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ilty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2초

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가 재가허약노인의 체력, 허약, 및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on Community-dwelling Frail Elders'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 김희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on community-dwelling frail elder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and to compare the effects among three regio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86 subjects were sampled from three regions (metropolis, small city, and rural area). The program was applied for 14 weeks. This program consisted of disease management by a visiting nurse, exercise with a visiting nurse, self exercise, telephone monitoring, health education, counseling, providing handbook, and incentive. Physical strength was measured by balance, upper-limb, and lower-limb muscle strength. Frailty was measured by the Korean Frail Scale and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pplying the complex program.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Conclusion: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frail elder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Therefore,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needs to be expanded to other regions.

동측치가 많은 FRAILTY 모형의 분석 (Analysis of the Frailty Model with Many Ties)

  • 김용대;박진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1호
    • /
    • pp.67-81
    • /
    • 2005
  • 프레일티모형에 대한 기존의 추론방법은 동측치가 많은 경우에 그 성능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사용된 경험적 우도함수가 동측치가 많은 자료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측치가 많은 프레일티 모형에서의 새로운 추론방법을 제안한다. 이항형태의 경험적우도함수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부스트랩을 사용하여 모수의 사후분포를 구한다. 제안된 방법의 장점은 기존에 제안된 주변최대우도추정량에 비하여 계산이 수월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증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을 주변최대우도추정량과 가상실험을 통하여 비교한다.

On prediction of random effects in log-normal frailty models

  • Ha, Il-Do;Cho, Geon-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1호
    • /
    • pp.203-209
    • /
    • 2009
  • Frailty models ar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rrelated and/or heterogeneous survival data. However, the inferences of fixed parameters, rather than random effects, have been mainly studied. The prediction (or estimation) of random effects is also practically useful to investigate the heterogeneity of the hospital or patient eff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to extend the prediction method for random effects in HGLM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to log-normal semiparametric frailty models with nonparametric baseline hazard.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by a simulation study.

  • PDF

칼슘/비타민D 섭취와 택견운동이 노인 허약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lcium/Vitamin D Intake and Taekkyeon Exercise on the Elderly's Frailty)

  • 이광옥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85-19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aking calcium/vitamin D supplements and performing Taekkyeon exercises on the frailty of the elderly targeting a vulnerable senior social group. Methods: A total of 124 people aged 65 and older consisting of 60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4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a chi-square test and t-test while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railty and bone density with the practice of Taekkyeon and a calcium agent using t-test and GEE.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frailty and bone dens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alcium/vitamin D intake and Taekkyeon exercises were an effective intervention which strengthened the elderly's physical condition.

다수준 프레일티모형 변수선택법을 이용한 다기관 방광암 생존자료분석 (Analysis of multi-center bladder cancer survival data using variable-selection method of multi-level frailty models)

  • 김보현;하일도;이동환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499-510
    • /
    • 2016
  • 생존분석 회귀모형에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frailtyHL" R 패키지 (Ha 등, 2012)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준 프레일티 모형 (multi-level frailty models)에서 벌점화 변수선택 방법 (penalized variable-selection method)의 절차를 소개한다. 여기서 모형 추정은 벌점화 다단계 가능도에 기초하며, 세 가지 벌점 함수 (LASSO, SCAD 및 HL)가 고려된다. 개발된 방법의 예증을 위해 벨기에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유럽 암 치료기구)에서 수행된 다국가/다기관 임상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세 가지 변수 선택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들의 상대적 장 단점에 대해 토론한다. 특히,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SCAD와 HL방법이 LASSO보다 중요한 변수를 잘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재가노인의 허약정도와 예측요인 (Predictors and Frailty Level in the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 박정숙;오윤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3호
    • /
    • pp.129-139
    • /
    • 2016
  • 본 연구는 재가 허약노인의 허약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허약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인 특성, 건강증진행위, 역량강화, 사회참여, 주관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를 분석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재가노인의 허약정도 점수는 31점 만점에 10.05점으로 고위험 허약노인군에 포함되었고,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56점, 역량강화는 5점 만점에 2.74점, 사회참여는 5점 만점에 2.58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14점 만점에 7.17점으로 중간 정도였다. 재가노인의 허약정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불만족일수록 심했으며, 허약정도와 건강증진행위, 역량강화, 사회참여, 주관적 건강 상태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허약정도를 설명하는 예측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연령으로 나타났고, 이 세 변수가 허약정도의 37.4%를 설명하였으며, 이중 주관적 건강상태가 가장 주요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가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요인들을 반영한 중재전략을 개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재가노인의 허약정도를 사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재가노인의 허약정도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는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므로 재가노인의 허약을 예방, 관리하는 프로그램에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할 것을 제언한다.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 (Role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as a Predictor for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 진영윤;박진국;강현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6호
    • /
    • pp.263-272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에 대한 보행 변동성과 체력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기관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나이 75.07±5.40)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조성, 보행 변인 및 변동성, 체력, 인지기능, 우울상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ried et al.(2001)의 허약진단 지표(체중감소, 정서적 고갈, 신체활동, 보행속도, 악력)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허약으로 구분하였다.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 변인 및 변동성 그리고 체력의 역할을 검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이, 교육수준, 보유한 질병 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점수와 우울점수를 통제 한 후 허약그룹은 정상그룹(OR=1)과 비교하였을 때, 두 다리 지지비율(OR=1.48, 95% CI=0.10-2.21, p=.049) 및 분당 보폭수(OR=2.06, 95%CI=1.20-3.43, p=.009)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체근력(OR=0.49, 95%CI=0.31-0.77, p=.002)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허약의 예측인자로 나타난 두발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수의 변동성 그리고 상체근력은 허약 상태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railtyHL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프레일티 모형의 변수선택: 유방암 생존자료 (Variable Selection in Frailty Models using FrailtyHL R Package: Breast Cancer Survival Data)

  • 김보현;하일도;노맹석;나명환;송호천;김자혜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965-976
    • /
    • 2015
  • 통계적 모형에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것은 회귀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벌점 함수(예: LASSO 및 SCAD)와 함께 벌점화 가능도를 사용하는 변수 선택 방법들이 선형모형 및 일반화 선형모형과 같은 단순한 통계 모형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주요 장점은 중요한 변수를 선택하고 동시에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들은 0으로 회귀계수를 추정함으로써 중요하지 않은 변수를 삭제한다. 이 논문에서는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의 한 확장인 준 모수적 프레일티 모형에서 벌점화된 다단계 가능도(h-likelihood; HL)를 기반으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벌점 함수 LASSO, SCAD 및 HL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변수선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frailtyHL" R 패키지 (Ha 등, 2012)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의 예증을 위해 전남대 의과대학 병원에서 수집된 유방암 생존자료를 이용하여 세 가지 변수 선택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고, 이 변수선택방법들의 상대적 장 단점에 대해 토론한다.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관련요인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Using a Senior Center)

  • 하지연;박연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8-437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ealth statu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 in older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86 older people (mean age =68.2yrs, 65.1% Female) registered at one senior center.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or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 The instruments were the Modified Health Behavior Assessment Scale, Stanford Research Instruments for Chronic Disease, Self-Efficacy, SOF Frailty Index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58.6% older adults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positively.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Self-rated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health distress, depression, and frail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Frailty, education level, and sleep disturbance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the health behaviors.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nurs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education level of older adults to promote their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maintaining the quality of sleep and preventing frai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