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ndation ston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경주 월성 지하유구에 대한 GPR 탐사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GPR Data Applied on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 오현덕;신종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4호
    • /
    • pp.256-261
    • /
    • 2004
  • 경주의 월성에 대한 발굴 작업 없이도 고고학적인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비파괴 조사방법의 일환인 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법을 적용하여 지하유구의 존재 상황을 조사하였다. 이는 현대고고학과 지구물리학을 접목하여 향후 발굴계획이나 고고학적 연구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의미도 있다. GPR 탐사는 석빙고 앞 및 성의 동편 끝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며 향후 3차원 자료처리 및 해석을 위해 조사대상지 전체에 대해 조밀한 측선을 설정하였다. 구성된 3차원 볼륨 자료를 고고학적으로 해석한 결과, 대형 건물지 7채와 담장 및 성의 출입시설, 수많은 초석들, 도로,그리고 원지 등을 추정할 수 있었다.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Rammed Earth Construction :The Case Restoration Project of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 Min, Hwang-Sik;Choen, Deuk-Youm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65-73
    • /
    • 2018
  • The restoration of foundations supporting the immense load of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prioritizes securing its structural stability. But so far, rammed earth construction is still not easy to determine the structural stability. This paper aims to emphasize that a scientific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a rammed earth construction, to identify its methodology and obtain objective data about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oundation work. An experimental study fabricated specimens from the soil that had been removed during the excavation survey, determined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through plate load test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predicted stress after reassembly of the stone pagoda to estimate the structural stability. Then, the repair method was selec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result.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restoration of foundations consisted of an examination of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The allowable bearing of the reinforced foundation was more than twice the contact pressure under the stacked stones of the pagoda. The possibility of settlement of the rammed earth foundation soil layer during the pagoda assembly is expected to be very low because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reformed soil layer is less than half of the settlement of the stabilized existing soil layer.

Six Sigma and the Cost of(Poor) Quality

  • Aca;U, Jichao-X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3권2호
    • /
    • pp.159-173
    • /
    • 2002
  • Any organization's Six Sigma program may be at high risk without heeding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past and that tries to operate without a robust business foundation. A foundation that preferably should consist of stepping-stones such as a 5-S house-keeping program, an effectiv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MS), which includes a strong focus on planning for quality to fully capture the Voice of the Customer (VOC), and an organization-wide training scheme, as well as a reliable Cost of Poor Quality (COPQ) system. That's the best advise I can give to any organization that wishes to embark on a Six Sigma improvement program and hope to be successful. The paper will elaborate on the above issues and provide suggested solutions based on the review of published historical information and the experiences encountered over the last four decades by the author, as a quality practitioner and consultant, in industries that produced safety-critical product. This author maintains that few fundamentally new or useful things have been created in the field of Quality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Nevertheless, this paper deliberates on a number of relatively “newer” issues including the concept of “three types of customers”, the CTC, “Critical To Customer” term, the eight Quality Management Principles of the new ISO 9000 family, the growth of industry-specific standards, the adoptio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the rebirth of AS2561 COQ standard, the spread of Six Sigma as well as related ASQ certification and the need for a robust business foundation to ensure Six Sigma survival.

고대 백제.신라.일본의 초석 형태에 따른 공간위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hierarchy by the form of the basestone in ancient architecture between Baekje, Silla and Japan)

  • 한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3-10
    • /
    • 2008
  • The basestone is a kind of foundation part of the building and can be said to deliver the loads from the upper part to ground. It is the explanation of structural role for the basestone. But the basestone has been used as the decorative element in a building. So this study is on design of the basestone. First the type division can be studied as form of the basestones. Also the investigation of development aspect of them needs to as time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other goal of this study i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asestone from the comparison to the basestone in ancient Japan was initiated in the architectural technology from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aekje rectangular basestones were used in static space for ceremony and circular ones were used in dynamic space for life. Also the basestones with joojwa(smoothing surface for sitting on column) were used for accessory buildings rather than main. In Silla the same type of basestone was made in a temple but according to hierarchy of buildings the sizes of them seem to have been different. The other side in Japan carved basestones were for the main buildings and for the accessory natural stones were used to.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buildings the kinds of stones were different.

