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residu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Regulation Fe65 localization to the nucleus by SGK1 phosphorylation of its Ser566 residue

  • Lee, Eun-Jeoung;Chun, Jae-Sun;Hyun, Sung-Hee;Ahn, Hye-Rim;Jeong, Jae-Myung;Hong, Soon-Kwang;Hong, Jin-Tae;Chang, In-Kyeong;Jeon, Hye-Yeon;Han, Yeon-Soo;Auh, Chung-Kyoon;Park, Jae-In;Kang, Sang-Sun
    • BMB Reports
    • /
    • 제41권1호
    • /
    • pp.41-47
    • /
    • 2008
  • Fe65 is characterized as an adaptor precursor (APP) through its PID2 element, as well as with the other members of the APP protein family. With the serum- and glucocorticoid-induced kinase 1 (SGK1) substrate specificity information, we found that the putative site of phosphorylation in Fe65 by SGK1 is present on its $Ser^{566}$ residue in $^{560}CRVRFLSFLA^{569}$(X60469). Thus, we demonstrated that Fe65 and the fluorescein-labeled Fe65 peptide $FITC-^{560}CRVRFLSFLA^{569}$ are phosphorylated in vitro by SGK1. Phosphorylation of the $Ser^{566}$ residue was also demonstrated using a $Ser^{566}$ phospho-specific antibody. The phospho Fe65 was found mainly in the nucleus, while Fe65 S556A mutant was localized primarily to the cytoplasm.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SGK1 phosphorylates the $Ser^{566}$ residue of Fe65 and that this phosphorylation promotes the migration of Fe65 to the nucleus of the cell.

고로쇠나무(Acer mono Max.)수액(樹液) 표준농축액(標準濃縮液)의 색도지수(色度指數)와 착색물질(着色物質) (Color Index and Coloring Substances in Korean Sugar Maple, Acer mono Max.,Syrup)

  • 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2
    • /
    • 1975
  • 고래(古來)로부터 채취(採取)하여 약용(藥用)으로 음용(飮用)하여 왔고 단풍나무류(類)중 산림(山林)에 축적(蓄積)에 가장 큰 고로쇠나무(Acer mono Max.)의 수액(樹液)의 당도(糖度)는 평균(平均) $2.6^{\circ}-3.3^{\circ}Brix$로 감류자원(甘類資源)으로 개발(開發)이 가능(可能)한 범위이고 색도지수(色度指數)는 $15.3^{\circ}Brix$(10시간농축(時間濃縮))에서 2.69, 표준(標準)물엿은 3.380으로 심(甚)한 착색(着色)을 하였다. 알코올 추출물(抽出物)은 담황색(淡黃色)을 나타냈으며 흡특성(吸特性)은 파장(波長)(${\lambda}_{max}$) 350 nm, 1,000 nm, 1,170 nm, 1460 nm 및 1900 nm에서 흡광최대(吸光最大)를 나타냈다.

  • PDF

판지의 강도 향상을 위한 신규 유기충전제 개발 (Development of New Organic Filler for Improving Paperboard Strengths)

  • 이지영;김철환;박종혜;김은혜;윤경태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5호
    • /
    • pp.74-79
    • /
    • 2015
  • Wood powder is widely used in paperboard mills to increase bulk and reduce drying-energy consumption, but this material also deteriorates paper strength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bonds between fiber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one to improve the strength of paperboard containing wood powder, specific applications have not recently been observed in paperboard mill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new approach for improving paperboard strength by developing a new organic filler with the ability to increase the bonds between fibers. The residue of tapioca starch was used as raw material to manufacture an organic filler. The functionalities, including bulk and strength, were evaluated by making handsheets containing either wood powder or tapioca organic filler, or a mixture of the two, and measuring their physical properties. The organic filler showed lower bulk improvement and higher paperboard strength than the wood powder. The mixture of tapioca organic filler and wood powder showed improved paperboard strength compared to wood powder alone. Therefore, tapioca residue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to manufacture an organic filler for paperboard mills.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on Broiler Performance and Antibiotics Residue in Eggs)

