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environment

검색결과 3,849건 처리시간 0.028초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우종민;박상미;임성견;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77-68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주요우울장애의 정신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대조군 비교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 받고 현재 정신과 외래에서 항우울제 약물치료 중인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각 네 집단으로 나뉘어 세 집단은 각각 산림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병원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단순 산림욕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은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고 일반 진료만 받은 대조군이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증상 변화, 생리적 지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Hamilton Rating Scales for Depression(HRSD), Montgomery-Asberg Depressin Rating Scales(MADR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SF-36), Heart Rate Variability(HRV)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의 HRSD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ADRS 점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 HRSD 7점 이하로 정의되는 관해율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이 가장 높았다. 또한 SF-36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에서만 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Heart Rate Variability(HRV)에서도 생리적 이완감을 나타내는 HF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산림환경을 이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외래 치료 중인 우울증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우울증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우울증상 감소와 관해율에 있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순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인위적인 토양 산성화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 이충화;이승우;김은영;김영걸;변재경;원형규;진현오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89-393
    • /
    • 2005
  •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산성화시킨 화강암 풍화 모재의 갈색 산림 토양에 2-1 소나무(Pinus densiflora) 묘목을 이식하고, 1998년 4월 29일부터 9월 22일까지 21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킨 후 건물생장량과 토양 pH, Al, Mn 농도 또는 염기성 양이온 몰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토양내 $H^+$ 부하량의 증가는 토양중 Al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 생장량은 토양의 Al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토양의 (Ca+Mg+K)/Al 몰비와 건물 생장량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r=0.97, p<0.01)가 있었으며, 몰비가 1.0인 경우에 약50%의 건물 생장량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산성 강하물에 의한 토양 산성화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토양의 Al과 같은 유해금속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Ca+Mg+K)/Al 몰비는 산성 강하물의 삼림생태계 피해예측을 위한 한계 부하량의 평가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jor factors effecting the decrease of forest cover in the Huaphanh Province, Northern Laos

  • Alounsavath, Phayvanh;Kim, Sebin;Lee, Bohw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219-228
    • /
    • 2019
  • The forest of the Huaphanh Province (HP) has continued to decrease at 0.6% (10,560 ha) per year from 1992 to 2010. In the past few decades, the government of Laos and the Huaphanh Provincial Authority have been trying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defores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actors effecting the decrease of the forest cover in the HP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lo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orest management policies on changes in the forest cover. The social data of the province focused on population growth and distribu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cluding the number of poor people and the economic growth of three sectors, namely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and service, whil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te forest management policy focused on the state forest management plan, tree plantation, forest land use planning and allocation to households, and shifting cultivation including annual upland rice and maize cultivation. In addition, government reports on socio-economic and rural development including poverty eradication of other provinces, where an increase in the forest cover was observed,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ecrease in forest cover in the Huaphanh Province appears to depend on a very slow economic growth and reduction in rural poverty of the province. The in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in the province led to an increase in farm households and are as for shifting cultivation. As a result, forests were cleared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forest cover.

저온탄화처리 폐가구재로 제조한 재생보드의 물성 (Properties of Recycled Board Made of Disused Wooden Furniture Carbonized at Low Temperature)

  • 서인수;이민경;이화형;강호양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19-25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for recycling laminated PB and MDF of disused furniture. PB and MDF particles taken from disused furniture were heat-treated at $250^{\circ}C$ and four levels of treatment time, 2, 4, 6 and 8 hours. The recycled boards were made with heat-treated particles after milling and screening with 100 mesh. The bending strength of the recycled boards were lower than that of virgin boards while their anti-swelling efficiency were much improved. Their formaldehyde emissivity were very low.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recylcled boards are prospectiv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for interial consturction.

  • PDF

최근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산림기능별 면적구분과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반영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Area by Forest Function and the Reflection of Ecosystem Service Concepts in Korea's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 고기연;최재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211-222
    • /
    • 2020
  • 본 연구는 산림의 기능구분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현재 국유림 관리계획에서 고려되는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98개 국유림의 경영계획구의 현재와 직전 기간의 경영계획서를 활용하였다, 경영계획서상 전, 현차기의 경영계획구별 산림기능별 면적의 구성 비율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전차기, 현차기의 2개 그룹의 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우선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정규분포를 따르면 모수적 t-검정, 그렇지 않은 경우 비모수적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은 목재생산림 경우가 해당되고, 나머지 5가지 기능: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은 정규분포하지 않는다. t-검정 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기능별 산림면적 비율의 변화를 보인 것은 목재생산림, 자연환경보전림이었다.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활발하게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2018년에 시작된 제6차 산림기본계획에서 부터이다. 지방산림청별 지역산림계획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동부와 서부지방산림청 소관 지역산림계획에서는 위 개념에 대한 언급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나 나머지 3개 지방산림청의 계획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산림경관의 시각적 관리등급 설정기법 현장적용 연구 - 하이원 리조트 일대의 산림경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tting up Method for Visual Management of Forest Landscape and Field Application - Focused on Forest Landscape around High One Resort in Jeongseon-gun, Gangwon-do -)

