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amino acids compound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청국장${\cdot}$양파 첨가 피자제조 : 2. 피자토핑재료 배합비 개발 및 피자의 영양적${\cdot}$관능적 품질평가 (2. The Development of Pizza Prepared with Chungkukjang and Onion : Formulation and Assessments of Nutrients and Sensory Quality for Chungkukjang${\cdot}$ onion Pizza)

  • 성채란;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92-50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pping formula for pizza containing Chungkukjang and onion as the main ingredients. The maximum amount of onion was limited to 10.5%, since the pizza crust and toppings would separate if too much water dispelled from the onion tissue during baking. The Chungkukjang was substituted for Bulgoggi, a meat topping. The sensory acceptability scores for the pizza topping decreased as the amount of Chungkukjang increased from 3.6% to 7.3%, due to its unpleasant odor, but scores increased when 1.6% Kimchi powder was added to the Chungkukjang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Thus favorable sensory quality was obtained with a topping formula containing 8.7% Chungkukjang, 10.5% onion, and 1.6% Kimchi powder. The nutrient values of the final pizza products were assessed as follows. By adding the Chungkukjang and onion,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increased. Moreover, the calorie level of the Chungkukjang-onion pizza was 3.8%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izza. The amounts of compound amino acids including lysine increased. The free amino acids also increased from 143.3 to 188.6 mg/100 g.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s to unsaturated fatty acids changed from 1:0.71 to 1:0.81. For the consumer test, the age groups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15-29 years old, 30-39 years old, and 40-62 years old. A positive result on acceptability of the developed pizza was obtained from most of the panelists in all age groups. Over 93% of the 119 responding subjects had purchasing intentions. An, especially, strong purchaging intention was shown in the younger age group of 15-29 year-olds, even though they had a lower preference for the Chungkukjang. Finally, an attribute of satisfaction was induced based on 'health' (79.5%) and 'flavor' (15.7%).

멸치 효소 가수분해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zymatic anchovy hydrolysates)

  • 강창수;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93-105
    • /
    • 2012
  • 서해안 멸치를 이용한 저염 천연조미료를 생산하고자 시판 효소 3종을 사용하여 효소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을 파악하였다. 멸치 효소가수분해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글루타민산과 라이신이었으며,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글루타민산(12.6%), 리신(8.56%), 발린(7.06%), 아스파탐(5.73%)순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정미성분은 전체 30개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aldehyde, ketone, cyclic compound 등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물 제조과정 중 히스타민 함량의 변화는 17.1-18.1 mg/100g으로 변패에 대해 안전한 수준이었다.

저장조건에 따른 복어육의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화합물의 변화 (Change of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 Compound of Puffer Fish Fillet under Storage Condition)

  • 문승권;성기협;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9-255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under storage conditions. Free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aurine > alanine > lysine > leucine > glutamic acid > valine. Glutamic acid, lysine, histidine, arginine, proline, and aspartic acid increased over time and with increased temperature, and valine and tyrosine were affected by temperature. ATP decreased dramatically during 36 h of storage at $4^{\circ}C$, 24 h of storage at $12^{\circ}C$, and 16 h of storage at $20^{\circ}C$. IMP reached its highest level when puffer fish was stored for 36 h at 4 and $12^{\circ}C$ and 24 h at $20^{\circ}C$, and hypoxanthine levels grew steeply at 60 h at $4^{\circ}C$, 24 h at $12^{\circ}C$ and 20 h at $20^{\circ}C$. In terms of K value, the puffer fish was available for sliced raw fish within 60 h at $4^{\circ}C$, 24 h at $12^{\circ}C$ and 12 h at $20^{\circ}C$, and the fish can be taken in after cooking within 72 h at $4^{\circ}C$ and $12^{\circ}C$ and 36 h at $20^{\circ}C$.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puffer fish is available for sliced raw fish within 36 h at $4^{\circ}C$, 16 h at $12^{\circ}C$ and 12 h at $20^{\circ}C$, and that the fish can be taken after cooking within 72 h at $4^{\circ}C$ and $12^{\circ}C$ and 36 h at $20^{\circ}C$.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조성 및 지역과 계절에 따른 변동 (Comparison of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in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he Raw Anchovy (Engraulis japonica))

