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community

검색결과 1,308건 처리시간 0.032초

침엽수림과 혼효림에서 토양특성과 토양세균 군집이 산양삼 초기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 김기윤;김현준;엄유리;전권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3-194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experimental fields. Methods and Results: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a high throughput sequencing technique (Illumina MiSeq seq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soi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orest physiognomy. Results of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CoA showed that the soil properties (soil pH,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ee species ratio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Conclusions: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e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Moreover, these results will help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tion sites for wild-simulated ginseng.

남산 지역 조류 군집의 서식 현황과 보호 및 관리방안 (Statu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Mt. Nam Area)

  • 이우신;조기현;임신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665-673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nd present the counterplan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from February 1993 to July 1995 at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within Mt. Nam area, Seoul, Korea. DBH distribution h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tudy site. Deciduous forest had more foliage coverage in all layers than coniferous forest. Total 41 species of birds, which were 16 species of resident, 14 species of summer visitor, 4 species of winter visitor, and 7 species of passage migrant were recrded in two study sites. Leaf use rate of birds was increased the increase of coverage. The number of breeding species and pairs, breeding density, and diversity index were greater in deciduous forest than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of species and pairs on bush-nesting and foraging guild were greater than other guilds. And the nuber of species and pairs on hole nesting guild were the fewest in nesting guild. Use rate of artificial nests for improvement of habitat quality was greater in coniferous forest than deciduous forest. Maintenance of bush layer, increase of coverage and leaf layer diversity, supply of artificial nests, management of large trees, and control of natural enemy were necessary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Mt. nam area.

  • PDF

오대산(五臺山)의 산림식생(山林植生)과 입지특성(立地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 - 동대산지역(東臺山地域)의 식물군락분류(植物群落分類) -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I)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y in Tongdaesan-)

  • 이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73-184
    • /
    • 2000
  •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산림식생구조와 입지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산림관리방안 등을 검토하고자 조사되었다. 동대산의 산림식생은 방위, 지형 등의 입지환경에 따라 식생구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총 242개의 식생자료를 수집하여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조사된 군락은 2개의 군락군과 7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고 그 하위에 수개의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당단풍군락군은 주로 광량이 풍부하고 건조한 남사면에 분포하였다. 이 군락군은 털진달래군락, 털조록싸리군락, 산거울-다릅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전형군락, 참나물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산거울-다릅나무군락은 민둥갈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참나물군락은 광릉갈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세분되었다. 광량이 부족하고 습한 북사면에는 관중-층층나무군락군이 분포하였으며 시닥나무-산겨릅군락과 물참대-난티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물참대-난티나무군락은 다시 산겨릅나무아군락, 톱바위취아군락, 전행군아군락으로 세분되었다.

  • PDF

구상나무림(林)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Forest)

  • 이윤원;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47-257
    • /
    • 1995
  • 우리나라 특산 수종인 구상나무림(林)의 보존과 조림 및 임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 시킬 목적으로 ZM방식을 통한 군락분류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구상나무림(林)은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과 구상나무 제주조릿대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상나무 신갈나무군락은 미역줄나무군, 금마타리군 및 전형군으로 구분되었고, 미역줄나무군은 전형소군, 참나물소군 미 원추리 소군으로 구분되었다.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은 매발톱나무군, 마삭줄군 및 전형군으로 구분되었으며 매발톱나무군은 전형소군과 노루귀소군으로, 마삭줄근은 노루귀소군과 전형소군으로 구분되는 등 총 10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일치법으로 검토한 바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은 소백산맥에 위치하는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에서 출현하였고,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은 한라산에서 출현하는 등 지리적으로 구분되었고, 군락단위간에는 해발과 지형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었다. 식생단위와 구상나무의 흉고직경 및 수고간에는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의 평균흉고직경과 평균수고가 각각 28.4cm, 10.6m로서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의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23.6cm, 6.3m인데 비하여 큰 편이었고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 중에서는 금마티리군이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20cm, 5m로서 가장 작었으며,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 중에서는 전형군의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4cm와 3m로서 가장 작았다.

  • PDF

백두대간 덕유산권역 마루금 주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round Marugeum (Ridge Line) Area in Deogyusan Region, Baekdudaegan)

