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nt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5초

영어 약모음 /ə/ 교수에 있어서 명시적 Form-Focused Instruction의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in Teaching the Schwa /ə/)

  • 이윤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01-113
    • /
    • 2020
  • 본 연구는 명시적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약모음 /ə/을 교실 상황에서 EFL 학생에게 교수하는 데 있어 얼마나 효과적인지 조사하였다. 25명의 고등학교 여학생이 13명은 실험집단에 12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참여하였다. 또한, 미국인 여성 한 명도 비교 기준점을 위한 음성자료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한 달 반 동안 연구자의 발음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인터넷 프로그램의 발음을 따라 하고, 개인별로 피드백을 받았다. 처치 전, 후 참여자들은 14개의 2음절 이상 다음절 실험단어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었으며 읽은 문장은 음성자료로 녹음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 표본 t 검증과 비모수 Wilcoxon signed-rank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험군 참여자들은 사전 실험보다 사후 실험에서 영어 약모음을 약 40% 짧게 조음하였다. 하지만 모음 조음 공간에서 혀의 위치를 나타내는 F1/F2 formant에서 실험 참여자의 F1/F2 formant 분포형태는 이 연구의 기준점인 539 Hz (F1) × 1797 Hz (F2)와 상이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복적인 따라 하기와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명시적인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발음 교수에 일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디지털 보청기에서의 포먼트 강조에 의한 마스킹 효과 연구 (A Study of Acoustic Masking Effect from Formant Enhancement in Digital Hearing Aid)

  • 전유용;길세기;윤광섭;이상민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5호
    • /
    • pp.13-20
    • /
    • 2008
  • 청력 손실을 보상하고 난청인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은 개발 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보청기 사용자들은 음성을 듣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그 이유는 피드백이나 잔여 노이즈 등에 의해 디지털 보청기를 통한 음성의 질이 이해하기에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 포먼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스킹 현상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정상 청각 피험자와 노인성 난청을 갖고 있는 난청인 피험자의 마스킹 특성을 측정하여 음성에서의 마스킹에 의한 음성 인지 저하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순음검사, 어음 청취 역치 검사, 낱말 분별력 검사, 수음 마스킹 검사, 어음 마스킹 검사의 5개 테스트로 이루어졌다. 어음 마스킹 검사에서 각각 어음 세트에 25개의 어음이 사용되었다. 각 어음의 왜곡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log likelihood ratio (LLR)를 도입하였다. 결과적으로 포먼트 향상의 양을 늘리면 늘릴수록 어음 인지는 낮아졌고, 각 어음 세트에서 각각의 향상된 어음은 통계적으로 비슷한 LLR을 갖지만 어음인지는 그렇지 않게 나타났다. 이것은 왜곡이 아닌 음향 마스킹이 어음 인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피험자들 대부분이 맞추지 못한 음성을 주파수 분석한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포먼트 사이의 레벨 차이가 약 35dB이며 이는 순음 마스킹 실험 결과(정상 청각 피험자:36.36dB, 난청인 피험자:32.86dB)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음향 마스킹의 특성은 정상 청각인과 난청인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보청기 착용 전 마스킹 특성을 검사하고, 피팅 시에 적용해야 한다.

상악 전치부 결손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E ON PHONATION WHEN MAXILLARY ANTERIOR TEETH ARE MISSING)

