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tified food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초

연화방법에 따른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의 생선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Bone as the Functional Food Additives Produced with Different Softening Methods)

  • 이윤미;최정욱;이민경;황혜정;정수진;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31-636
    • /
    • 2019
  • Fish bone-based calcium products are currently receiving much attention among high value-added industries involving calcium. Industrial processing of fish products yields unused fish parts including bones, which could be used as marine health foods to enhance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ish produc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igh value-added fisheries products fortified with fish bones supplementing calcium. We here explored the physical and chemical softening methods of the fish bones to enhance texture of the fish products with a high degree of calcium absorption rates. The eluted calcium from the fish bone was quantified with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ened fish bones were determined by the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sis,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alysis. As the result, the optimized softening method of fish bone was established when Theragra chalcogramma bone was treated twice with the pressurized high temperature (110-120℃ and 1.0-1.5 kg/cm2). The produced softened fish bone turned out to be suitable for the food additives with low particle sizes, low hardness values, and negligible VOCs responsible for the unpleasant flavors.

비타민 강화 방법에 따른 UHT 우유의 비타민 함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itamins Contents in UHT Milk according to Fortification Methods)

  • 인영민;정인경;정석근;함준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2-178
    • /
    • 2002
  • 우유 중에는 여러 종류의 생리활성물질과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이 매우 소량 함유되어 있어, 그 강화를 목적으로 유가공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비타민 강화우유가 소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공 처리 및 비타민 강화 방법에 따른 비타민류의 손실율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UHT 처리 후에 비타민 C는 60~70% 가까운 손실율을 보였으며, 비교적 열에 안정하다고 알려진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D$_3$와 비타민 E도 30~40%의 손실율을 보여 주었다. 이에 반해 비타민을 캡슐 형태로 강화하였을 경우에는 수용성 비타민의 손실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캡슬에 의해 열뿐 아니라 산소, 빛 등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비타민의 손실이 최소화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열처리에 의한 시유 및 강화우유 중의 비타민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유의 살균 온도 및 시간, 강화제 첨가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Probiotic-Fortified Infant Formula on Infant Gut Health and Microbiota Modulation

  • Ju Young Eor;Chul Sang Lee;Sung Ho Moon;Ju Young Cheon;Duleepa Pathiraja;Byeonghyeok Park;Min Jae Shin;Jae-Young Kim;Sangjong Kim;Youngbae Noh;Yunhan Kim;In-Geol Choi;Sae Hun K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59-673
    • /
    • 2023
  • Compared to infant formula, breast milk is the best source of nutrition for infants; it not only improves the neonatal intestinal function, but also regulates the immune system and gut microbiota composition. However, probiotic-fortified infant formula may further enhance the infant gut environment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fant formula. We investigated the probiotic formula administration for one month by comparing 118 Korean infants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infants in each group fed with breast milk (50), probiotic formula (35), or placebo formula-fed group (33). Probiotic formula improved stool consistency and defecation frequency compared to placebo formula-fed group. The probiotic formula helped maintaining the level of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 which had remarkably decreased over time in placebo formula-fed infants (compared to weeks 0 and 4). Moreover, probiotic formula decreased the acidity of stool and considerably increased the butyrate concentration. Furthermore, the fecal microbiota of each group was evaluated at weeks 0 and 4. The microbial composition was distinct between each groups, and the abundance of health-promoting bacteria increased in the probiotic formula compared to the placebo formula-fed group. In summ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 infant formula can help optimize the infant gut environment, microbial composition, and metabolic activity of the microbiota, mimicking those of breast milk.

코로나19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여성호르몬이 강화된 캐나다산 식이 보충제의 동향 (Trends in Canadian Dietary Supplements Enhanced with Female Hormone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 심윤영;뤠니 제이 티 마틴;이학성;김혜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22
  • As one of the post-COVID-19 response strategies, representative processed products derived from the natural plant material flaxseed and a dietary supplement fortified with female hormones (estrogens) were developed in Canada, an eco-friendly country was introduced. These products were: 1) flaxseed oil to help maintain cognitive and immune function, 2) Lignan50, a substance with effects similar to estrogen, a female hormone, 3) XanFlax, a thickener for confectionery/baking and egg substitute, 4) MediFlax, a constipation reliever, 5) SesaFlax, which has a fragrance similar to sesame, 6) Linusorb, which is effective for its pharmaceutical anti-inflammatory/anti-oxidation and anti-aging properties, and 7) LinuLyte, a water/electrolyte supplement containing high dietary fiber. It is expected that these dietary products will help maintain and promote health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 sauce fortified with soymilk residue (okara koji))

