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gility curv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3초

탄성계수에 대한 SA 손상도 곡선의 안정성 (Stability of SA Fragility Curves on Elastic Modulus)

  • 이종헌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07-214
    • /
    • 2006
  • In this paper, the stability of SA(Spectral Acceleration) fragility curves is studied for the two sets of elastic modulus of concrete. In doing that, general purpose structural analysis program and generally us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re used.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are represented by Bernoulli distribution which says damage or no damage. By the use of Maximum Likelihood Method, two parameters of lognormal distribution -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 are found. With them, the fragility curves are constructed.

  • PDF

탄성계수의 변화에 따른 교량의 해석적 손상도 곡선의 안정성 (Stability of Analytical Fragility Curve of Bridge on Elastic Modulus)

  • 이종헌;강신열;김태형;이수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75-182
    • /
    • 2008
  •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위험도를 해석하는 경우, 여러 위험 단계에 대한 구조물의 취약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량과 같은 구조물은 지진에 저항하는 능력을 가져야하므로, 지진 격리장치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해 지진에 대한 손상 해석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진의 영향으로 최대지반가속도(PGA), 최대지반속도(PGV), 스펙트럼가속도(SA), 스펙트럼속도(SV), 스펙트럼강도(SI)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납면진 받침을 갖는 교량의 손상도 곡선을 구하고, 탄성계수의 변화에 따른 이들 손상도 곡선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지진의 변화에 따른 교량의 해석적 손상도 곡선의 안정성 (Stability of Analytical Fragility Curve of Bridge on Earthquake)

  • 이종헌;이수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통권54호
    • /
    • pp.145-152
    • /
    • 2009
  •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위험도를 해석하는 경우, 여러 위험 단계에 대한 구조물의 취약도 또는 손상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량과 같은 구조물은 지진에 저항하는 능력을 가져야하므로, 지진 격리장치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해 지진에 대한 손상 해석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진의 영향으로 최대지반가속도(PGA), 최대지반속도(PGV), 스펙트럼가속도(SA), 스펙트럼속도(SV), 스펙트럼강도(SI)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납면진 받침을 갖는 교량의 손상도 곡선을 구하고, 입력 지진의 변화에 따른 이들 손상도 곡선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손상도 곡선 작성을 위한 한국형 인공지진의 생성 (Generation of Korean artificial earthquakes for Fragility curve)

  • Nam, Youngyoon;Lee, Jonghe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06-412
    • /
    • 2015
  • 최근 들어 빈번히 일어나는 지진은 교량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설되는 교량에는 내진설계를 고려하고 기존의 노후 교량에는 손상도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논문은 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손상도 곡선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기존 연구에 적용된 미국형 인공지진을 우리나라 설계기준에 부합하는 한국형 인공지진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연구한 것으로써, 지진의 지반특성인 최대지반가속도(PGA)에 대해 면진받침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에 대한 손상도 곡선을 작성하며 그에 적합한 인공지진의 생성방법을 도출하였다.

A new methodology development for flood fragility curve derivation considering structural deterioration for bridges

  • Lee, Jaebeom;Lee, Young-Joo;Kim, Hyunjun;Sim, Sung-Han;Kim, Jin-Ma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149-165
    • /
    • 2016
  • Floods have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ain causes of bridge collapse. Contrary to earthquakes, flood events tend to occur repeatedly and more frequently in rainfall areas; flood-induced damage and collapse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disasters in many countries. Nevertheless, in contrast to extensive research on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civil infrastructure,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flood-related fragility.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ology for deriving flood fragility curves for bridges. Fragility curves are generally derived by means of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failure modes are defined as excessive demands of the displacement ductility of a bridge under increased water pressure resulting from debris accumulation and structural deterioration, which are known to be the primary causes of bridge failures during flood events. Since these bridge failure modes need to be analyzed through sophisticated structural analysis, flood fragility curve derivation that would require repeated finite element analyses may take a long time.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flood-induced failure of bridges efficiently, in the proposed framework, the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FORM) is employed for reducing the required number of finite element analyses. In addition, two software packages specialized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ERUM (Finite Element Reliability Using MATLAB) and ABAQUS, are coupled so that they can exchange their inputs and outputs during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and a Python-based interface for FERUM and ABAQUS is newly developed to effectively coordinate the fragility analysis. The proposed framework of flood fragility analysis is applied to an actual reinforced concrete bridge in South Korea to demonstrate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approach.

