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ry sector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9초

Evaluation of a Land Use Change Matrix in the IPCC's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Area Sector Using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 Park, Jeongmook;Yim, Jongsu;Lee, J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295-304
    • /
    • 2017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a land use change matrix for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 (IPCC)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area (LULUCF). We used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permanent sample plots (with a sample intensity of 4 km) and permanent sample plots with 500 m sampling intensity. The land use change matrix was formed using the point sampling method, Level-2 Land Cover Maps, and forest aerial photographs (3rd and 4th series). The land use change matrix using the land cover map indicated that the annual change in area was the highest for forests and cropland; the cropland area decreased over time. We evaluated the uncertainty of the land use change matrix.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est land use, which had the most sampling, had the lowest uncertainty, while the grassland and wetlands had the highest uncertainty and the least sampling. The uncertainty was higher for the 4 km sampling intensity than for the 500 m sampling intensity,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appropriate sample size when constructing a national land use change matrix.

Evaluation of Economic Damage Caused by Drought in Central Region Vietnam: A Case Study of Phu Yen Province

  • Truong, Dinh Duc;Tri, Doan Quang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6호
    • /
    • pp.649-657
    • /
    • 2021
  •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on per capita income in Vietnam both the short and long-term, specifically impact loss of income caused by the extreme drought 2013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 Phu Yen Province, Central Vietnam. The study valued economic damage by applying the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which is a statistical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intervention (e.g. natural disasters) in different case studies. It estimates what would have happened to the treatment group if it had not received the treatment by constructing a weighted combination of control units (e.g. control provi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2013 drought caused a decrease in income per capita, mainly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in Phu Yen. The reduced income was estimated to be VND 160,000 (1 USD = 23,500 VND (2021)) for one person per month, accounting for 11% of total income per capita and continued to affect the income 6 years later. Therefore, authorities need to invest in preventive solutions such as early and accurate warnings to help people to be more proactive in disaster prevention.

Green ODA 요건에 따른 산림 분야 공적개발원조 대상국 탐색 (Exploring Countries Eligible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wards Global Forest Conservation Focusing on Green ODA Criteria)

  • 장은경;최가영;문주연;전철현;최은호;최형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30-344
    • /
    • 2022
  •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사회·환경 부문의 이행 준비 및 필요성을 분석하여 '그린 ODA'에 충족될 수 있는 협력 대상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산림 협력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나아가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로 산림 협력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량·에너지·수자원·산불 등 산림 전용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녹색기술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사업 활동과 재원, 참여자의 다각화를 통해 산림분야 양자 ODA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부문 양자 협력 대상국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 산림 파괴가 진행 중인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Forest Resources of the Korea Based on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Kim, Dong-Hyuk;Nor, Dae-Kyun;Jeong, Jin-Hyun;Kim, Sung-Ho;Chung, Dong-J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159-164
    • /
    • 2008
  • Forest inventory is a commercial term meaning the preparation of detailed descriptive list of articles with number, quantity and value of each item included. Forest inventory deals with the measurement of trees and stands, the estimation of their volume, growth prediction, biomass, carbon stocks and the description tre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land upon which they are grow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Center (NFIC) in Korea conducts national forest inventory every 5 years to obtain accurate baseline data for national forest policy. The permanent sample plot data used in were collected by NF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thods for quantifying forest resources at national scale based on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data in Korea. Forest land area decreased from 6.44 to 6.38 million ha between 1997 and 2007, continuing a slight downward trend in area beginning in the late 1990s. However forest resources of the Korea have continued improving in general condition and quality, as measured by increased average size and volume of trees. Growing-stock volume of the Korea increased from 17 to 123.79 cubic meter per ha between 1976 and 2007. The biomass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53.81 tons per hectare and carbon stocks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84.36 tons per hectare by NFI data. This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government officials, public administration, the private business sector, and the researcher. Forest Inventory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o be able to monitor and assess the forests continuously.