  • 노창섭;최대균;우이형;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8-360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onetic alterations with upper anterior teeth were missing. To compare the changes of the phonations, before and after insertion of the temporary prosthesis, six subjects who lost their upper anterior teeth were selected (2-male, 4-female). Tested sounds (/ga(가), na(나), da(다), ra(라), sa(사), ja(자), cha(차), ta(타), pa(파), ha(하), gi(기), ni(니), di(디), ri(리), si(시), jl(지), chi(치), ti(티), pi(피), hi(히), seu(스), se(세), so(소), su(수)/were programmed into an IBM AT with and without temporary prosthesis. These experiments were analyzed by formants, consonants durations, and energy level changes with an LSI speech work station program. During the pronunciation of the tested sounds (with and without temporary prosthesis), mandibular movements were recorded to a Mandibular Kinesiogram and analyzed .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Objective differences could not be found. However, in every informant, subjective improvement could be noticed. 2. There were no persistant correlations of the formant's changes. And in every informant, phonetic changes were variable. 3. There were various changes of the consonant durations in every informant. By and large, those of /si(시), jl(지), chi(치), Pi(피), hi(히)/ were longer than other tested sounds. After insertion of the prosthesis, durations were shorter. Consonants with /i(ㅣ)/ were longer than with /a(ㅏ)/, with or without prosthesis. 4. With and without temporary prosthesis, mandibular movements were various in the frontal view. Mandibular movements showed lateral deviations, and mandibular positions with /si(시), ji(지), ti(티), seu(스), hi(히)/ were nearer to the mandibular rest position. 5. The kinds of temporary prosthesis and conditions of the missing teeth influenced every informant variously, so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informants. 6. Energy levels increased in all tested sounds with a fixed temporary prosthesi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sertion of a removable temporary prosthesis. However, sibilant sounds, and consonants with /i(ㅣ)/ showed a little increased energy level.

  • PDF

성별에 따른 빗소리의 힐링 효과 규명 및 개인 맞춤형 빗소리 제작 (An Identification of the Healing Effect of Rain Sound According to the Gender and Personal - Adjusted Rain Sound Making)

  • 이범주;조동욱;조상현;송영빈;정연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1263-1269
    • /
    • 2016
  • 스트레스는 건강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 수명 연장을 위한 스트레스 해소는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해 많은 사회적 경비가 투입되고 있으나 경제성 대비 그 효용성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는 방법 대신 비교적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의 소리 중에서 사람의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화이트 노이즈와 유사한 빗소리가 스트레스 해소에 효능이 있는지에 대한 규명 작업을 3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의 변화를 통해 행하였다. 아울러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경감 효과에 대한 규명 뿐 아니라 남녀 간에 선호하는 빗소리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경감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개인맞춤형 빗소리 제작에 대해 논하였다.

음성특징의 거리 개념에 기반한 한국어 모음 음성의 시각화 (Speech Visualization of Korean Vowels Based on the Distances Among Acoustic Features)

  • 복거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12-520
    • /
    • 2019
  • 음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의 학습자나 음성을 직접 들을 수 없는 청각장애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기존에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발음의 특징을 단지 컬러로 표현한다든가 입모양을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하거나 입과 구강의 변화하는 형태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 주는 방식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이런 방식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은 자신의 발음이 표준 발음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 수가 없고 더 나아가서 학습 중에 스스로 교정을 해 나가는 시스템을 개발하기가 기술적으로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음성 간의 상대적 거리를 토대로 음성을 시각화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한국어 모음에 적용하여 모음의 음성적 특징을 이용한 시각화의 구체적인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음성데이터에서 F1, F2, F3의 세 개의 포먼트를 구하고 이들 특징벡터를 코호넨 자기조직화맵 알고리즘으로 2차원 화면에 사상하여 각 음성을 화면 위의 각 점에 대응하여 표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실제적인 구현은 인터넷에 공개된 음성처리 공개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한국인 교사의 표준 발음과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특징의 상호간 거리를 구하였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한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features of diphthongs produced b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조윤수;표화영;한진순;이은주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65-7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하는 이중모음의 특성을 파악하여 평가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간 이중모음 산출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10명의 만 4-5세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무의미 2음절 '이중모음+다'를 모방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이중모음의 활음 구간 내 제1, 2 포먼트 기울기, 포먼트 변화량, 활음 지속시간을 Praat(version 6.1.16)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유/의 F1 기울기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작은 포먼트 변화량과 더 짧은 활음 지속시간을 보였다. 유의한 포먼트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는 /유, 예/의 F1과 /야, 예/의 F2에서 나타났으며, 유의한 활음 지속시간의 차이는 /유, 예/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이 이중모음을 조음하는 범위가 일반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 조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에 관한 평가와 중재를 할 때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 범위를 고려해야 하며, 이에 음향학적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따른 영어 모음 발음의 영향에 대한 연구 (Influence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 장수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의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다. 데이터 자료는 한국인의 영어 발음 음성 코퍼스(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를 활용하였다. 이중 일곱 개의 한국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와 열 개의 영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가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선정된 자료는 외국 거주 경험이 없는 성인 남성 표준어 화자와 경상 지역 방언 화자에 의해 발화되었다. 녹음된 코퍼스 자료의 포먼트 주파수는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제공하는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측정되었다. 녹음된 자료들은 포먼트 구역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되었다. 결과에 의하면, 한국어와 영어 모음의 발화에서 경상 지역 방언 화자가 강한 후설성을 보인 반면에 표준어 화자는 비교적 전설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 차이 (/으/, /어/)는 대치되는 영어 모음 발음(/ə/, /ʊ/)의 조음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 방언의 사용과 무관한 한국인의 일반적인 모음 발음 특징은 영어 원어민 화자보다 조음 구역이 좁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인은 전반적으로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영어 원어민 화자는 모음 조음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