강화노반 쇄석재료의 전단강도특성을 고려한 영구변형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ermanent Deformation Prediction Model for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based on Shear Strength Parameters)

  • 임유진;황정규;조호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23-630
    • /
    • 2012
  • 궤도하부층의 지지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강화노반은 통상 일정 입도분포의 쇄석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강화노반은 통과톤수의 누증 즉, 과도한 열차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구변형은 궤도틀림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강화노반 재료의 적정두께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구변형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강화노반 재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M-40 쇄석재료를 선정하여 대형반복삼축시험을 실시하여 재료의 회복탄성 특성과 영구변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으로부터 임의 전단응력비 및 반복재하횟수에 따른 회복탄성계수 특성과 영구변형 발생특성을 분석하였으며 M-40 쇄석강화노반 재료의 영구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반복재하횟수, 구속압, 전단응력비, 탄성계수 등)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영구변형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 오준영;이재용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9
    • /
    • 2021
  •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상을 조명하기 위한 의도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창덕궁 내 점경물의 복원정비계획 수립에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901년 체코인 브라즈가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당시 낙선재 후원에는 석지(石池)와 괴석을 비롯해 총 6기의 점경물이 소재했다. 후원의 지면에는 금사연지(琴史硯池)로 불리는 석지와 괴석 2기, 화계 1단에는 괴석 3기가 배치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부터 괴석의 임의적인 재배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그 과정에서 본래 화계 1단에 위치했던 괴석 2기는 경훈각(景薰閣) 후원으로 이설된 상태이다. 둘째, 「동궐도」가 제작된 조선후기와 달리 1900년대 초반 주합루 후원에는 괴석 2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외형, 규격, 의장이 유사한 전통적 양식의 점경물이었다. 하지만 주합루 후원의 괴석은 모두 1970~1980년대에 타지로 이설되어 현재는 고유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1기는 빙천(氷泉) 입구와 금천교 인근을 거쳐 애련정 후면에, 또 다른 1기는 연경당 장락문(長樂門) 앞에 남아 있다. 셋째, 과거 존덕정 일곽에 소재했던 점경물 중 괴석 1기는 현재 구성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정자 주변 석교와 영화당 인근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영화당 인근의 대석은 1990년 무렵 앙부일구 모조품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이설되었다. 또 다른 괴석 1기는 후원 정문으로 이설된 이후 현재는 소재 파악이 어려우며, 본래 위치에는 완전히 상이한 형태의 점경물이 새롭게 배치되어 있다. 넷째, 대보단지에 현존하고 있는 대석 2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이왕직청사(李王職廳舍) 현관 기둥의 초석으로 사용되던 건축 부재였다. 해방 이후 이왕직청사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되고, 1960년 무렵 사무총국 건물이 전소되자 기단 위에 배치되어 있던 석상(石像)과 대석이 대보단지로 이설되었다. 대보단지의 대석은 건축부재가 점경물로 오인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하중 및 기초조건에 따른 GCP 복합지반의 거동분석 (Analysis of Behavior on GCP Composite Ground Considering Loading and Foundation Conditions)

  • 김경업;박경호;김대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7-137
    • /
    • 2018
  • 쇄석다짐말뚝(Gravel Compaction Pile, 이하 GCP)는 느슨한 사질토지반이나 연약한 점토지반에 쇄석을 다지고 압입하여 원지반에 말뚝을 조성함으로써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다. 국내 GCP공법은 많은 연구자들이 실내실험, 현장실험 등을 이용해 GCP 복합지반의 응력거동을 분석하였으나, GCP 복합지반의 상부에 재하되는 매트기초의 강성 차이에 따른 거동분석은 다소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기초의 강성 차이에 따라 응력분담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치환율을 변화시켜 모델링하고, 강성 차이에 따라 복합지반의 응력분담비와, 침하량 및 최대 수평변위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성기초의 하중재하시 응력분담비는 연성기초의 하중재하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연성하중재하조건에서의 침하량은 강성조건에서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상부기초의 강성 차이에 대한 응력거동 특성을 명확히 규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대 수평변위는 강성의 차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위치에서 최대 변위가 발생하였다.