  • PDF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파급효과 분석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 박지연;김연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4-235
    • /
    • 2019
  • 농기계와 시설원예 보급 확대 등으로 인하여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방비 등 투입비용의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실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면세유, 농사용 전기의 변화 형태를 살펴보았으며, 농업용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현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면적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시설의 에너지 절감비율을 적용하여,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난방비 절감효과, 생산성 증대효과, 정부재정지출절감효과, 온실가스 절감효과, 그리고 석유류 대체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파프리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면적당 재정지출 절감효과는 열회수환기장치가 300,863원/10a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유가가 상승할수록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재정지출 절감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경제적 총 편익을 계산한 결과 다겹보온커튼이 608.1억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에너지 투입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영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데 열회수환기장치는 3,593천 원/10a의 난방비 등 경영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은 투입비용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효과도 있다. 지열히트펌프의 경우 9,539kg/10a의 파프리타 생산량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석유류 투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으며 열회수환기장치는 1,806리터/10a의 석유류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위 농업환경 분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 허장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54
    • /
    • 2001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to make a regional plan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o prepare the regional plan is mandated by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of 1998. Here is proposed the input/output analysis framework, which includes the shifts of fertilizers, herbicides, pesticides, and livestock manures Basically, the discharged amount of polluted elements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elements entered into the crop and livestock sectors and the amount of the elements absorbed or used by the crop and/or livestock. A few suggestions are offered for better region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lan. The fore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a data collection system. The \"Green Accounting System\" is suggested. It is also crucial to create a standard guideline or manual which Provides detailed procedures to follow in making the plan by the local planners. More fundamentally, many experts on the regional planning will be demanded in the near future. Some compound model which links, for instance, the forestry, the livestock sector, and the crop sector, needs to be devised. Finally, it is argued here that more elaborated model will work as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which embraces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agricultural environment.vironment.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강원도 산림내 낙엽층의 탄소저장량 및 변화량 추정 (Estimating Litter Carbon Stock and Change on Forest in Gangwon Province from the National Forestry Inventory Data)

  • 이선정;김래현;손영모;임종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85-39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litter carbon stock change from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data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Litter carbon stocks were calculated from the NFI dataset in NFI5 (2008) and NFI6 (2013) in Gangwon province. Total carbon stock change of litter was $0.68{\pm}0.71\;t\;C/ha$ from NFI5 (2008) to NFI6 (201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th dataset at 2008 and 2013 year. Litter carbon stock of coniferous stands was higher than deciduous stands in NFI5 (2008) and NFI6 (2013) (P<0.05). This study was limited to pilot study, so we will assess litter carbon stock using more complete data from NFI systems. It can be used as data sourc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n forest sector.

한국의 산림 분야별 평가와 이에 기초한 산림 공적개발원조 발전 방안 (A Strateg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Forest Sector based on Evaluation by Field in Korea)

  • 유병일;윤보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46-6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 임업발전에 기여한 분야와 분야별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우선 중점분야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한국 산림ODA의 확산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산림 및 임업발전 기여도와 산림ODA 사업 시 국제경쟁력에 대해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산림보존 및 산림황폐지 복구' 영역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집단 중 ODA 전문가 집단은 '산림정책 및 제도 연구 역량강화' 영역의 국제경쟁력을 산림전문가 집단에 비해 높이 평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한국 산림 ODA 우선 중점분야에 대하여 일반인은 '탄소배출권 관리'와 '산림 종 다양성 보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황폐지 복구 등과 같은 기존의 단위사업을 선호하는 전문가 집단과는 큰 인식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산림ODA 실행을 위해서는 과거 한국의 산림복구녹화경험을 기초로 하고 국제사회에서 새롭게 요구하는 기후변화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등의 신 분야에 대처할 수 있는 산림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해집단 간 인식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북한 산림 복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농림업 중형위성 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Satellite Development Policy)

  • 김현철;김아름;김범승;홍석영;이우경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7-94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지구관측 위성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위성영상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추진 중인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사업에서는 지상관측, 기상 기후, 환경감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독자기술로 위성을 개발할 예정이며, 개발된 위성들은 농촌진흥청, 기상청, 환경부, 국토교통부 등에서 공동으로 활용할 계획에 있다. 특히 공공수요 중 국토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농림업분야에서 중형위성의 활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림업 관련 수요기관에서 위성영상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하고, 농림업에 특화된 위성 탑재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차세대 중형위성 기술요소의 경우 활용범위와 가치가 높은 반면 효율성을 고려하여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농림업 중형위성 개발 정책수립은 향후 국내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사업 계획 수립 및 농림업 위성관측 체계 구축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남도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농림수산관련 부가가치 추계 (The Estimation of the Value-added Related to Agriculture in Chung-nam's Agribusiness)

  • 김창환;유범식;이종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315-33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의 생산자가격평가표, 국내거래표, 도소매마진표, 화물운임표 등을 이용하여 충청남도의 농업생산부문 및 전 후방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부가가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2005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충청남도의 농업생산부문 및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부가가치를 지역별, 산업별로 추계하는데 있다. 이 논문의 제언으로 충남지역에 취약한 의료보건 분야의 공공 복리시설, 수산물 위판장과 수산물 가공공장, 의약품, 화장품, 사료, 엽연초 가공공장, 도소매에 관련된 유통구조 혁신이 매우 취약하여 총체적이며 전 방위적인 정책적인 배려와 농림수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종합적이고도 전사적인 차원의 정책입안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