요성분으로는 oleic acid와 palmitic acid이다. 6)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에 따라서 향기성분의 특징적인 성분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각 성분의 조성비율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 PDF

NaCl을 이용한 홍고추 및 홍피망의 MA저장 효과 (Effects of MA Storage with NaCl for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 정천순;이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3
    • /
    • 2002
  • 생홍고추 및 생홍피망의 장기저장 방법으로 HDPE 및 LDPE포장내에 시료와 함께 서로 다른 양의 NaCl을 삽입함으로써 MA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HDPE 및 LDPE 포장내의 NaCl 함량은 0 g, 15 g, 20 g, 25 g이었으며, 대조구로 무포장이 사용되었다. 홍고추 및 홍피망의 각각 50일 및 35일간 MA저장 동안 주기적으로 중량 변화와 곰팡이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저장 초기와 말기에는 색도와 경도를 측정·비교하였다. NaCl을 포함하지 않은 처리구에 있어 HDPE와 LDPE 포장 모두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4∼5% 및 3∼4%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대조구인 무포장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저장 말기에 홍고추 및 홍피망 각각 45%와 2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포장 내에 NaCl을 포함한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19% 및 6% 이하로 무포장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무포장인 홍고추 및 홍피망의 저장에 있어 곰팡이 발생율이 각파 5% 및 12.5%로 매우 낮았으나,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 및 LDPE 저장에 있어서는 55∼6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NaCl 함유량이 15 g, 20 g 및 25 g 일 때 HDPE 및 LDPE 포장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고추의 곰팡이 발생율은 20∼45%의 범위로 나타났다.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와 LDPE 포장내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0.74와 1.50 이하로 매우 낮았다. 또한, 15∼25 g의 NaCl을 포함하는 MA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도 각각 0.85∼0.88 및 1.56∼1.61의 범위에 있었다. 그러나, 저장습도가 낮은 무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1.15 및 1.78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컸다. 무포장의 경도감소는 홍고추 및 홍피망이 각각 1.70 kg 및 0.71 kg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무포장에 비해 NaCl을 함유한 HDPE 및 LDPE 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경도 감소는 각각 0.75∼1.02 kg 및 0.15∼0.49 kg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다.

통배추김치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담그는 방법과 기호에 관한 실태조사- (Studies On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An Investigation on the Method of Making Kimchi and a Taste in the Taegu Area-)

  • 김명선;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making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the family's taste in Kimchi and the reason for disliking the taste of Kimchi in the Taegu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housewives learned the method of making the Kimchi from their mothers. Method was as follows; First, scatter salt on the whole Chinese cabbage and soak that for 3∼6 hours. After, wash the whole Chinese cabbage 3 times. Then, add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and salted fermented anchovy as basic seasoning. Be sure to, mix the red pepper powder and salted fermented anchovy until they taste hot and salty. Store the whole Chinese cabbage until they ferment. Afterwards store the whole Chinese cabbage in the refrigerator. 2) It was the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that most family members preferred. 3) Among the family members, the old age group preferred newly made Kimchi because of the cool and fresh taste. The adult group preferred fresh taste, also smell and peculiar taste of the seasoning were important. The adolescent group preferred fresh taste and sour taste. 4) It shows that most of the family likes Kimchi, and among the family members, about 25% of the sons and daughters dislike Kimchi. And it shows that all family members dislike salty taste. 5) The older housewives’ Kimchi was preferred over the younger housewives’ Kimchi.

  • PDF

한국 전통음식에 사용된 매운 맛 (Spicy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 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4-382
    • /
    • 2011
  •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picy taste dates back to the first telling of the Dangun myth-a story of a tiger and bear who tried to reincarnate themselves in human form by eating garlic and wormwood. For a long time, Koreans have eaten spicy vegetables such as green onion, garlic, ginger, mustard, leeks, corni, cinnamon bark, and Chinese peppers (Zanthoxylum schinfolium) and Zanthoxylum bungeanum. In prehistoric times, spicy vegetables were probably used to eliminate the smell of meat. In the agricultural age, they were used to supplement meals with fresh taste. They were also used as a substitute for salt (salt was very precious and expensive) as well as side dishes for the poor. Spicy vegetables have also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main dish like medicinal gruel and used to increase the spiciness of soup, and they are usually used as a side dish and with condiments in namul (cooked vegetable dishes), sangchae (salad), ssam (wrapped in greens and garnished with red-pepper paste or other condiments) and Kimchi. In addition, chili pepper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id-15th, 16th century). The soil and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suitable to growing chili pepper, and chili pepper has excellent adaptabi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ly, it is processed to red pepper powder and has become a major part of traditional Korean food along with Chinese pepper. Since the Joseon Dynasty, many kinds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have been developed, and most Koreans enjoy them these day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re spiciness and honest-to-goodness t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