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ole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as a Predictor for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

  • Received : 2018.09.23
  • Accepted : 2018.11.01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with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In a cross-sectional design, 168 elderly women, aged 65 years and older (75.07±5.40 years), measured body composition, gait parameters gait variability, physical fitness variables, MMSE-DS and CES-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robust, pre-frail, and frailty based on the Fried et al.(2001) criteria for frailty weight loss, exhaustion, low hand-grip strength, low gait speed, and physical inactivit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frailty status for having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s. Compared to the robust group (OR=1), the frailty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ORs of having terminal double limb stance (OR=1.48, 95% CI=0.10-2.21, p=.049), step cadence (OR=2.06, 95%CI=1.20-3.43, p=.009) variability, and significantly lower ORs of having upper-strength (OR=0.49, 95%CI=0.31-0.77, p=.002)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comorbidity, K-IADL, MMSE-KC and CES-D score.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erminal double limb stance, step cadence and upper body muscular strength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frailty.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에 대한 보행 변동성과 체력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기관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나이 75.07±5.40)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조성, 보행 변인 및 변동성, 체력, 인지기능, 우울상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ried et al.(2001)의 허약진단 지표(체중감소, 정서적 고갈, 신체활동, 보행속도, 악력)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허약으로 구분하였다.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 변인 및 변동성 그리고 체력의 역할을 검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이, 교육수준, 보유한 질병 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점수와 우울점수를 통제 한 후 허약그룹은 정상그룹(OR=1)과 비교하였을 때, 두 다리 지지비율(OR=1.48, 95% CI=0.10-2.21, p=.049) 및 분당 보폭수(OR=2.06, 95%CI=1.20-3.43, p=.009)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체근력(OR=0.49, 95%CI=0.31-0.77, p=.002)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허약의 예측인자로 나타난 두발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수의 변동성 그리고 상체근력은 허약 상태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