  • 송영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8-826
    • /
    • 2013
  • 본 연구는 비지 koji를 제조하여 개량식 알메주와 0, 50, 100%비율로 혼합하여 90일간 발효시켜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품질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금액의 염농도는 17.15~17.22%를 나타내었으며, 비지 koji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수용성 고형분은 각각 8.73, 6.12, 2.50%로 감소하였으며, 간장의 완충능은 알메주만을 사용한 경우에 1.2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액의 pH는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비지 koji 50%에서 4.92를 나타내었다. 알메주, 비지 koji 50, 100% 각각 첨가한 간장의 산도는 1.09, 0.98 및 0.47%로 나타났다. 비지 koji 50%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간장에서 protease와 ${\alpha}$-amylase의 효소활성은 발효 30일에 각각 26.55, 6.41 unit/mL로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e 함량은 발효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발효 90일에 275.2 mg%로 비지 koji 50%를 사용한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발효 초기에는 알메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 60일에는 비지 koji를 첨가한 간장에서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으며 9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간장용액 갈색도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0/500 nm에 대한 흡광비율값의 범위는 알메주 100%(1.25~3.65), 비지 koji 50%(1.25~3.65), 비지 koji 100%(1.25~5.14)로 나타났다. 알메주 또는 비지 koji 50%를 첨가한 경우에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glutamine을 제외한 glutamic acid 등 대부분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비지 koij 100%를 사용한 간장은 매우 낮은 총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지 koji 50%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조간장은 짠맛과 색도에서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알메주 만을 사용한 간장의 기호도가 좋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알메주에 비지 koji 50%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양조간장은 일반성분, 색상과 맛 등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유청(乳淸)과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제조(製造)된 아미노산 강화두부(强化豆腐)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Amino Acid Fortified Tofu Manufactured by Coprecipitation of Whey and Soybean Proteins)

  • 위재준;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05-210
    • /
    • 1983
  • 유청(乳淸)과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산 강화두부(强化豆腐)의 특성(特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청(乳淸)또는 유청분말(乳淸粉末)과 두유(豆乳)를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이때 얻어지는 강화 두부의 일반조성,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도 비교하였다. 강화 두부는 외관이나 특성(特性)에서 재래식 두부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전고형분 함량은 재래식 두부가 약 19%, 강화 두부가 17.3$\sim$18.1%이고 단백질 함량은 재래식 두부가 13.1% 강화 두부의 경우 10.9$\sim$11.4%로서 모두 재래식 두부가 높았다. 유청의 조지방(粗脂肪) 함량(含量)이 낮으므로 유청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두부 중 지방함량은 낮아졌으며 유청(乳淸) 두유(豆乳) 혼합물 중의 유당은 5$\sim$15%가 강화 두부에 이행되었다. 유청과 두유를 3:1로 혼합하여 제조한 경화 두부의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 함량은 3.80g/100g 단백질로서 재래식 두부의 2.54g에 비해 약 50% 강화효과를 보였다.

  • PDF

Bacillus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비지로부터 혈전분해능효소 및 펩타이드 생산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Peptides from Alkalin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firmus NA-1)

  • 오수명;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04-909
    • /
    • 2005
  • 일본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1를 이용하여 비지의 수분함량, 생대두미세분말첨가 및 발효시간에 따른 비지 발효물의 혈전용해효소, 점질물, 펩타이드생산 및 풍미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비살균 D-비지는 30시간 이상부터 청국장 발효가 진행되는 반면, 살균 D-비지는 18시간부터 고초균 발효에 의하여 pH가 증가하였으며 혈전분해효소, 펩타이드 함량이 비살균 D-비지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P-비지의 경우는 18시간 발효시에 가장 높은 pH, tyrisone 함량과 혈전용해효소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비지를 건조하여 초기수분함량을 $60\%$로 낮추었을 때 발효비지물의 펩타이드 함량과 혈전용해분해효소활성이 증가하였다. p-비지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을 $10\%$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혈전분해효소 및 펩타이드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점질물의 생성에 따른 점조도 값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특히, 콩미세분말을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비지는 고유한 청국장의 풍미를 나타내었으며, 건조시킨 발효비지물의 조단백질함량은 $27.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지의 고초균 발효시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의 첨가는 비지의 초기수분함량을 낮추면서, 고초균 발효의 촉진을 통한 콩 펩타이드 및 혈전용해효소의 증가, 점질물 생산, 풍미 개선을 비롯하여 발효비지의 단백질 보강이 가능하였다.