  • 이관규;장효진;이민주;조현길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1호
    • /
    • pp.65-78
    • /
    • 2013
  • Since pursuing the pleasant life for people, there is an increase of desire to appreciate outstanding scenery with the difference in certain level fo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uman on landscaping, However, the quality of landscaping has become artificial with the pleasance to be declining due to the urbanization. This study was applied at the site around High One Resort area in Gohan-eup, Jeongseon-gun Gangwon-do for analyzing the areas sensitive to the landscaping change as well as degree of requirement for landscape management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with the focus on presenting the zoning method and the management class classification method. Even if the forest is the same, the function of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land use or what resource is placed that the forestry function is found out to present the management plan for each forestry function in the subject site and the result of the management grade classification is analyzed in overlapping to the forestry function level. As a result, from the landscaping management requirement and visual absorption analysis, the result formulated for upper, middle and lower zones to classify the final forestry landscape management degree into 1-4 grades and the management plan is presented on the respective 1-4 grade area for each forestry function. By applying the technique to set the management grade, it was possible to formulate the result to provide the means for integrated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orestry function and management of forestry landscape and resources.

2D 숲동영상 및 Virtual Reality 숲동영상 시청이 성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2D Forest Video Viewing and Virtual Reality Forest Video Viewing on Stress Reduction in Adults)

  • 홍성준;정다워;이정도;김다영;김수진;박범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440-453
    • /
    • 2019
  • 본 연구는 평면 숲동영상 및 VR 숲동영상 시청이 성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인공기후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피험자는 40명이 참가하였다. 피험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2D 회색동영상, 2D 숲동영상, VR 숲동영상을 5분 동안 시청하게 하였다. 실험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심박변동성을 측정하여 자율신경계 활동을 평가하였으며, 각 실험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리 상태를 평가하였다. 생리적 측정 결과 2D 숲동영상은 2D 회색동영상보다 스트레스 지수 감소효과가 크고, HF 증가효과가 크며, 심장박동수 감소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VR 숲동영상은 2D 회색동영상 시청보다 스트레스 지수 감소효과가 크고, LF/HF 증가효과가 크며, 심장박동수 감소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심리적 측정 결과 피험자들은 2D 회색동영상보다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을 더 쾌적하고, 자연적이며, 진정된다고 느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이 2D 회색동영상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의 시청은 스트레스 상황을 벗어나 2D 회색동영상을 시청하는 것보다 더 스트레스 지수를 감소시키고, 심장박동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D 숲동영상은 부교감 신경계의 활동을 증가시키고 VR 숲동영상은 교감 신경계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VR 숲동영상의 교감 신경계의 활동 증가는 스트레스, 긴장 등의 부정적 교감신경 활성이 아닌 신기함, 호기심 등의 긍정적 교감신경 활성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산림치유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기반이 되길 기대하고, 임업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인 VR의 활용이 넓어지는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안성시 상수리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Anseong City)

  • 김성열;문건수;박준성;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issima dominant forest in Anseong city. A total of 39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sampled. 4 syntaxa were classified to use the Z.-M. School's methodology. Species compositions in which this study adopted were Oplismenus undulatifolius-Quercus acutissima community(typicum subcommunity, phytolacca americana sub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ll syntaxa were distributed in a high proportion of synanthropophyte where lower-slopes with low elevations and inclinations. Oplismenus undulatifolius-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 side of Anseong city where high intensity and frequency of human impacts was experienced. While in the east where most of the areas are covered mountains,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ere distributed. As a results, phytolacca americana subcommunity belong to Oplismenus undulatifolius-Quercus acutissima community is sytaxon that reflects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ma dominant forest due to the continuous landuse changes in Anseong city.

간벌강도 및 주기에 따른 동적 흉고직경 생장예측 모형개발 - 기존 수확표 자료를 기반으로 - (Developing Dynamic DBH Growth Prediction Model by Thinning Intensity and Cycle - Based on Yield Table Data -)

  • 김문일;이우균;박태진;곽한빈;변정연;남기준;이경학;손영모;원형규;이상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66-2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간벌강도 및 주기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을 예측할 수 있는 동적생장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동안 산림청에서 구축한 정적생장모형인 임분수확표를 이용하여 총 8개 수종에 대한 동적생장모형을 구축하였다. 간벌종류는 하층간벌을 전제로 하였으며, 간벌강도별로 간벌후의 흉고직경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함수식을 구축하였다. 또한, 임령, 지위지수 이외에도 ha당 본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흉고직경여 총함수식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수확표를 이여 모형을 이용하여 간벌강도 및 주기별로 확표를 이 다양하이여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수확표를 용하여 모형을 이용해 숲가꾸기 등의 산림시업이 산림용하 및 임목축분수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이산림의 탄소흡수능력을 평가하는데 본 연구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