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landscape

검색결과 1,663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의 생태지역별 산불특성과 임상분포패턴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and Spatial Patterns of Forest Types by the Ecoregions of South Korea)

  • 이병두;송정은;이명보;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1-9
    • /
    • 2008
  • 산불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산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임상분포패턴과 산불특성과의 관계 규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형과 산불 빈도 및 규모를 표현하는데 유용한 생태지역을 단위로, 임상분포패턴 및 산불특성을 분석하고, 두 인자 간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수치임상도의 경관분석을 통해 생태지역별 전체 임상과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임분의 분포패턴을 분석하고, 산림청의 산불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생태지역별 산불특성을 추출한 다음 정준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임상패치는 산림면적비율이 높은 생태지역일수록 크고 복잡하였으며, 소나무 임분은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형태가 복잡하고 패치 간의 근접성이 높았다. 1,000ha 당 산불발생건수는 도시화된 생태지역에서 많았으나, 건당 피해면적과 확산속도는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강원해안" 등 산림비율이 높은 생태지역에서는 적은 발생건수와 넓은 피해면적, 빠른 확산속도를 보였다. 정준상관분석 결과 산불특성은 소나무 임분의 경관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소나무 임분 면적이 크면서 응집된 구조를 갖는 해안 생태지역일수록 장시간 연소되어 피해면적이 큰 특성을 보였다.

대체에너지원으로서 국내 산림바이오매스 자원의 잠재력과 이용가능성 (Energy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utilization for domestic forest biomass as an alternative resource)

  • 차두송;오재헌;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110-1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체에너지로서의 바이오매스에너지원의 정의와 특성 등을 살펴보고, 국내에서의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의 잠재력과 이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임지잔재, 간벌재 등의 목질바이오매스는 자원량이 풍부하고, 임업 임산업의 활성화와 인공림의 간벌작업을 촉진하여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너지 자원으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새로운 임업의 과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휴양림의 포지셔닝 검토를 통한 적정시설기준 탐색 (A Study on the Facility Regulations of Urban Recreation Forest by the Positioning Concept)

  • 김태진;홍윤순;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04
  •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character of urban recreation forest and investigating facilities regulations of forest resources around urban areas to meet future recreation nee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mpare urban recreation forests with similar facilities like urban parks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s. By this way,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creation forest as emerging recreational facility, but also outputs regulations that can be adapted to real environment. Urban recreation forest is defined as follows: It has forest with good natural landscape and easy access. It makes emotion rich and its function is focused on outdoor recreation nature education, and experiences for family group mainly within a day or on weeken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inimal area of urban recreation forest should be over 100,000$m^2$, with a facility ratio less than 20%. Building coverage should be less than 7% when the urban recreation forest is under 300,000$m^2$, less than 5% when 300,000∼500,000$m^2$, and less than 3% when over 500,000$m^2$ The limits of building height is 3 stories, or under 12m. This study finds out the character, the needs of urban recreation and the criterion for project feasibility.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supplying theoretical basement on related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study will establish landscape management method and legislation & application in a detailed examination.

조건부 로짓 모델을 이용한 산림경관기능의 경제적 가치 평가 (Estimation of Economic Valuation of Forest Landscape Function Using Conditional Logit Model)

  • 김의경;김동현;유진채;김미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91-89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선택실험기법을 활용한 조건부 로짓 모델을 이용하여 산림경관기능이 가지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림경관의 속성과 수준을 선정하였는데, 속성은 산림형태, 임상, 소밀도, 휴양적 요소, 지불의사금액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로 SAS 9.1을 이용하여 Orthogonal과 Balanced를 이루는 96개 선택 집합을 4개 타입으로 구성하였으며,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 시민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간 가구당 지불할 의사를 면접조사방법으로 총 280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Non-ASC 모형에서 Mcfadden' ${\rho}$는 0.21, 우도통계량은 -2,631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경관에 대한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금액은 266,723원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산림군집의 경관구조 특성기반 숲정원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Model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 전승훈;차윤정;박상길;배준규;이경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237-249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와 식생, 그리고 숲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식재경관 중심의 정원화 모형을 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산림군집의 경관 특성을 기존의 정원 식재유형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숲정원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우리나라 주요 산림 식생군집을 구성하는 핵심 경관요소를 도출하고, 군집구조의 수직적인 층위와 수평적인 분포양상에 대해 우점종과 표징종 및 식별종 등 진단종과 이들의 성상 및 우점도-군집도를 분석·평가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시각적 우세요소에 따라 주 경관, 부 경관, 세부 경관으로 계층화하여 표준화된 식생경관의 구조와 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우리나라 온대중북부지역의 대표 식생군락인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미술사적인 차용의 개념과 범위를 적용하여 숲정원 모델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숲정원의 개념정의 및 유형화, 그리고 숲 식생의 전략적인 접근을 토대로한 통합적인 숲정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부산시 황령산의 경관구조와 생태적 복원 (Landscape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Mt. Hwangryung in Pusan, korea)

