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 Oh, Jun-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Yong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21.01.25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focusing on Nakseonjae(樂善齋), Juhamnu(宙合樓), Jondeokjeong(尊德亭), and Daebodanji (大報壇址).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of the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photo taken by the Czech Vráz, in 1901, a total of six garden ornaments, including a stone pond and odd-shaped stones, were located in the backyard of Nakseonjae. Since liberation, arbitrary relocation of garden ornaments has frequently occurred, and in the process, two odd-shaped stones, originally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terraced flower bed,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backyard of Gyeonghungak(景薰閣). Second, unlike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Donggwoldo(東闕圖)」 was produced, odd-shaped stones we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backyard of Juhamnu in the early 1900s. It was a traditional style garden ornament with similar appearance, size, and design. However, all the odd-shaped stones in the backyard of Juhaumnu were relocated to other places in the 1970s and 1980s. One is located at the rear of Aeryeonjeong(愛蓮亭) through the entrance of Bingcheon(氷泉) and the vicinity of Geumcheongyo(錦川橋), and the other remains in front of the Yeongyeongdang Jangnakmun(演慶堂 長樂門). Third, among the garden ornaments located in the area of Jondeokjeong in the past, one odd-shaped stone is now relocated around the stone bridge near the pavilion and the Yeonghwadang(暎花堂) with its components separated. The bondstone near Yeonghwadang was relocated in 1990 for the purpose of installing an imitation of Angbuilgu(仰釜日晷). Another odd-shaped stone has been relocated to the front door of the Secret Garden(後苑), and now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ocation. Fourth, the two bondstones remaining in the Daebodanji were actually building materials that were used as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entrance pillars of the Yi Royal Office Building(李王職廳舍)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the Yi Royal Office Building was reorganized into Imperial Estate Administration Office(皇室財産事務總局), and when the office building was burned down in 1960, the stone statues and foundation stones placed on the stylobate were relocated to the Daebodanji. The bondstone at Daebodanji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nstruction materiasl being mistaken for gaeden ornaments.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상을 조명하기 위한 의도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창덕궁 내 점경물의 복원정비계획 수립에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901년 체코인 브라즈가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당시 낙선재 후원에는 석지(石池)와 괴석을 비롯해 총 6기의 점경물이 소재했다. 후원의 지면에는 금사연지(琴史硯池)로 불리는 석지와 괴석 2기, 화계 1단에는 괴석 3기가 배치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부터 괴석의 임의적인 재배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그 과정에서 본래 화계 1단에 위치했던 괴석 2기는 경훈각(景薰閣) 후원으로 이설된 상태이다. 둘째, 「동궐도」가 제작된 조선후기와 달리 1900년대 초반 주합루 후원에는 괴석 2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외형, 규격, 의장이 유사한 전통적 양식의 점경물이었다. 하지만 주합루 후원의 괴석은 모두 1970~1980년대에 타지로 이설되어 현재는 고유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1기는 빙천(氷泉) 입구와 금천교 인근을 거쳐 애련정 후면에, 또 다른 1기는 연경당 장락문(長樂門) 앞에 남아 있다. 셋째, 과거 존덕정 일곽에 소재했던 점경물 중 괴석 1기는 현재 구성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정자 주변 석교와 영화당 인근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영화당 인근의 대석은 1990년 무렵 앙부일구 모조품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이설되었다. 또 다른 괴석 1기는 후원 정문으로 이설된 이후 현재는 소재 파악이 어려우며, 본래 위치에는 완전히 상이한 형태의 점경물이 새롭게 배치되어 있다. 넷째, 대보단지에 현존하고 있는 대석 2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이왕직청사(李王職廳舍) 현관 기둥의 초석으로 사용되던 건축 부재였다. 해방 이후 이왕직청사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되고, 1960년 무렵 사무총국 건물이 전소되자 기단 위에 배치되어 있던 석상(石像)과 대석이 대보단지로 이설되었다. 대보단지의 대석은 건축부재가 점경물로 오인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재훈(1996). 한국 전통의 원(苑). 서울: 도서출판 조경.
  2.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www.korea.kr
  3. 강성애(1998). 朝鮮時代 宮苑의 怪石에 대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최준형(2001). 庭園 點景物 紋樣의 象徵性에 관한 硏究.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조운연(2002). 朝鮮時代 宮苑의 傳統造景構造物 復元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정우진, 김화옥, 박율진(2014), 동궐도에 나타난 괴석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2): 12-26.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2.012
  7. 김화옥(2016). 전통정원에 활용된 괴석의 상징문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울역사박물관, 주한체코공화국대사관(2011). 1901년 체코인 브라즈의 서울 방문 : 체코 여행가들의 서울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주한체코공화국대사관.
  9. 세키노 타다시(1904). 한국건축조사보고. 동경: 동경제국대학공과대학
  10. 이철원(1954). 왕궁사. 서울: 동국문화사.
  11. 워싱턴대학 도서관 홈페이지. content.lib.washington.edu
  12.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13. 일본 학습원대학 홈페이지. www.gakushuin.ac.jp
  14. 국가기록원 소장 일반문서. 관리번호 BA0004664.
  15. 경향신문. 1970년 7월 23일자. 韓國의 돌 <34> 庭園石.
  16.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DET0035980.
  17.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18. 파인아트 뮤지엄 홈페이지. www.mfa.org
  19. 정우진, 송석호, 심우경(2013).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1): 71-86.
  20. 경향신문, 1990년 8월 31일자. 앙부일구 모조품 제작.설치.
  21.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CET0050484.
  22.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CET0061390.
  23.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