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남해군과 통영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Village Forest Sites in the Southern Coast - A Case Study of Namhae-Goon and Tongyoung City -

  • 임의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 소현수 (우리경관연구실 이락재) ;
  •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Lim, Eui-J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So, Hyun-Su (Institute of Korean Landscape Studies YiRakJae) ;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연구는 마을숲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하고, 그 가치와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경상남도 소재의 남해안 마을숲 10개소를 연구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헌연구, 현장조사, 인터뷰를 통해서 남해안 마을숲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은 문화적 특성, 실용적 특성, 경관적 특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륙 마을숲이 유교적 배경이 강한데 비해 민촌에 조성된 해안 마을숲은 민간신앙의 영향이 두드러진 마을 공동체의 정신적 공간이다. 둘째, 남해안 마을숲은 해안마을이 접한 현실적 문제 해결과 경제적 효율을 우위에 둔 사고와 문화를 반영한 실용적 공간이다. 셋째, 남해안 마을숲은 단순히 수목으로 구성된 숲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토지이용을 구성하는 바다부터 마을과 배후 산까지 광역적 범위에서 경관적 정체성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남해안 마을숲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내륙 마을숲과 차별화되는 해안 마을숲의 가치를 제고하였음에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동해안과 서해안 마을숲으로 연구의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각 해안 마을숲의 특성과 차이점을 밝히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s objective is to inform people of the value and identity and to understand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oastal village forest, which have not been studied in-depth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10 village forest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nam-do, Korea and the present state of forests were investigated through bibliographical and on-the-spot survey, as well as interviews with local villagers. The following points(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practical characteristics, scenic characteristics) are the important factors for analyzing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oastal village forest verifi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coastal village forest in the village commons is mental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affected by folk belief rather than confucian backgrounds. Second, The coastal village forest is a reasonable space contriving economic efficiency and solving the real problems facing the coastal village. Third, The coastal village forest identities should be understood the land use around village and behind mountain from the sea of wide range rather than confined to just a forest consisting of trees.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o make the basic data an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coastal village forest unnoticed. In add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uld be extended to the east and west coastal village forests and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not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coastal village forest.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상남도(1994). 방풍림 관리실태 및 보존대책-방풍림 조성의 역사적 배경과 기능 분석. 경상남도.
  2. 국립민속박물관(2002). 경남 어촌민속지. 서울:국립민속박물관.
  3. 김근우, 김석우, 김경남, 유키 나카시마, 츄지오 이자키(2005). 쓰나미에 대비한 해안림 조성과 비구조물 대책-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4(3):197-202.
  4. 김덕현(1986). 전통촌락의 동수에 관한 연구-안동 내앞마을의 개호송 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29-45.
  5. 김덕현(2000). 삶의 질을 위한 경관독해-문화지리학 연구주제로서 유교의 '자연합일'전통. 대한지리학회지. 35(2):281-294.
  6. 김석환,최송현(2007).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구조와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67-73.
  7. 김성균(1993). 하회마을의 문화 경관. 문화역사지리. 5:91-94.
  8. 김종성,손요환(2000). 방풍림의 효용과 조성.고려대학교 자연자원연 구소. 자연자원연구. 8:21-35.
  9. 녹색연합 편(2005). (인간을 구하는 숲)해안림. 서울:녹색연합.
  10. 류제헌(2002). 한국문화지리. 서울:살림.
  11. 박상진(2001). 궁궐의 우리나무. 서울:(주)눌와.
  12. 박재철(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133-142.
  13. 박재철, 정경숙, 장혜화(2003). 진안 하초 마을숲의 온도 조절 기능 분석. 농촌계획. 9(4):35-41.
  14. 송동옥(2011). 경상남도 남해군 일대의 해안림 유형과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상섭(2006). 전통마을 문화경관에서 찾아본 온고지신의 미.국토연구원. 국토. 302:113-122.
  16.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서울:대가.
  17. 오현경, 김용식, 고명희(2005).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 미조리 방풍림의 식물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246-257.
  18.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 요소로서 풍숲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1):59-80.
  19. 이도원(2002). 마을숲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이해와 제안. 우석대학교 부설자원 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 심포지움. pp.1-14.
  20. 이석해,이행렬(2005). 최치원 유적의 유형과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60-72.
  21. 전라남도(1983). 전남의 전통문화(하권). 광주:광주일보출판국.
  22. 조경만, 박광석(1992).고흥지방 민속자료 '고흥군의 문화유적'. 목포:목포대학교 박물관. pp.365-366.
  23. 조선총독부 임업시험장(1938). 조선의 임수(林藪).조선총독부(생명의 숲국민운동(2007). 역주 조선의 임수. 서울:지오북).
  24. 최재웅(2010). 스토리가 있는 우리 마을 당산숲. 수원: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5. 홍선기, 김재은(2007). 서해안 포구의 마을숲-생태관광지 보전을 위한 경관림 관리.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도서문화. 29:44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