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 dried young antl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녹용 및 녹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염산에 의한 가용화 (Extraction of Young Antler and Antler by Water, Proteases and HCl)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04
  • 동결건조 녹용, 열건조 녹용, 녹각을 물, pretense, 염산으로 단계적으로 추출하였다. 5$0^{\circ}C$ 물로 추출한 경우 동결건조 녹용은 9.01%(흡광도 8.82), 열건조 녹용은 9.01%(흡광도 4.45), 녹각은 1.10%(흡광도 0.31)의 추출율을 나타냈고, 세균 protease로 추출한 경우는 동결건조녹용은 16.89%(흡광도 4.50), 열건조 녹용은 17.20%(흡광도 5.62), 녹각은 18.22%(흡광도 0.64)의 추출율을 나타냈고, 0.8N 염산으로 추출한 경우는 동결건조 녹용은 72.25%(흡광도 4.60), 열건조 녹용은 71.1%(흡광도 4.70), 녹각은 79.82%(흡광도 2.80)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이들 삼단계 과정으로 동결건조 녹용은 98.15%, 열건조 녹용은 97.35%, 녹각은 99.14% 추출되었다. HPLC로 분석한 결과, 녹용 및 녹각추출물에서 나타나는 고분자 피크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으로 분자량 1,000 정도의 작은 피크로 분해되었고 남은 각질은 0.8 N염산에 의하여 분자량 7만 정도의 단백질이 추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동결 건조녹용의 추출에는 물과 protease에 의한 추출, 열건조 녹용의 추출에는 protease와 염산에 의한 추출, 녹각의 추출에는 염산에 의한 추출이 효과적이었다.

물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동결건조 녹용의 추출 (Extraction of Freeze Dried Young Antler by Water and Proteas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7
    • /
    • 2003
  • 동결건조 녹용을 물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추출하였다. 동결건조녹용을 물추출하는 경우, 추출효율은 5% 농도로 5$0^{\circ}C$에서 6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추출물을 HPLC 분석한 결과, 물추출액에 존재하던 고분자 단백질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저분자화되었다. 저분자화율은 세균 protease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고 다음 pepsin인데, papain의 효과는 적었다. 생녹용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5시간 작용시켜서 얻은 추출액의 추출율은 세균 protease는 33.4% (280nm의 흡광도 13.25), papain은 22.4%(흡광도 10.06), pepsin은 30.2%(흡광도 11.34)였다. 30분 동안 끓인 녹용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5시간 작용시킨 용액의 추출율은 세균 protease는 47.6%(흡광도 12.54), papain은 26.4%(흡광도 7.48), pepsin은 45.6%(흡광도 7.23)였다. 단백질함량은 물추출액은 52.1%,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37.8%였고, 아미노산 함량은 물추출액은 16.3%,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31.9%였다. 회분함량은 물추출액은 8.8%,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5.6%였다. 무기물 함량은 물추출액의 경우 Ca 3.6%, P 8.6%, Mg0.01%, Na 1.4%, F 0.02%, 세균 pretense의 경우 Ca 2.5%, P 11.8%, Mg 0.046%, Na 2.1%, F 0.018%였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염산에 의한 녹용 각질의 추출 (Extraction of Freeze Dried Young Antler Residue by Proteases and HCl)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8-396
    • /
    • 2003
  • 녹용각질을 protease와 염산으로 가용화시킬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녹용을 5$0^{\circ}C$에서 물로 추출하고 난 각질에 세균 protease를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추출한 것은 32.8%(흡광도 3.61), 파파인 추출액은 23.8%(흡광도 0.94), 펜신 추출액은 31.2%(흡광도 2.96)가 녹았다. 녹용을 끓여서 추출하고 남은 각질에 세균 protease를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것은 45.0%(흡광도 3.61), 파파인 추출액은 30.4%(흡광도 0.33), 펜신 추출액은 51.2%(홉광도 2.77)가 녹았다. HPLC로 분석한 결과, 저온 물추출 각질과 열수 추출각질은 protease에 의하여 모두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티드로 작아졌다. 녹용 각질에 염산을 가하여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결과, 염산 0.1N농도에서 45%(흡광도 0.78), 0.2N에서 61%(흡광도 1.82), 0.4N에서는 81.0%(흡광도 2.29), 2.0N에서 82.0%(흡광도 3.28) 녹았다. HPLC로 분석한 결과, 0.8N 염산으로 추출한 것은 분자량 7만 정도의 피크가 58%였다. 녹용을 0.8N 염산으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분말의 단백질 함량은 8.2%, 아미노산 함량은 81.6%, 회분 함량은 1.3%를 나타냈고, 무기물 함량은 Ca 0.1%, P 2.3%, Mg 0.8%, Na 3,4%, F 0,02%를 나타냈다. 녹용각질 가용화의 최적조건은 세균 pretense를 작용시켜서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다음, 0.8N 염산으로 5시간 추출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