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choice pla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65초

일일보육계획안에 따른 일과유형 분류 및 일과유형별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Analysis on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Daily Care Plans of Child Car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Program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 박찬화;나종혜;권연희;최목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5-57
    • /
    • 2013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daily routines in child care centers based on the time planned for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outdoor activities, group activities and nap/rest. The daily routine plans of 63 classes of 0 to 2-year-olds and 51 classes of 3 to 5-year-olds were cluster analyzed. Also, openness and closeness of child care programs as well as the most participated indoor/outdoor activities were examined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nned the most time for free play choice activity and comparatively less time for outdoor play during the day. Time for rest and naps were planned more for 0-2 year-olds whereas group activities were planned more for the 3-5 year-olds. Second, 3 daily routine types were found in the daily plans of child care centers, such as "Low-Activity Oriented,"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and "Group Activity Oriented" in 0 to 2-year-old classes and 3 to 5-year-old classes. Also, "Group Activity Oriented" type in 0 to 2-year-old classes showed more "closed" child care programs than the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type. However, no difference was shown among the 3 types of daily routines in the openness and closeness of 3 to 5-year-old child care programs. Finally,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 types of daily routine, participated most in block activity and role play indoors and fixed-play equipment, sand play and free play outdoors.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striction Rules on Free Choice Activities at Their Classroom)

  • 원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85-493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자유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J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학급 내 자유놀이에 대한 제한 규칙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묻는 설문지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흥미영역 중 미술영역에 대한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는 세 가지 유형의 제한 규칙 중 인원수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제한 규칙의 필요 이유에 대한 교사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인원수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일부 영역으로 쏠리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였다. 시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다양한 흥미영역에서 놀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육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공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각 흥미영역 고유의 교육목표를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유아의 놀이 권리와 연계하여 자유놀이 제한 규칙의 의미와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a Play Rule Restricting the Number of Players)

  • 이유정;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에 따른 유아의 놀이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담임교사와 공동연구자인 도움교수였다.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 유아 관찰, 유아 인터뷰,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영역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서로 간의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위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원수 제한규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 제한, 사회정서발달 저해와 안전사고 위험, 자유선택 행동 저해 등의 역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규칙의 역기능을 인식한 연구자는 인원수 제한규칙을 해제함으로써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공간 놀이 갈등 조절에서 유아의 자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과 운영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제한규칙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규칙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관찰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연구 (The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ildre's free choice activities Monitoring System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 김경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2호
    • /
    • pp.47-53
    • /
    • 2018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교육분야에서도 시간, 장소 및 기기의 제약없이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콘텐츠 기반의 교육 솔루션들이 제공되고 있고 학습자의 개별 특성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학습을 제공하는 시스템 구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유아교육에서 자유선택활동은 중요한 놀이 활동이지만 교사들의 임상적 관찰에 의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초연결성에 기반을 둔 사물인터넷 기술을 자유선택활동에 적용한다면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유아들의 개별화된 활동 유형과 놀이 형태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을 관찰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유아들의 활동정보를 축적하여 분석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개별 유아들에 대한 맞춤 교육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Exploring Four-Year-Old Children's Peer Culture Patterns)

  • 최현주;최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41-2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일어나는 만4세반 유아의 다양한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또래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의 내면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 어린이집 만4세 하늘반의 자유선택활동을 참여관찰하고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존중하는 또래관계와 순응하는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평화적 또래문화,' 그리고 수직적 또래관계, 배타적 또래관계, 무시형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갈등적 또래문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관계형성 분석을 통해 만4세 유아의 또래문화를 밝혀 봄으로써 유아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유아의 교실문화를 폭넓게 바라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텔레프레젠스 로봇을 이용한 자기결정 경험의 증대가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자기결정 활동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적용을 통하여) (The effects of an increase in self - determination experience on the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telepresence robot.)

  • 김수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8-4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텔레프레젠스 로봇을 이용한 자기결정 경험의 증대가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행동(참여, 선택 및 선호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명의 연구 참여 아동이 오전 자유놀이시간을 활용하여 주 2회, 19회기 15분에서 40분씩 텔레프레즌스 로봇과의 활동을 하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AB설계이다. 활동이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오후의 자유놀이 시간과 작업시간을 이용하여 이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든 과정을 녹화하였다. 그리고 모든 자료는 빈도관찰기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놀이 시간에서의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참여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작업시간에서의 자폐범주성 장애유아의 선택하기 및 선호표현하기 행동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텔레프레즌스 로봇 이용 활동을 통한 자기 결정 경험의 증가가 그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선택 또는 선호 행동을 증가 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스마트교육 기반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ee Choice Activ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Education)

  • 김경민;박현숙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23-133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한 요소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유아의 개별 맞춤학습을 위한 스마트교육환경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만5세 학급에서 자유선택활동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유아 스스로 놀이 계획을 세우고 평가하는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 참여한 유아들은 놀이계획, 놀이수행 및 수행평가등 전체 활동시간을 스스로가 적극적이며 즐겁게 참여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자신의 흥미영역에 대한 활동선택에 기존교육환경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교사는 분석된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별유아의 흥미분야와 학습수준 및 교실의 각 영역별 이용형태를 혼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유아의 다중지능과 기질유형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Temperament on their Play Behaviors)

  • 차혜경;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9-9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temperaments on their play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is, 155 mothers and 21 teachers of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n observe-report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It was found that both multiple intelligences and temperament types have partial influences on pla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ldre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influences onlooker behaviors in a positive way, body-kinesthetic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rough-and-tumble play, and musical intelligence positively affects social play during free-choice play. Also, children with a difficult temperament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olitary play than children with a slow tempera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s' guidance and involvement of children's play should differ by types of temperament and levels of multiple intelligence in children.

자유선택놀이 활동에서 유아 또래관계 탐색을 위한 위치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Location Data for Exploring Infant's Peer Relationships in Free-Choice Play Activities)

  • 김정겸;이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66-472
    • /
    • 2020
  • 본 연구는 자유선택놀이 활동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탐색을 위한 위치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유아교육기관 1개 학급, 14명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위치데이터를 수집했다. 수집한 위치데이터의 전처리를 위해 스무딩 기법을 적용하여 수집 과정에서 발생한 결측치를 복구하고 파이썬의 Matplotlib를 활용해 데이터를 시각화했다. 이후 수식을 활용하여 위치데이터에서 이동거리, 유아 간 거리,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을 추출했다. 연구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1) 이동거리의 변화와 누적값 및 평균값, 2) 유아간 거리 변화와 평균 거리값 3)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와 경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육현장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의 특성, 요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학습적 처방을 통한 맞춤형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가 모든 유아를 세밀하게 관찰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아들의 또래집단 형성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에 유의미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구성놀이에서 드러나는 유아들의 과학적 사고과정 탐색 : 재미반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ion into th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on the part of Young Children as seen through Constructive Play :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Jaemi Class)

  • 백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39-1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as it is revealed through the cases of constructive play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observed and interviewed six four-year-olds in the Jaemi Class while recording them with a camcorder during a free choice activity class in the morning from April 23 to June 25, 2012. The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ories and structure as presented by the children themselves. Th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in constructive play for young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presentation of naive theories, the abandonment of naive theories according to repetitive experiences and the discovery of inconsistency, the representation of alternative theories, and the abandonment of alternative theories according to repetitive experiences and the discovery of contradic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constructive play has proved to serve a valuable educational function by inducing scientific thinking processes in children.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e researcher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to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