  • 성은일;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3-29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산란계에서 혈중 및 계란내 항생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1은 450수의 1일령 육용종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2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고, 항생제 0%(T1), 항생제 0.1%(T2), AC 1%(T3), AC 1% + 항생제 0.1%(T4), AC 2% (T5), AC 2% + 항생제 0.1%(T6)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주 단위로 조사하여 성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5주차 종료시에 각 처리구별로 10수씩 선발하여 도살하였고, 간, 복강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을 측정함으로서 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은 가열 감량, 전단력가, 보수력, 육색을 측정하였고, 육질의 관능적 특성은 연도, 맛, 풍미, 다즙성 등을 측정하였다. 장 내 균 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2는 40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9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0.5%에 AC 0%(C), AC 1.0%(T1), AC 2.0%(T2)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2주간 급여하였다. 종료 후 혈액 채취 및 계란을 수거하여 혈액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사 에너지, 조 단백질 및 기타 필수 영양소 수준을 고려하면 AC의 급여가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 복강 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 항목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력가는 대조구에 비해 AC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P<0.05)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에서 적색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총체적 선호도 항목 모두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장 내 총균수, coli form 및 lactic acid bacteria 수는 항생제를 첨가한 (+) 대조구와 AC를 첨가한 처리구가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거나(P<0.05),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는 AC 급여에 의해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특히 AC급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생산된 계육의 외관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시사되었고, 장내 총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감소시키는 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토석류 유출에 기인하는 몇 가지 산림환경인자 분석 - 부산 및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ome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Debris Flow Occurrence - With a P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s -)

  • 이해동;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13-220
    • /
    • 2015
  • 본 연구는 부산 및 울산광역시의 토석류 유출 위험지역 총 15개소에서 토석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 환경인자에 대한 인자별 발생분포비율을 분석하였다. 토심은 중(30~99 cm), 방위는 동사면과 북동사면 및 북서사면, 표고는 100~200 m, 산지평균경사는 $20^{\circ}$ 미만, 모암은 화성암, 과거 토석류 유출이 있었던 지역, 최대시우량은 50~100 mm, 1일 최대강우량은 300 m 이상, 수계밀도는 $3{\sim}4km/km^2$,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사 $20^{\circ}$ 이상의 분포비율은 20~40%와 40~60%, 산사태 위험도 2등급 이상 비율은 40~60%, 유목이 있는 상태, 사방공작물 시설이 없는 지역, 4영급, 임분이 밀한 지역, 혼효림 등의 인자가 토석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석재 산업 및 부산물 동향 조사 (A Study on the Trend of Stone Industry and Residue)

  • 채광석;이영근;구남인;윤호중;임종환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22
  • 석재는 역사적으로 빌딩용 석재, 거석, 장식용 석재, 사냥 및 연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세계 석재 생산은 채석 부산물을 제외하고 2018년 1억 5,300만톤 생산하여 전년도 대비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재 생산과 비례하여 석재 부산물은 석재 생산량의 71%를 차지한다. 석재 무역은 전년도 5,800만톤 보다 150만톤 감소한 5,650만톤이 거래되었다. 2018년 석재 무역에서 평균 가격은 2.5% 감소하였고, 석재 생산결과 세계 상위 12개 수출 국가 기준으로 약 7% 감소하여 34달러(USD/m2)로 나타났다. 석재 평균 가격 순위의 주요 3개국은 이탈리아, 그리스 및 브라질은 더욱 많은 가격 상승을 보여주었다. 2018년에 전체적으로 석재 수입과 수출은 8억 1,500만 m2이며, 200억달러(USD) 이상 수익이 발생했다. 석재 수입은 주로 6개 국가가 주도하여 중국, 이탈리아, 터키, 인도, 브라질, 스페인 및 포르투칼 순서로 많았다. 인구 천명당 세계 석재사용은 2001년 117 m2에서 2017년 264 m2, 2018년 266 m2로 증가했다. 석재 사용량은 2배 이상 증가 했고, 최근에 조금 감소하고 있으며 천명당 1,000 m2 이상 사용하는 국가는 유일하게 스위스, 한국, 사우디아라비아 및 벨기에이지만,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인도 및 미국 순이다. 국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석재 무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5년 6,985만톤으로 판단된다.

열대산(熱帶産) 광엽수재(廣葉樹材)의 Xylan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Xylan의 단리(單離) 및 정제(精製)- (Studies on Xylan of Tropical Hardwood (II)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Xylan-)

  • 이종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4-32
    • /
    • 1977
  • 아염소산염법(亞鹽素酸鹽法)에 의하여 대부분(大部分) 탈(脫) lignin된 holocellulose를 얻었다. Alkali농도별(濃度別)의 추출(抽出)에서는 5% KOH로 3회추출(回抽出)하여도 일부(一部)의 xylan이 잔존(殘存)하며 타(他)의 hemicellulose와 cellulose의 분해성물질(分解生成物)이 얻어지며, 10%와 24% KOH추출(抽出)은 그와 같이 좋은 결과(結果)가 얻어졌다. Xylan의 침전단리(沈澱單離)에 다량(多量)의 ethanol을 사용(使用)하는 상법(常法)보다는 약(約) 1/10로 농축(濃縮)하여 cellophane막(膜)에 의한 투석법(透析法)으로 소량(少量)의 ethanol이라도 회수율(回收率)과 높은 순도(純度)의 xylan이 얻어졌다. Glucornannan의 단리(單離)에 있어서 5% KOH 추출잔사(抽出殘査)는 xyJan함유량(含有量)이 많고 10%와 24% KOH 추출잔사(抽出殘査)는 그의 같은 결과(結果)이며, glucose와 mannose의 비(比)는 약(約) 1 : 1이다. Fehling용액정제(溶液精製)는 비교적(比較的) 순수(純粹)한 xylan을 얻지만, 분화분해(孵化分解), 조작(操作)의 번잡(煩雜) 및 회수율(回收率)이 낫고, 그다지 좋은 방법(方法)은 아니다. Ethanol적하법(滴下法)은 1일(日)정제(精製)라도 고수율(高收率) 및 고순도(高純度)의 xylan이 얻어지고 조작(操作)의 영역(容易)등을 고려(考慮)하여 대단히 우수한 xylan 정제법(精製法)이다. 그러나 양정제법(兩精製法)으로 arabinose잔기(殘基)를 완전(完全)히 제거(除去)할 수는 없었다. 이것은 후보(後報)에 검토(檢討)를 보고(報告)한다.