Prosodic Phrasing and Focus in Korea

  • Baek, Judy Yoo-Kyung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46-246
    • /
    • 1996
  • Purpose: Some of the properties of the prosodic phrasing and some acoustic and phonological effects of contrastive focus on the tonal pattern of Seoul Korean is explored based on a brief experiment of analyzing the fundamental frequency(=FO) contour of the speech of the author. Data Base and Analysis Procedures: The examples were chosen to contain mostly nasal and liquid consonants, since it is difficult to track down the formants in stops and fricatives during their corresponding consonantal intervals and stops may yield an effect of unwanted increase in the FO value due to their burst into the following vowel. All examples were recorded three times and the spectrum of the most stable repetition was generated, from which the FO contour of each sentence was obtained, the peaks with a value higher than 250Hz being interpreted as a high tone (=H). The result is then discussed within the prosodic hierarchy framework of Selkirk (1986) and compared with the tonal pattern of the Northern Kyungsang dialect of Korean reported in Kenstowicz & Sohn (1996). Prosodic Phrasing: In N.K. Korean, H never appears both on the object and on the verb in a neutral sentence, which indicates the object and the verb form a single Phonological Phrase ($={\phi}$), given that there is only one pitch peak for each $={\phi}$. However, Seoul Korean shows that both the object and the verb have H of their own, indicating that they are not contained in one $={\phi}$. This violates the Optimality constraint of Wrap-XP (=Enclose a lexical head and its arguments in one $={\phi}$), while N.K. Korean obeys the constraint by grouping a VP in a single $={\phi}$. This asymmetry can be resolved through a constraint that favors the separate grouping of each lexical category and is ranked higher than Wrap-XP in Seoul Korean but vice versa in N.K. Korean; $Align-x^{lex}$ (=Align the left edge of a lexical category with that of a $={\phi}$). (1) nuna-ka manll-ll mEk-nIn-ta ('sister-NOM garlic-ACC eat-PRES-DECL') a. (LLH) (LLH) (HLL) ----Seoul Korean b. (LLH) (LLL LHL) ----N.K. Korean Focus and Phrasing: Two major effects of contrastive focus on phonological phrasing are found in Seoul Korean: (a) the peak of an Intonatioanl Phrase (=IP) falls on the focused element; and (b) focus has the effect of deleting all the following prosodic structures. A focused element always attracts the peak of IP, showing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30Hz compared with the peak of a non-focused IP. When a subject is focused, no H appears either on the object or on the verb and a focused object is never followed by a verb with H. The post-focus deletion of prosodic boundaries is forc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StressFocus (=If F is a focus and DF is its semantic domain, the highest prominence in DF will be within F) and Rightmost-IP (=The peak of an IP projects from the rightmost $={\phi}$). First Stress-F requires the peak of IP to fall on the focused element. Then to avoid violating Rightmost-IP, all the boundaries after the focused element should delete, minimizing the number of $={\phi}$'s intervening from the right edge of IP. (2) (omitted) Conclusion: In general, there seems to be no direct alignment constraints between the syntactically focused element and the edge of $={\phi}$ determined in phonology; all the alignment effects come from a single requirement that the peak of IP projects from the rightmost $={\phi}$ as proposed in Truckenbrodt (199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