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herapy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6초

치유의숲 소리, 경관, 소리경관(soundscape)에 따른 선호도 및 심리적 회복감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Recovery by Sound, Scenery, Soundscape in Healing Forest)

  • 김진숙;신원섭;김명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7-277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sound, scenery, and soundscape preferences, which are sensory factors that users feel in a healing forest, comparing the difference in recovery by the soundscape. In the barrier-free, wooden walking path of the National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a survey site with five different conditions was selected. Users prefer water sounds the most and places with open views for scenery. For the complex sensation of soundscapes, the most preferred is a space where water sounds can be heard, and either a waterfall or an open view can be seen. A profile of mood states test was use to compare users' psychological recovery by the soundscape. It was found that users felt the most positive mood with water sounds and open views. In addition, users' preference for artificial sounds, scenery, and soundscape was the lowest. In the mood state test, it was found that the artificial soundscape incited the most negative emotions.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Analysis of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Humans in Korea)

  • 송인준;이가영;송초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651-666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과 기존 연구의 한계를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종 선별된 120편의 논문을 '학술지 정보', '연구대상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실험 디자인',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농수해양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논문 수는 관련 논문이 처음 게재된 1996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남녀 모두, 중장년기,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연속형으로, 산림복지시설에서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정신·식물요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의 수는 29명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반응을 측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연구의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숲에서보낸 시간에 따른 체험,몰입,건강지각과 심리내적인식 분석 (Analysis on Live experience, Flow, Health perception and Inner Psychological Perception in Relation to Time Spent in the Forest)

  • 김윤수;김동준;황연주;이병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1-276
    • /
    • 2016
  • 숲 공간의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는 반면 시간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하다. 공간과 시간은 동시적으로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간요인에 의한 영향들은 시간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숲에서 보낸 시간의 4가지 요인들(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인식)에 대한 영향에 초점을 두었으며,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체험 (LE), 몰입(FL), 건강지각(HP)과 심리내적인식(IPP)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충청남도 이북지역에서 살고 있으며 생태 숲해설 과정이나 생태교육과정에 있는 사람들로 40-70세였다. 이들은 또한 1년에서 20년에 이르는 숲관련 경력을 가지거나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과 같은 요인들은 숲에서 보낸 시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숲에서 보낸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산림치유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할 것이다. 숲에서 보낸 시간이 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인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점을 산림치유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한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 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4-442
    • /
    • 2016
  •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척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척도(PWI-SF: Psycho 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를 근거로 성인 620명을 건강군, 잠재적 스트레스군,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세 군 사이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호흡법 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고위험 스트레스군은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등의 인지적인 접근의 프로그램을, 건강군은 호흡법 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걷기(신발착용), 물 흐르는 소리 듣기,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등의 오감을 활용하는 감성적인 접근의 프로그램을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스트레스군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선호도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가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산림 치유 관련 논문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ic Review on Forest Healing Journals)

  • 선승호;이선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66-570
    • /
    • 2010
  • This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linical trial trend, clinical effect, and study methods of forest healing.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e search engines of eight electronic databases from inception to march 2010 without language limitation. The search terms were "forest healing", "forest experience", "forest therapy", "forest treatment", "clinical trial", and "clinical study". Inclusion criteria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mong all kinds of study searched about forest healing. Selection literature and data extraction was performed by authors(SH Sun and SG Lee) independently. Total three studies were selected finally. The methodological quality in all study was low because of poor reporting. Study indications were metal health,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The scale of studies was very small, which was the level of pilot study. There were no description for obtaining informed consent and being review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could be any problems for statistical method in any studie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fact that each studies had the significant effect for study indications in the results of studies. It is concluded that the evidence that health heal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is insufficient. Further systematic and methodological study and well-designed clinical trial will be needed.

The Effects of Single Session Forest Walking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 Shin, Jung-Woo;Choi, Jong-Hwa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8
    • /
    • 2019
  • Physical activities in the forest environment stimulate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of humans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s well as moods and emotions. However, there are almost no studies on the benefits of exercise in the forest environment for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5-minute single session walking by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in the forest and urban environment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was measured in 10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to assess physiological state after single session walking for 15 minutes in the forest environment and urban environ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state, a profile of mood scale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5-minute single session walking in the forest environment activated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of adult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more than 15 minutes of single session walking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also made them feel more positive in terms of the POMS and S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single session walking in the forest environmen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of adult heart disease patients and may also contribute to health care.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Stress levels and Mood State in Fire Fighters)

  • 박충희;강재우;안미영;박수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32-141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실시한 4박 5일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소방공무원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 t-검정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외상 후 스트레스, 기분상태의 차이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결과, 참여 전 평균 11.38 ± 12.58점에서 참여 후 6.91 ± 10.50점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 결과, 긍정적 요인은 증가하였고, 부정적 요인은 감소하였다. 전체 기분상태 또한 프로그램 참여 전 8.58 ± 18.47점에서 참여 후 -0.63 ± 15.8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에 따른 스트레스 저감 효과 차이 분석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수면시간이 6~8시간일 때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와 해소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ffects of Plant Essential Oils on Physiological Changes

  • Cho Sin 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3-34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inhaling the aroma of essential oils could alleviate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and mimic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in urban settings. Briefly, 31 participants underwent stress index assessments for two days and inhaled the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The effects of this treatment on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determined through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s taken before and after inhaling the aroma of essential oils, extracting results for low frequency (LF) and high frequency (HF) components of HRV, as well as 𝜃 and 𝛼 brainwav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vender oil did not yield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pine, chamomile, and cypress oil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Overall, stress relief was associated with enhanced 𝜃 and 𝛼 brainwave activities, a decrease in the LF component and an increase in the HF component of HRV. Among the essential oils studied, pine oil was the most effectiv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plant essential oils in replicating the therapeutic benefits of forest therapy, even in urban environments.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ir utilization are warranted to better understand and harness their therapeutic potential.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 만족도 (Effects of Weekend Forest Healing Program Utilizing Urban Forest on Improvement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hip and Parental Satisfaction)

  • 박숙현;박봉주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58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회기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 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년 4월부터 8월까지 인천대공원에서 진행되는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가족 21팀(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1회 2시간씩 총 4회 8시간으로 가족 숲체험 활동과 산림치유요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가족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가족응집력 및 가족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부모의 만족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따라서 산림치유활동은 가족의 응집력 및 가족관계를 개선함으로써 가족의 결속이나 정서적 유대와 같은 기능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현대사회에 효과적인 치유활동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하며,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가족체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ffects of Nature-Based Programs for Worker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Shin, Jong-Yeon;Shin, Won-Sop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8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evious literatu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ture-based program for worker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for intervention.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or literature published until March 2019. The participants were full-time workers, and intervention of nature-based programs was conducted in the outdoor, indoor, and indirect nature contact exposures, with comparator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s were effective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RoB) tool, while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RCT) were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uies (RoBANS). A total of 16 studies were selected for assessment: two RCTs, 10 N-RCTs, and four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s. Most interventions were provided at the workplace and in the community. There were many kinds of nature-based interventions, and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most common. Various interventions for workers effectively improved job stress, depression, serum cortisol and stress-response. However, the included studies lacked methodological rigor.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nature-based programs for workers using rigorous research des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