  • 박춘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1
    • /
    • 2000
  • 우리 나라 남해안에서 어획되고 있는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6월부터 1992년 6월까지 경남 남해군 이동면 근해와 양산군 기장면 대변리 근해어장에서 어획된 생 멸치를 계절별로 각각 4회 수집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 멸치의 엑스분 질소 함량 범위는 $444{\~}773\;mg/100\;g$으로서 높은 때는 낮은 때의 1.7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049{\~}2,079\;mg/100\;g$이었고, 함량에 있어서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glutamic acid가 많았다. Oligopeptide류 유래의 아미노산은 $517{\~}l,650\;mg/100\;g$에 달하였고,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평균$67.6{\%}$를 차지하였다. ATP 관련 화합물 총량은 평균 $5.02 {\mu}mol/g$이었으며, 그 중 IM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Betaine류는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gamma}-butyrobetaine$, 및 homarine 이 검출되었으나, 미량에 불과하였다. TMAO와 TMA는 평균 $164mg 과 16mg/100g$ 검출되었고, creatine과 creatinine은 평균 229 mg과 7 mg/100g 검출되었다.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는 지역이나 계절별로 유사한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의 회수율은 평균 $93.7{\%}$이었다.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대한 지역차를 보면 남해산은 기장산 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betaine류 및 creatine함량이 높았으나, ATP 관련화합물과 TMAO는 낮았다. 봄멸치는 가을멸치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ATP관련물질 및 betaine류가 높았으며, TMAO와 creatinine 함량은 낮았다.

  • PDF

양식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 (Muscl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8-452
    • /
    • 1997
  • 양식넙치의 식감을 검토하고자 천연어와 비교하여 일반성분, 관능검사, 물성측정, 정미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식넙치는 수분, 지질, 단백질 함량에 천연어와 차이가 없었다. 2. 기호검사에서 양식어는 생육, 가열육 모두 Texture, 맛, 종합적 선호도에서 천연어보다 유의적으로 선호되지 않았고, 식별검사에는 생육은 경도, 탄력성, 맛의 강도가 낮았고, 가열육은 천연어보다 매우 단단하고 건조하며 맛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투명감, 광택, 비린내는 두어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물성측정의 결과도 생육은 천연어보다 경도, 탄력성이 낮게, 가열육은 경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관능검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 어육의 정미성분으로서 맛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이 양식어 7.0mg%, 천연어 7.4mg%로 가장 많았고,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Glycin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아미노산들의 함유량 합계는 차이가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TP가 양식어 3.4 $\mu$mole/g, 천연어 6.2 $\mu$mole/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IMP, ADP, AMP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합계량은 양식어가 6.7 $\mu$mlole/g, 천연어가 9.4 $\mu$mole/g으로 천연어에 비해 낮았다.

  • PDF

자연산 말전복(Haliotis gigantea)과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 조성 비교 (Overall Composition, and Levels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Nucleotide-type Compounds in Wild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장미순;장주리;박희연;윤호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3-5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일반성분을 비롯한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비교 분석하여 전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을 육과 내장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육의 경우 자연산 말전복이 양식산 참전복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장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에 비해 양식산 참전복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조지질 함량은 자연산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에 공통적으로 육보다는 내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산 말전복의 내장에 조지질 함량이 $2.02{\pm}0.1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연산 말전복 및 양식산 참전복의 육과 내장의 포화지방산(SFA)으로는 palmitic acid (16:0),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으로는 oleic acid (18:1n-9),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으로는 eicosatrienoic acid (20:3n-3, ETA), eicosapentaenoic acid (20:5n-3, EPA) 및 docosahexaenoic acid(22:6n-3, DHA)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오메가-3 지방산인 EPA와 DHA의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의 육에 양식산 참전복의 육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에서 총 17개의 구성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rginine 등이 확인되었고, cystine, methionine, histidine 등의 함량은 낮았다. 또한,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alanine, arginine, glycine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연산 말전복의 육과 내장에 더 많은 taurine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연산 밀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핵산관련물질의 총 함량은 각각 12.93 mg/100g 및 30.75 mg/100g으로 2배 이상의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 간에는 약간의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복의 먹이 섭취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역, 성별 및 중량에 따른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맛 및 영양 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the Taste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Domestic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according to the Area Caught, Sex, and Weight)

