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operation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2초

실시간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Realtime Wireless Sensor Line Protocol for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 김재호;이상신;안일엽;김태현;원광호;김성동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31-1034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sensor network protocol, R-WSLP(Realtime Wireless Sensor Line Protocol), which has extremely low latency characteristic in large-scale WSN. R-WSLP is proposed to implement realtime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We propose Distributed TDMA method for the multiple channel access and Time Synchronized Forwarding Mechanism instead of routing technique to achieve low latency network. Also, R-WSLP provides extremely low power operation which we accomplished by reducing idle listening. In our experimentation, we get successful results at the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with our protocol.

  • PDF

목재펠릿의 경제성과 원료 적정성 연구 (Study of materials Appropriat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Wood pellets)

  • 김경철;김철환;안병일;이지영;;;박현진;김성호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3-249
    • /
    • 2011
  • In the world,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oil, petroleum, gasoline has created the global warming due to especially carbon dioxide gas emission. Therefore, these fossil fuels must be replaced by eco-friendly feadstocks. The wood pellets are one of valuable alternative fuels that can replace oil-based fuel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Unfortunately, there are no enough forest biomass for wood pellets in Korea. Nevertheless, Korea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use most of forest biomass generated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This does not make sense in an economic point of view.

  • PDF

Allelopathic Potential of Select Gymnospermous Trees

  • da Silva, Jaime A. Teixeira;Karimi, Javad;Mohsenzadeh, Sasan;Dobranszki, Jud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09-118
    • /
    • 2015
  • Allelopathy is an ecological phenomenon that refers to th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f one plant on another plant, both crop and weed species, by the release of organic chemicals (allelochemicals) from plant parts by leaching, root exudation, volatilization, residue decomposition in soil and other processes in both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Allelopathy can affect many aspects of plant ecology including occurrence, growth, plant success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survival, dominance, diversity, and plant productivit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concept of allelopathy, some mechanisms of operation within plants and then focus on a select number of gymnospermous tree genera: Ephedra, Pinus, Taxus, Cedrus, Juniperus, Picea, Cunninghamia and Araucaria. Pinus, Taxus (yew) and Cedrus (cedar) trees have a strong negative allelopathic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or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Default Prediction of Automobile Credit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 Chen, Ying;Zhang, Ruiru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75-88
    • /
    • 2021
  • Automobile credit business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and corresponding default phenomena occur frequently. Credit default will bring great losses to automobile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e successful prediction of automobile credit default is of great significance. Firstly, the missing values are deleted, then the random forest is used for feature selection, and then the sample data are randomly grouped. Finally, six prediction models of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and k-nearest neighbor (KNN), logistic, decision tre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re 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se six machine learning models can be used to predict the default of automobile credit. Among these six models, the accuracy of decision tree is 0.79, which is the highest, but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SVM is the best. And random grouping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odel operation to a certain extent, especially SVM.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산림작업 공정 및 비용 분석(I) -작업시간 및 공정 -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and Cost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biomass(I) - the Operational time and Productivity -)

  • 문호성;조구현;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83-592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임업기계를 이용한 임목수확작업시스템에서 벌목 및 조재, 집재, 소운재, 파쇄 등의 목재생산 및 파쇄작업에 대한 작업시간 및 공정을 분석하여,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의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회당 주체작업시간은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작업은 조사지 1(벌목 및 조재:체인톱, 소운재:굴삭기 그래플 및 소운재용 트럭)과 조사지 2(벌목 및 조재:체인톱, 집재:타워야더, 소운재:굴삭기 그래플 및 임내작업차)에서 각각 182.7초/회와 518.5초/회로 나타났다. 트랙터 부착형 집재기에 의한 집재는 202.5초/회, 타워야더에 의한 집재는 295.1초/회로 나타났다. 소운재용 트럭(일명:영운기)에 의한 소운재작업은 2,073초/회, 임내작업차에 의한 소운재작업은 2,248.4초/회로 나타났다.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 작업공정은 조사지 1과 2에서 각각 평균 $66.96m^3$/인${\cdot}$일과 $43.86m^3$/인${\cdot}$일으로 나타났다. 트랙터 부착형 집재기에 의한 집재작업공정은 평균 $5.68m^3$/인${\cdot}$일으로 나타났으며, 타워야더에 의한 집재작업공정은 평균 $10.74m^3$/인${\cdot}$일으로 나타났다. 소운재용 트럭(영운기)에 의한 소운재작업공정은 평균 $21.29m^3$/인${\cdot}$일으로 나타났으며, 임내작업차에 의한 소운재작업공정은 평균 $28.57m^3$/인${\cdot}$일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형 목재파쇄기에 의한 파쇄작업공정은 $4.42m^3$/인${\cdot}$일으로 나타났으며, 대형 목재파쇄기에 의한 파쇄작업공정은 $21.87m^3$/인${\cdot}$일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을 위한 추모 서비스 개선방안 (Improving Memorial Services for Sustainable Forest Burials)

