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ecision-making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초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ase study of Daejisan in Korea

  • Kim, Jae Hyun;Park, Mi Sun;Tae, Yoo Le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149-154
    • /
    • 2006
  • Citizen's involvement in forest decision-making is recently acknowledged as a potential solution to forest management conflicts. Through participation, affected citizens become a par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 of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CPM) for urban forest management. The model, which is exemplified by the Daejisan case in Yongin-si, Gyeonggi-do, Korea, utilizes the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the gradual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forest management. As a result, the committee in the model contributed to building partnerships among different interest groups and then to constructing environmentally compatible urban park. Furthermore, an improvement in the levels of resident participation was manifested in the process. These characteristics of CPM can encourag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realizing sustainable urban forest management.

다기준의사결정법(多基準意思決定法)에 의한 임도개설순위(林道開設順位)의 결정(決定) (Determination of Forest Road Construction Priority Order Us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 차두송;조구현;김종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149-157
    • /
    • 1996
  • 본 연구는 22개 지역에 대하여 임목수확 및 무육작업을 위한 임도개설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기준의사결정법중에 선호보정이 없는 모형인 최대최소법 및 최대최대법, 선호보정이 있는 모형인 단순가중치법, 계층가중치법 및 TOPSIS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순가중치법과 TOPSIS법이 임도개설순위의 결정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도시 및 지역의 생태관광지 선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 평가모델 (A Model to Support Spatial Decision Making for Selection of Ecotourism Sites in Urban and Regional Area)

  • 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0-60
    • /
    • 2009
  • A spatial decision making process is needed when a local government tries to make polices and plans for eco-tourism in urban and regional site scal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ssessment model to support spatial decision making on planning and making polices for eco-tourism. The model composes 6 stages of 'setting up ecogeographic territories'. 'value analysis method as ecotourism resources' 'synthetic assessing', 'grading values', 'selecting main resources for ecotourism' and 'spatial decision making support'. Applying the model to Shiheung city in Kyounggi province, validity was secured. By using the model, it was possible to make some decisions effectively such as selection of ecotourism resources, decision of the priorities of polices for ecotourism, and setting up the type of ecotourism to be introduced. In addition, by visualizing high valued resources and areas for ecotourism it w possible to support to make plans and policies effectively.

지형, 토양 및 임상정보에 기초한 도시림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formation of topography, soil and forest type)

  • 이우균;손요환;송철철;정기현;김윤경;류성렬;김현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3호
    • /
    • pp.61-76
    • /
    • 1999
  •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urban forest, a variety of informations on urban forest needs to be accurately measured and effectively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reference to GIS and making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urban forests. A detailed forest type map were constructed with the help of aerial photograph and terrestrial inventory. A geographical map in terms of slope, aspect and altitude were also prepared by Digital Elevation Model(DEM). A soil type map containing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made through soil analysis. These thematic maps which contain informations on forest type, geography and soil were digitalized with reference to GIS, and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of user interface were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is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various spatial and attribute informations which need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ould be easily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in relation to urban forest.

  • PDF

농촌관광개발 이해당사자 분석 방법론 - 사회연결망분석 사례 연구 -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Stakeholder Analysis in Rural Tourism Development - A Case Study of Social Network Analysis -)

  • 이주연;이영주;이동호
    • 농촌계획
    • /
    • 제11권3호
    • /
    • pp.29-42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apply a methodological approach, 'social network analysis' to a case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al structure among stakeholders related to green tourism development. By doing so, this study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stakeholder's network structure to help green tourism planners develop collaborative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keholders regarding a community-based festival development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and investigated two types of networks among them: decision-making power relational and intimate network. Interviewer-administrat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version 10.0) and Net-MinerII (version 2.5.0), an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 revealed that low different groups of the stakeholders were separated in the intimate networt and that the festival organizational body was not connected with other stakeholders in the decision-making power relational network. The existence of separated groups and weak relationship among the stakeholders appeared to relate to age-group differences, and different views on the festival between the stakeholders.