Texture Characteristics of Horse Meat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Enzyme Treatment

  • Kim, Dah-Sol;Joo, Nam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4-86
    • /
    • 2020
  • Horse meat is nutritionally adequate to the elderly, but it has a comparatively hard texture in contrast to most of the food. In practice, the meat intake in the elderly is generally bated because the relatively difficult texture of the meat can diminish mastication. Thus, strategies are being developed to produce meat products remanding detracted mastication exertion and possibly exalt ingestion and nutritional stand, in the elderly. Hence, the effects of enzymes on textural characteristics of horse meat were studied, because they have well-known favorable efficacy on the meat tenderness by causing important demotion of the myo-fibrillar protein and collagen. Four treatments namely, papain, bromelin, pepsin, and pancreatin, alongside one control were invoked to the horse meat. Their effects on the texture parameters were determined. All the above enzymatic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hardness and resilience (p<0.001). These results present opportunities to produce essential fatty acids fortified horse meat with soft texture and satisfie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take of the essential fatty acids intensified horse meat could aid the elderly to get their aimed essential fatty acid demands. Results also suggest that horse meat tenderized through enzymatic processing stand for auspicious options for the comprehension of texture-revised diets in the elderly population.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Etofenprox Residues in Foods with Mass-Spectrometric Confirmation

  • Lee, Young-Deuk;Kwon, Chan-Hyeok;Kwon, Ki-S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2-439
    • /
    • 2011
  • BACKGROUND: An official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etofenprox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S AND RESULTS: The etofenprox residue was extracted with acetone from representative samples of five raw products which comprised rice grain, apple, mandarin, cabbage, and soybean. The extract was then serially purified by liquid-liquid partition and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For rice and soybean samples, acetonitrile/n-hexane partition was additionally coupled to remove nonpolar lipids. Reversed phase HPLC using an octadecylsilyl column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eparate etofenprox from co-extractives. Intact etofenprox was sensitively detected by ultraviolet absorption at 225 nm. Recovery experiment at the quantitation limit valid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apparently determine the etofenprox residue at 0.02 mg/kg. Mean recoveries from five crop samples fortified at three levels in triplicate were in the range of 93.6~106.4%.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the analytical method were all less than 10%, irrespective of crop types. A selected-ion monitoring LC/mass spectrometry with positive atmospheric-pressure chemical ionization was also provided to confirm the suspected residue. CONCLUSION(s): The proposed method is simple, rapid and sensitive enough to be employed in routine inspection or monitoring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 etofenprox residue.

양파(Allium cepa L.) 음료의 콜린성 활성 증가 및 뇌신경세포 보호로 인한 Amyloid β Peptide 유도에 대한 인지장애 개선 효과 (Onion Beverages Improve Amyloid β Peptide-Induced Cognitive Defects via Up-Regulation of Cholinergic Activity and Neuroprotection)

  • 박선경;김종민;강진용;하정수;이두상;김아나;최성길;이욱;허호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52-1563
    • /
    • 2016
  • 본 연구는 양파의 불쾌치를 저감화시킨 무취음료와 양파 과피 추출물을 첨가한 생리활성 성분 강화음료의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와 $A{\beta}$로 유도된 인지기능 장애 동물모델에서의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서는 상대적으로 강화음료에서 무취음료 대비 우수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beta}$로 유도된 인지기능 장애 동물모델에 있어 Y-maze, passive avoidance 및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강화음료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우스의 뇌 조직에서 강화음료 그룹은 AChE 활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인 ACh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A{\beta}$로 유도된 cholinergic system 장애에 있어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 뇌에서 SOD 함량의 증가, oxidized GSH/total GSH와 MDA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A{\beta}$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무취음료와 강화음료의 주요성분들을 Q-TOF UPLC/MS system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강화음료의 경우 무취음료보다 생리활성을 가진 2개의 steroidal saponin과 6개의 phenolic 화합물 등이 추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강화음료는 상대적으로 protocatechuic acid와 quercetin 같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phenolic 화합물과 steroidal saponin 계열에 의한 우수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산업적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