  • 김호진;송주현;이정은;조현제;박완근;김수진;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81-99
    • /
    • 2022
  • 백두대간은 생물종이 다양하고 풍부한 한반도의 핵심 생태축으로 남한에서 향로봉부터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701 km에 이른다. 덕유산권역(늘재-육십령)은 남부권역에 속하며, 특히 덕유산은 입지환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나타나는 곳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 늘재-육십령 구간의 식생현황을 조사하고 산림식생유형분류를 통해 향후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생조사는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총 637개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결과, 군락군수준에서는 신갈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수준에서는 구상나무군락, 산오이풀군락, 여뀌군락, 굴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구상나무군락에서는 퍼진고사리군, 가문비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은 떡갈나무군, 굴참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고산식생, 초지식생, 농경지식생 등 특이한 산림식생에 대한 보전 및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온난화를 고려한 지리산 국립공원 내 사찰림의 식생구조 연구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bout Shrin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with Regard to Global Warming)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863-1879
    • /
    • 2014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shrine forest vegetation located in Jirisan national park affiliated to an ecotone in southern part of Korea, foreseeing a vegetation change based on composition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on canopy,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vegetation management. The shrine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e 7 community units as Chamaecyparis obtusa-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rigida afforestation,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Zelkova serrata-Kerria japonica for. japonica community, Phyllostachys bambusoides forest, 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is research is also expatiated on the analogous results of ordination analysis with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constituent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zone were appeared in the most vegetations. It emerged less that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cold-temperature zone. The life form analyses were made use with the two ways: appearance species in total communities and each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of shrine forests is declined because the high dominances of Sasa borealis and Pseudosasa japonica emerged in the shrub and herb layers. These shrine forests will be succession to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as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owing to the temperature rise by global warming, and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ill be able to be also formed if a temperate rise will be continued. The one of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shrine forests i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학령기아동 대상 지역사회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숲을 활용한 프로그램 분석: 전국 지역보건의료계획을 기반으로 (Analysis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Targeting School-aged Children and Program Using Forest: Based on National Community Health Plan)

  • 이인숙;방경숙;김성재;최희승;황인주;김지은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and program using forest. Methods: Seventeen health promotion programs focused on school-aged children from Community Health Plan were selected to analyze after assembling 227 of the 5th National Community Health Plans. The analysis duration was from 2012 July to November. Results: Among 17 program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targeting school-aged children were included in 16 programs except one program focusing on community- orientated rehabilitation program. Eight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forest in 7 different areas were found. The majority of the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were focused mainly on smoking cessation, obesity, physical activity, nutrition, mental health programs. Furthermore, there was a limitation of programs utilizing forest as a health promotion resource and most of the programs using forest were located in Jeollanamdo and focusing mainly on atopy prevention and treatment.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nation-wide community health plan systematically, and analyze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targeting school-aged and the program using for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forest targeting school-aged children.

  • PDF

세종시 괴화산 도시숲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Urban Forests on Mt. Goehwa, Sejong-Si)

  • 김현화;이정은;이성연;박다은;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51-65
    • /
    • 2024
  • 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군락군(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과 큰금계국군락군)으로 대별되었다. 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은 인공림과 천연림 식생을 포함하고 있는데, 인공림은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천연림은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6개 단위로, 큰금계국군락군은 임연부의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큰낭아초군락, 싸리군락, 족제비싸리군락, 비수리군락의 4개 단위로 각각 분류되어 총 10개의 식생단위 체계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결과 전체 종에서 밤나무가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 6.4%, 아까시나무 6.3% 순으로 나타나 괴화산은 인공조림 수종의 생태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유사도에서 인공림과 천연림은 서로 간 종 구성이 동질적이나 임연부와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DCA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CCA분석 결과, 인공림과 천연림은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출현종수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임연부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진도 여귀산 상록활엽수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t. Yeogwi in Jin-do Island)

  • 장정재;김준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10-419
    • /
    • 2005
  • 상록활엽수림의 지속적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남 진도의 여귀산에서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상록수종에 대하여 흉고직경분포와 개체군분포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수종의 중요치를 사용하여 cluster 분석에 의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군집별로 종다양도, 균재도, 종상관 등을 산출하였으며, CCA분석에 의하여 군집과 토양환경인자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였다. Cluster 분석에 의하면 여귀산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군집군과 붉가시나무군집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다시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세분되었다. 상록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붓순나무, 광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낙엽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자귀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각 군집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이 종다양도가 0.82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집(0.8135),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0.7931),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0.7674),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0.6164) 순이었다. 여귀산의 주요 상록수종은 2 cm~10 cm의 직경급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BH 5 cm 이하의 동백나무가 전 지역에 걸쳐 괴상으로 분포하고 DBH가 증가함에 따라 임의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DBH 15 cm 이상에서는 붉가시나무가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에 비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붓순나무, 산딸나무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참식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붉가시나무는 참식나무, 후박나무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붓순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참식나무는 산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04~5.16이었고, 유기물함량은 3.15~9.21%, 유효인산함량은16.1~37.1 ppm, 양이온치환용량은 7.6~11.5 me/100 g이었다. CCA분석에 의하여 5개 군집 및 주요 수종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토양유기물함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고 토양 산도가 낮아질수록 동백나무가 우점종으로 생육하면서 점차 참식나무, 붉가시나무의 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야산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roest Begetation of Mt. Kaya)

  • Lee, Ho-Joon;Byun, Doo-Weon;Kim, Won-Sik;Lee, Hae-Seok;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287-303
    • /
    • 1993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88 to September 1992.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was classified into 3 communities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3 subunits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unit, Platycarya strobilacea subunit, typical subunit of Pinusdensiflor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lower altitudes (100~300m) than those of other communities. The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upper altitude (500m). Most of the inverstigated area were occupied by the secondary forest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 profile diagram, suggesting that it was frequently destroyed by human inter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