국가 생태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지도 구축 (Mapping for Biodiversit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GIS)

  • 정다정;강경호;허준;김창재;김성호;이정빈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73-581
    • /
    • 2010
  • Natural ecosystem is an essential part to connect with the plan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esponse strategy against climate change. For connec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with climate change strategy, Europe, America, Japan, and China are making an effort to discuss protection necessity through national biodiversity valuation but precedent studies lack in Korea. In this study, we made biodiversity maps representing biodiversity distribution range using species richness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and Forest Description data. Using regression tree algorithm, we divided various classes by decision rule and constructed biodiversity maps, which has accuracy level of over 70%. Therefore, the biodiversity maps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and plan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 continuous management. Furthermore, this study can suggest a strategy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forest information in national level.

선도산림경영단지의 산주참여 확대 방안 (Measures for Activating Participation of Private Forest Owners in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

  • 김영환;배재수;조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41-449
    • /
    • 2017
  •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주들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도산림경영단지 내 산주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도산림경영단지 내 산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참여수준을 파악하고 Arnstein의 주민참여 8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산주들의 참여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도산림경영단지 산주들의 참여수준은 형식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으로 산주들이 단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산주협의체를 제도화하고 선도산림경영단지 산림경영 담당자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제안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운영에 적극적인 일부 소재 산주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전체 선도산림경영단지 참여 산주들의 의견을 대표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정수계획법을 이용한 산림경영계획의 수립방안 연구 (A Forest Management Planning Method based on Integer Programming)

  • 원현규;김형호;정세경;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29-734
    • /
    • 2006
  • 이 연구는 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의사결정방법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잣나무, 낙엽송, 참나무림으로 구성된 85개소의 임분으로 무육, 도태간벌, 상업적 간벌, 주벌의 최적기에 도달한 상태이다. 산림경영모델은 계획기간동안 수종별, 시업종류별로 각 임분에서 별채되는 재적을 최대화하는 1개의 목적함수와 시업횟수 시업대상지 최소수확량과 최대수확량 균등수확량 최대생산량 의사결정변수의 제한 등 7개의 제약조건으로 구성되었다. 계획기간은 10년으로 하였고 5개의 경영분기로 구분하였다. 정수계획법을 이용한 결과, 계획기간동안 85개 임분 중에서 68개 임분 (202.8ha)에 대해 산림시업을 실행하고 17개 임분(9.2ha)은 시업이 유보되며, 총 벌채재적은 $20,000m^3$으로 시업 및 벌채여부 판단과 같은 특정조건의 선택문제를 다룰수 있었다.

게임이론 분석을 통한 갈등해결의 합리적 의사결정 지원에 관한 연구 -지리산국립공원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Rational Decision-Making Support for Solving Conflicts through Analysis of Game Theory -Focused on Jirisan National Park -)

  • 김의경;김동현;신혜진;김대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69-679
    • /
    • 2008
  • 지리산국립공원은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후 수반되는 행위규제로 인해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와 후대에 물려 줄 유산적 가치로서의 자연보전과의 끊임없는 갈등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갈등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성에 근거를 둔 의사결정 대안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리산국립공원을 둘러싼 이해주체들의 갈등해결을 위해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게임이론을 적용하였고 게임의 구성요소는 경기자인 지리산국립공원과 마을주민, 산림의 이용과 보전에 대한 각 이해주체들의 전략, 그리고 전략에 따른 보수 등을 바탕으로 비협조적 게임으로 분석한 결과 나타난 내쉬균형은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며 갈등이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해주체들이 인정할 수 있는 공리를 포함한 전략과 그에 따른 보수를 바탕으로 한 협조적 게임의 결과는 비협조적 게임의 내쉬균형이 가지는 보수보다는 작을 수 있으나 서로 Win-Win할 수 있는 전략집합을 이루며 갈등이 해결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람의 합리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해주체가 인정할 수 있는 공리와 그것을 지켜갈 수 있는 신뢰가 확보된다면 우리나라 국립공원이 겪고 있는 구조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