  • 조현수;김기현;김민지;김현정;권대현;임양재;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9-13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aste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domestic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as affected by the area caught, sex, and weight. Regardless of these three parameters, free amino acids comprised the main factor affecting taste in all B. pulchras. Taste values for B. pulchra ranged from 2.24 to 3.61, which were much lower than values for other fish.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n B. pulchra ranged from 18.82 to 21.34 g/100 g, similar to values in other fish. The major amino acids affecting both the taste value and total amino acid in B. pulchra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Mineral content in B. pulchra was as follows: calcium, 252.7-288.3 mg/100 g; phosphorus, 248.2-269.3 mg/100 g; potassium, 345.9-389.5 mg/100 g; magnesium, 24.1-26.7 mg/100 g; and iron, 0.4-0.7 mg/100 g. Based on the results of free amino acid and taste value (used as an indicator to evaluate taste), and total amino acid and minerals (used as an indicator to evaluate nutritional value), the taste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 pulchra were not influenced by the area caught or weight, but were affected by the sex of the fish.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L.) 수벌번데기 동결건조 분말의 영양학적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Effect of Freeze-Dried powder of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L.) Drone (Pupal stage))

  • 김정은;김도익;구희연;김현진;김성연;이유범;김지수;김호혁;문제학;최용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65-2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양봉산물로서의 가치 평가와 제품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벌번데기(16 ~ 20일령)의 영양성분분석 및 이를 이용한 추출물을 제조하고 생리활성 효과를 검정하였다. 수벌번데기 동결건조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1.69 ± 0.07%, 조단백 48.52 ± 0.20%, 조지방 23.41 ± 0.14%, 조회분 4.05 ± 0.02% 였고, vitamin C 14.92 ± 0.52 mg/100 g, vitamin E 6.06 ± 0.11 mg α-TE/100 g 이었으며, 무기성분은 K과 P의 함량(mg/100g)이 각각 1,349.13 ± 34.57 및 1,323.55 ± 43.85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고, Ca과 Fe의 함량은 각각 55.43 ± 1.51 및 5.49 ± 0.19가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벌번데기 동결건조분말 중에 함유된 지방산은 포화지방산(g/100g total fatty acids)이 약 59.62, 불포화지방산이 약 40.38을 차지하였고, 고급지방산인 palmitic acid (C16:0)가 35.49 ± 0.08, 그리고 oleic acid (C18:1, n-9)가 35.91 ± 0.22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아미노산(g/100 g)은 총 38.99 ± 2.63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유리아미노산(mg/100 g)은 총 5,129.04 였으며, 이중 proline이 1,257.68, glutamic acid가 759.12로 가장 높았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ml)은 증류수추출 시 0.8, 50% EtOH 추출 시 3.2, 70% EtOH 추출 시 6.4, 그리고 EtOH 추출 시 32 농도에서 약 90%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항산화능에 기여하는 주요 화합물이 극성계 화합물임으로 추정되었으며, 저분자단백질 또는 유리형 아미노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수벌번데기는 우수한 식품원료로의 사용과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닭머리 육수 제조 조건의 최적화 및 성분 분석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Food Components for Chicken Head Soup Base)

  • 최성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68-477
    • /
    • 2011
  •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for chicken head soup base were determin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sensory properties.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evaluated were yellowness, turbidity, bloody, chicken-brothy, organ meat-like, and fat-like flavor. All valu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ncreased remarkably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The optimum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were determined to be 1800 g and 150 minutes, respectively. Chicken head soup base had less fat,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its derivatives, but had significantly more cholesterol, sodium, and iron than whole chicken soup base. In flavor compound analysis, the amount of hexanal of the chicken head soup base, which is related to fat rancidity flavor, was 11-fold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chicken soup base.

페파크로마토그라피에 依한 發芽綠豆의 遊離아미노酸代謝의 硏究 (第 1 報${\sim}$第 2 報) (第 2 報) 發芽綠豆中의 未知窒素化合物에 關하여 (Studies on the Free Amino Acids Metabolism in Germinating Mung Bean by Paper Chromatography. (Part $1{\sim}2$) (Part 2) Unknown Nitrogen Compound in Germinating Mung Bean)

  • 김태린;송창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17
    • /
    • 1961
  • A ninhydrin positive substance(formed during germination of Mung Bean) which on a 2-dimensional chromatography(BuOH-HAc, and$ PhOH-NH_2$ gave a spot above glutamic acid was isolated by cutting out the appropriate spot on the paper and extracting the paper with water. Hydrolysis of this substance with $2N H_2SO_4\;or\;3N\;HCl\;at\;120^{\circ}C$ for 15 hours gave the spot of mainly glutamic acid, alanine and very faint of glycine and cysteine on a paper chromatography. It is suggested that the reaction of ${\gamma}$-glutamyl-cysteinecyl-glycine + L-alanine in the presence of ${\gamma}$-glutamyle transferase ${\rightarrow}$ ${\gamma}$-glutamyl-alanine + cysteinyl-glycine, takes place in germinated Mung Be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