  • PDF

침엽수 낙엽을 활용한 기능성 펄프몰드 제조 (Manufacturing Functional Pulp Mold with Coniferous fallen leaves)

  • 김동성;김형민;성용주;강석구;강호양;이준우;김세빈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1호
    • /
    • pp.43-52
    • /
    • 2016
  • The coniferous fallen leaf is one of the major forestry residues. Since the coniferous fallen leaf would not be easily decayed, the large amount of the coniferous fallen leaves in forestry could be the source of forest fire. The applicability of the fallen leaves to the pulp mold were evaluated for developing new utilization of coniferous fallen leave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allen leave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ere evaluated by the comparison with those of fresh leaves. The applicability of the coniferous fallen leaves to the pulp mold and the effects on the pulp mold properties including the scent diffusion were investigated. The fallen leaves showed the shrunk structure by losing the hot water extract component, which leaded to better grinding properties than that of fresh leaves. The pulp mold with fallen leaves showed higher strength properties than the pulp mold with fresh leaves. Although the scent of the pulp mold with fresh leaves was stronger, the pulp mold with fallen leaves had coniferous scent too. The application of fallen leaves to pulp mold for the functional properties could be possible by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scent lasting treatments.

2019년 유통 임산물 중 산나물류와 약초류, 과실류 13종의 농약 및 중금속 잔류 실태 (Pesticide and Heavy Metal Residue Monitoring in 13 Types of Agroforestry Products in 2019)

  • 김준헌;오지연;신지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3
    • /
    • 2020
  •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린제도의 시행에 따라, 농약의 안전사용이 더욱 중시되었다. 산림식용자원(임산물)은 소규모 재배 등의 이유로 등록된 농약의 수가 적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의 사용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물에 대한 농약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산림식용자원 13종에 대한 농약 및 중금속 잔류실태조사를 하였다. 산나물류 조사 시료인 고사리, 참나물, 도라지, 더덕에 대하여 조사 시료의 0%, 40.0%, 20.0, 26.7%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약초류인 참쑥, 당귀, 마는 13.3%, 56.3%, 0%의 농약 사용이 확인되었다. 과실류 조사 시료인 석류, 복분자딸기, 다래, 머루, 돌배, 결명자에서는 조사 시료의 57.1%, 33.3%, 26.7%, 66.7%, 46.7%, 0%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 중금속(납, 카드뮴)은 도라지와 참쑥에서만 검출되었다. 연구에서 얻은 임산물별 사용농약에 대한 정보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사용현황을 확인하여, 추후 농약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국내 임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겉뿌림 초지조성지에서 제초제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I. 제초제에 대한 주요 산야초 및 고사반응 (Studies on the Herbicide Application for Use in Pasture Establishment by Overseeding I. Response of native grasses and shrubs to selected herbicides)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6-46
    • /
    • 1991
  • Adequate regrowth control of weeds and shrubs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problem for pasture establishment by overseeding on reclaimed forest hilly la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sloping shrub land near Anseong, Gyeonggido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rbicide application on growth control of native weeds, shrubs and trees. We evaluated 63 different weeds and wood species in the trials, which are grown common in korean forest. Buthidazol and 4 other herbicides (sodium chlorate, glyphosate, U-46 and gramoxone) were sprayed each at two application rates during the period of the most intensive growth, on 20 July 45 days before overseeding of pasture species. Glyphosate and sodium chlorate gave excellant control of growth of all species. However. Uncus effusus, Carex heterostachya, Polygonatum humile, Rubus corchorifolius, Lonicera coerale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were classified as a tolerant weed and wood species to herbicides. Herbicide buthidazol showed also successive control of regrowth of weeds and wood species. But buthidazol was evaluated as a none available herbicide for use in pasture establishment. because o! their long persist of toxic herbicide residue in soils after treatments. Herbicide U-46 and gramoxone had almost no effect on regrowth of shrubs and tre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