2주탑 콘크리트 사장교의 경계조건별 지진 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by Boundary Conditions of a Two-pylon Concrete Cable-stayed Bridge)

  • 신연우;홍기남;연영모;지상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77-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주탑 콘크리트 사장교를 대상으로 경계조건에 따른 지진 취약도 곡선을 작성하고, 경계조건이 교량의 지진 취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교량에 대한 해석모델이 Midas Civil을 사용하여 구축되었고 Fiber요소와 콘크리트, 철근의 재료모델을 적용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주탑과 보강형 사이의 경계조건을 강결, 비구속, 포트받침, 면진받침의 총 4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계조건에 대해 지진 취약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주탑의 소성힌지구간과 연결부, 케이블을 취약부재로 선정하고 이 부재들에 대해 지진 취약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주탑의 소성힌지구간과 연결부에서는 면진받침모델이 가장 낮은 손상확률을 나타내고, 케이블의 지진 취약도는 경계조건에 의한 영향이 다른 부재에 비해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엑스트라도즈드교의 정적 풍하중 취약도 분석 (Static Wind Fragility Analysis of an Extradosed Bridge)

  • 김두기;김동현;서형열;이창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07-11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정적 풍하중에 대한 교량의 취약도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대상 교량인 6경간 엑스트라도즈드교에 대하여 정적 풍하중 취약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적 풍하중산정과 하중조합은 국내 설계기준을 사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때 정적 풍하중에 대한 불확실성과 확률분포 특성은 난수를 사용하여 고려하였다. 취약도 곡선은 대수 정규분포함수의 형태로 나타내었으며, 이때 변수인 중간값과 대수표준편차는 최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method)에 의하여 구하였다. 취약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상교량은 정적 풍하중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지진 취약도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Fragility of Concrete Faced Rockfill Dam)

  • 백종민;박두희;윤지남;최병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03-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반진동 강도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 석괴댐(CFRD)의 확률론적 피해예측을 위하여 취약도 함수를 개발하였다. 댐의 손상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지표인 댐마루 침하량을 손상지수로 사용하여 경미(Minor), 중간(Moderate), 심각(Severe) 손상수준을 정의하였다. 침하량은 댐 표준단면에 대한 비선형 동적 수치해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은 원심모형시험결과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취약도 곡선은 대수정규분포함수로 나타내어 최대지반가속도를 기준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취약도 곡선은 댐의 실시간 피해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eismic fragility and risk assessment of an unsupported tunnel using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 Moayedifar, Arsham;Nejati, Hamid Reza;Goshtasbi, Kamran;Khosrotash, Mohammad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6권6호
    • /
    • pp.705-714
    • /
    • 2019
  • Seismic assessm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is one of the challenging problems in engineering design. This is because there are usually many sources of uncertainties in rocks and probable earthquake characteristics. Therefore, for decreasing of the uncertainties, seismic response of underground structures should be evaluated by sufficient number of earthquake records which is scarcely possible in common seismic assessm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present study, a practical risk-based approach was performed for seismic risk assessment of an unsupported tunnel. For this purpose,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was used to evaluate the seismic response of a tunnel in south-west railway of Iran and different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15 real records of earthquakes which were chosen from the PEER ground motion database. All of the selected records were scaled to different intensity levels (PGA=0.1-1.7 g) and applied to the numerical models. Based on the numerical modeling results, seismic fragility curves of the tunnel under study were derived from the IDA curves. In the next, seismic risk curve of the tunnel were determined by convolving the hazard and fragility curves. On the basis of the tunnel fragility curves, an earthquake with PGA equal to 0.35 g may lead to severe damage or collapse of the tunnel with only 3% prob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moderate damage to the tunnel is 12%.

서울시 모델 구역 지진피해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Seismic Damage Estimation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 윤의택;류혁;강태섭;김재관;박창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41-52
    • /
    • 2005
  • 서울시 모델 구역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가상 시나리오 지진에 의한 피해를 추정하였다. 다양한 주거 및 구조 특성을 대표할 수 있고 지반 증폭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지역을 모델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델 구역 내 건축물은 구조 형식에 따라 11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HAZUS에서 제시한 값을 사용하여 역량 곡선(capacity curve)과 취약도 곡선(fragility curve)을 생성하였다. 가상 시나리오 지진의 지반 운동은 인공 지진 운동 생성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 구역을 표토층 두께에 따라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축물의 피해 확률은 역량 스펙트럼 방법과 취약도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GI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모델 구역 내 건축물의 전반적 피해 정도를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