안벽구조물에 대한 Centrifuge 모형실험과 수치해석 (Centrifug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on Coastal Structure)

  • 유남재;김동건;전상현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65-72
    • /
    • 2009
  • In this paper centrifug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on the coastal structure on the marine deposits of san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structure and foundation under the condition of wave action in field. In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construction sequence of coastal structure such as preparation of sand deposit, excavation replacement, rubble mound with crushed stones and installment of coastal structure was reconstructed and the behavior of ground settlement during stage of construction was observed during tests. For the final stage of sim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coastal structure due to wave force, horizontal load was applied by horizontal loading apparatus being specially designed so that horizontal displacement of structure could be observed. Numerical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and it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est results to assess the property of centrifuge mode experiments with respect to the behavior of structure as well as ground.

  • PDF

GPR을 이용한 경주 월성 지하유구의 고고학적 해석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for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using GPR)

  • 오현덕;신종우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180-189
    • /
    • 2004
  • (반)월성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한 왕성으로 특유한 반달모양을 하고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우리의 신라 천년왕조의 역사를 가진 자랑스러운 월성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그 신비함이 아직까지 간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월성의 신비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고고학적인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GPR(Ground Penetrating Radar)탐사 조사법을 적용하여, 향후 발굴계획이나 고고학적 연구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과 현대고고학과 지구물리학의 접목의 전기를 마련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사면적은 월성 전체면적의 $10\%$에 해당하는 $12,000m^2$로 석빙고 앞 및 그 주변을 탐사하였으며, 그 결과, $8{\times}8m^2$ 크기의 건물 7채와 담장 및 성의 출입시설, 수많은 초석들, 도로(추정), 그리고 직경 35m크기의 연못으로 추정되는 반응들이 확인되었다.

  • PDF

황룡사 창건 구층목탑 단상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the Original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 이주헌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196-219
    • /
    • 2019
  •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황룡사 구층목탑은 백제의 장인 아비지(阿非知)에 의해 선덕여왕 13년(645)에 건립된 것으로 전한다. 이후 고려 고종 25년(1238) 몽고군의 침략으로 사찰이 완전히 불타버리기 전까지 약 700년 동안 당시대인의 정신문화 속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상징이자 호국불교의 구심체로서 존재하였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문헌기록과 발굴조사 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에 대한 구조와 전체적인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복원안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그들이 제시한 황룡사 목탑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현재 남아 있는 목탑지의 외형적인 형태와 단순한 목구조를 가정한 사각구층의 형태였다. 이는 관련 자료의 부족과 제한된 지식으로 인해 황룡사 창건 목탑의 기술적 계보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부족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어서 새로운 자료의 발견과 고대 대형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충분히 수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2005년부터 진행된 <황룡사 복원 연구>를 통해 정리된 목탑지에 대한 재분석 자료를 근거로 동아시아 고대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 속에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계보와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함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황룡사 창건 목탑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걸쳐 적어도 두 번의 큰 중창을 겪는 동안 기단의 규모와 평면 형식 등이 변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상부 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발굴조사 결과 드러난 유구에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구층목탑과 관련된 흔적은 현재 판축으로 조성된 기단토와 심초석 정도이며, 그외 초석과 기단 석재 등 대부분은 9세기 이후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실질적인 구조는 당시 동아시아 대형 불탑의 변화과정 속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기술적 계보는 북조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대형 불탑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에 표현된 9층 마애탑의 모습과 황룡사지 강당지에서 출토된 금동제 불탑 난간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고고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이미지를 추정해본다면 외형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지금까지 우리가 인식하고 있던 순수한 목구조를 한 사각구층탑과는 다른 형태로 파악되는데, 아마도 실심체를 갖춘 이원 구조의 팔각구층탑일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