  • 이정선;차성수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37-47
    • /
    • 2024
  • 현재 화장문화의 정착으로 인해 화장후 장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와 자연 친화적인 장법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자연장의 대표격인 수목장과 수목장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나무에 의존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속된다면 수목장 (림)이 숲을 훼손하여 또 다른 묘지로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수목장림은 우리가 가진 자연이라는 공간으로 인간이 회귀한다는 시간적 의미가 깃들어져 인간은 자연에 순응하여 돌아간다는 철학적 의미를 담는 장법이다. 이렇듯, 수목장림은 우리가 익히 아는 전통적인 장사시설이 아님에도 시설과 운영시스템의상당 부분이 공원묘지 기준을 차용하면서 법령상의 자연장보다 더 엄격한 기준과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직성은 숲을 보존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수목장림의 확장성과 운영에 제한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수목장림 운영을 위한 구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의 자연장 유형을 살펴보고, 국민들의 정서와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정착할 수 있는 수목장림의 방향을 찾는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으로는 추모목에 의탁하지 않는 안치 방법, 익명이나 무기명 수목장림의 운영, 그리고 참배 추모 방식의전환, 그리고 다양한 산골방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의 대안을 제안한다. 수목장림이 시행되는 곳은 산림, 다시 말해 숲 자체이다. 장사시설이 아닌 숲을 통한 고인의 진정한 자연회귀의 정신을 기릴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됨으로서 숲이 가진 공익적 가치, 즉 숲의 사회적 기능을 친환경적인 장사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적정 노임단가 추정 (Estimation of Appropriate Wage by Development of Wage Survey Framework for Forest Workers)

  • 박혜인;김참;최성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17-229
    • /
    • 2023
  •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및 제거, 산출방법은 직종별 임금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2022년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은 보통인부 163,376원, 특별인부 221,407원, 작업반장 250,045원, 벌목부 239,863원으로 산출되었으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대비 평균 16.27% 높게 나타났다. 산림작업자 적정임금,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임업기능인 기준임금과 각각 상대 비교·분석하여 산림사업에 적합한 조사체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통해 산정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임업기능인 기준임금이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에 비해 4.5% 더 유사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산림사업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산림사업의 현실적인 직접노무비 산정과 적용, 산림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기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산정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를 제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년간 장기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실지급임금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웹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산불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Forest Fir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 조명희;김준범;김현식;조윤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3-105
    • /
    • 2002
  • 본 연구는 시 공간적 유동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산불 현황정보를 인터넷상에 시각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일반 사용자 누구나 쉽게 산불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산불관련 공무원들이 이들 정보를 실시간에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웹상에서 정보의 입력 및 검색, 출력이 가능한 실무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의 웹 서버는 MS사의 IIS 5.0을 이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상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Oracle 8i와 ASP(active server page)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웹상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지도데이터로 서비스하기 위한 맵 서버로는 ESRI사의 ArcGIS IMS(internet map server)와 이들을 제어하고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언어로는 Java, VB 6.0, HTML을 이용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는 12년 간의 다양한 산불관련 현황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불 경향과 현황을 쉽게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이들 정보의 시각화는 국내 산불관련 정책결정 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서도 그 활용성이 클 것이라 사료된다. 나아가 일반국민들에게는 산불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관련 공무원들에게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산불 행정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리라 기대된다.

  • PDF

벌목작업(伐木作業) 표준화(標準化)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for Logging Operation)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20-231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침 활엽수에서 몇 수종(樹種)을 선정하여 독일(獨逸)의 표준화(標準化)된 작업방법(作業方法)과 우리나라 임업생산(林業生產)에서 실제(實際) 이용(利用)되고 있는 작업방법(作業方法)을 비교(比較) 연구(硏究)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표준화(標準化)된 작업방법(作業方法)을 확실하게 구명(究明)하여 임업경영(林業經營)에서의 생산비용(生產費用)(인건비(人件費)) 절감(節減)과 아울러 산림작업(山林作業)의 성력화(省力化)에 효율적(效率的)으로 적용(適用)하고자 한다. 1. 두가지의 작업방법(作業方法)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동일한 작업조건(作業條件)에서 순수작업(純粹作業) 소요시간(所要時間)은 별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수종별(樹種別) 순수작업시간(純粹作業時間)을 요소작업별(要素作業別)로 분석(分析)한 벌도(伐倒)와 절동시간(切棟時間)은 침엽수종(針葉樹種)보다 참나무가 더 많은 시간소요(時間所要)를 보여 주는 바, 이는 재질이 단단함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조재시간(造材時間)은 참나무보다 침엽수종(針葉樹種)이 시간소요(時間所要)가 더 많은 것은 침엽수종(針葉樹種)이 참나무에 비하여 가지수(NOB)가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작업시간(作業時間)은 보통 흉고직경(胸高直徑) 1cm가 증가하면서 작업방법(作業方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11-13초가 증가(增加)되었다. 4. 이 결과(結果)로부터 각기 다른 두 작업방법(作業方法)에서 작업(作業)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 차이(差異)는 거의 없어 우리나라에서도 독일(獨逸)에서 이용되고 있는 1인1조 작업방법(作業方法)으로 전환(轉換)할 것을 추천(推薦)하며, 앞으로 인건비(人件費)의 상승(上昇)과 산촌(山村)의 인력난(人力難)으로 인하여 점차 어려워지는 실정에 있어 현 시점에서 작업원(作業員)의 기능교육(技能敎育)을 확대실시하고 동시에 이와 같은 표준적(標準的)인 작업방법(作業方法)을 적용(適用)하여 생산성(生產性) 향상(向上)을 도모(圖謀)해야 한다.

  • PDF

야간산불진화 헬기 운영과 항공안전 (Night fire fighting helicopters operations and Aviation Safety)

  • 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5-151
    • /
    • 2014
  •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most helicopter accidents occur at low altitude. Analysis on accidents data collected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as brought two conclusions. Firstly, helicopter operations during the night hours carries a high risk. Secondly, the most common cause of night hour operations is loss of control due to the flight illusion. As an operation relying on a night vision in particular has a very high accident hazard, accompanying instruments such as NVG are ought to be provided. Hence, a thorough preparation and inspection on missions for night forest fire extinguishing should be required and perfect guidelines/road maps and enough training programs for the operation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engagement in 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