  • 이창석;조현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91-797
    • /
    • 1998
  • An attempt to clarify the landscape structure of urban areas was carried out on Mt. Hwangryung located in the center of Pusan, southern Korea. By means of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 a vegetation map including land-use pattern was made. Landscape structure was described by analyzing the vegetation map. Landscape elem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secondary forest, introduced plantation, and other elements including urbanized area. almus firma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ies, introduced plantation elements, formed matrix and some secondary forest elements and the other artificial plantations of small scale tended to distribute as small patches in such matrix. The number of patches per unit area in secondary forest elements was more than that in introduced plantation element. The result on patech size was vice versa. As the results of landscape ecological analyses,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artificial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communities levels to natural process such as progression of succession. On the other hand, restoration plans in viewpoints of restoration and landscape ecology were suggested to improve ecological quality of Mt. hwangryung.

  • PDF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촌경관 유형 구분 및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Using Cluster Analysis)

  • 고아랑;임정우;김성학
    • 농촌계획
    • /
    • 제26권1호
    • /
    • pp.101-112
    • /
    • 2020
  • Recently, public awareness regarding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is increasing. Thu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tandard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creation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by characterizing and classifying those exist. 286 mountain villages' data were collected and 19 variables - extracted from GIS spatial information and statistic data of mountain villages, chosen as right sources according to former studies - were utilized to conduct factor and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7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were defined - 'Location', 'Cultivation', 'Ecology·Nature', 'Tourism', 'Residence', 'Recreation'. The K-means cluster analysis categorized the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into four types - 'Residential', 'Touristic', 'General', 'Environmentally protected'. The classification was examined to be appropriate by field assessment, and basic guidelines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management were 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planning and implementing regarding mountain village landscape in the future.

금호강 유역 산림의 경관생태적 패턴분석 (An Analysis on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Forest)

  • 박경훈;정성관;이현택;오정학;김경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34
    • /
    • 2004
  • 산림의 단편화와 같은 인위적 교란은 유역생태계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산림의 단편화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경관지수와 GIS를 이용하여 금호강 유역에 분포하는 산림구조를 정량화하였다. 소유역 단위의 경관지수값은 인자분석에 의해 전체 분산을 85% 정도 설명하는 3개의 공통인자를 단순화하였다. 산림단편화 정도는 소유역별 인자점수를 토대로 계산하였고, 이는 도시지역 면적률(r=0.827, p<0.01, $R^2$=0.685), 고도(r=-0.637, p<0.01) 그리고 경사도(r=-0.593, p<0.01)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관리를 위한 산림경관의 건전성 빛 구조적 패턴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과 경관지수값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경관패턴 및 그 변화가 유역환경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GIS와 설문분석에 의한 강원대 학술림의 비목재생산기능 평가 (Evaluation of Non-Timber Forest Functions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sing GIS and Questionnaire Analysis)

  • 최상현;김진국;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9-10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on-timber forest functions of the Research Forest area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forest recreation func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method answered by forest management experts.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separat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Each factor was classified into intermediate element and detailed el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factors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and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s. Potential of the ex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accessibility, location, landscape and induction factors while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 was divided into stand structure, forest structure and human impact. The priority of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was in order that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factors and landscap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and landscape factors ar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경상남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남해군과 통영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Village Forest Sites in the Southern Coast - A Case Study of Namhae-Goon and Tongyoung City -)

  • 임의제;소현수;이수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41
    • /
    • 2012
  • 본 연구는 마을숲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하고, 그 가치와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경상남도 소재의 남해안 마을숲 10개소를 연구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헌연구, 현장조사, 인터뷰를 통해서 남해안 마을숲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은 문화적 특성, 실용적 특성, 경관적 특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륙 마을숲이 유교적 배경이 강한데 비해 민촌에 조성된 해안 마을숲은 민간신앙의 영향이 두드러진 마을 공동체의 정신적 공간이다. 둘째, 남해안 마을숲은 해안마을이 접한 현실적 문제 해결과 경제적 효율을 우위에 둔 사고와 문화를 반영한 실용적 공간이다. 셋째, 남해안 마을숲은 단순히 수목으로 구성된 숲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토지이용을 구성하는 바다부터 마을과 배후 산까지 광역적 범위에서 경관적 정체성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남해안 마을숲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내륙 마을숲과 차별화되는 해안 마을숲의 가치를 제고하였음에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동해안과 서해안 마을숲으로 연구의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각 해안 마을숲의 특성과 차이점을 밝히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