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community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29초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자연하천변의 목본성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 방제용;허은복;김혜주;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4-129
    • /
    • 2015
  • 하천의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10개의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사시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산벚나무군락 등 총 29개의 식물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하천식생은 계곡 계반림과 하변림으로 나누어졌다. 계곡 계반림은 경사가 급하고 물에 의한 영향이 적어 경목림이 우점하였고, 하변 연목림은 버드나무류로 대변되었다. 하천 선택시 자연성이 기준이 되어 인간의 간섭이 많은 하류보다 중 상류에 위치한 조사지가 많았고, 그에 따라 출현군락의 92%(44 plot)는 경목림이었고, 8%(4 plot)는 연목림이었다. 전층을 이용한 PCA 분석에서는 신갈나무군락 그룹과 산벚나무군락 그룹, 소나무군락 그룹, 산벚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혼합 그룹, 기타군락 그룹으로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교목층을 이용한 PCA 분석은 신갈나무군락 그룹, 산벚나무군락 그룹, 기타군락 그룹으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하천변에 출현한 식물군락은 경목림과 연목림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를 통해 하천제방권 및 고수위권은 신갈나무, 소나무, 사시나무, 굴참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종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고, 고수부지권 및 저수위권은 버드나무속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될 목본에 따른 초본의 선택은 통계분석에서 같은 그룹에 속해있고,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종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Chuwangsan Area)

  • 박인협;문광선;류석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주왕산지역 금은광이-주왕계곡에 이르는 계곡부(해발 470~78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와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소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생강나무 둥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종다양도는 계곡상부와 사면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74.4~84.2%,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8.0~96.3%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사면하부의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사면중, 상부의 소나무-굴참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서 상록활엽수의 확산패턴 (Spreading Patter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Forest Community adjacent to the Camellia japonica Stands)

  • 정재민;정혜란;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89-94
    • /
    • 2011
  •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 대한 상록활엽수종의 치수발생량과 종자산포량을 분석하였다. 치수밀도와 비율의 경우, 동백나무림과 동백나무림 가장자리, 동백나무림내 해송아래, 편백림에서 발생하는 전체치수의 약 90%이상이 동백나무를 포함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 돈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는 동백나무림에서 200 m 정도 떨어진 해송림과 낙엽활엽수림에까지 밀도는 낮지만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시작되고 있었다. 흉고 직경급 분포에서 동백나무는 역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고 후박나무, 참식나무, 광나무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동백나무 종자는 동백나무림 주변 50 m 이내에 주로 산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Wood-Boring Beetles Inhabited by Pine Trees

  • Park, Yonghwan;Jang, Taewoong;Won, Daesung;Kim, Jongk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2019
  • Plants are consumed by a myriad of organisms that compete for resources. Direct interactions among multiple plant-feeding organisms in a single host can range for each species from positive to negative. Wood-boring beetle faces a number of biotic and abiotic constraints that interfere with the good prospects from the tree. Biotic factors, including arthropod pests and diseases, and abiotic factors, such as drought and water-logging, are the major constraints affecting the spec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forest health, identify the kinds of wood-boring beetle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Our second goal was to analy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regional communities and to examine. A total of 10,461 individual wood-boring beetles belonging to 8 families and 50 species attracted to trap trees in the pine forest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on study si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llected species show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n all study sites was similar. Seasonal occurrences of dominant wood-boring beetles (5 species) from each study sit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ll species, except for Siphalinus gigas in May, followed by a gradual decline, and the largest number of Siphalinus gigas appeared in June. The similarity index of species composi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0.75 to 0.90 for each study site.

인접(隣接) 임분(林分)의 종류(種類), 계층구조(階層構造) 및 식생단위(植生單位)에 따른 아까시나무의 이입(移入)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cia into Adjacent Forest Stand according to Forest Types, Stand Structures and Vegetation Units)

  • 윤충원;오승환;이영근;홍성천;김재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27-235
    • /
    • 2001
  • 아까시나무가 인접 임분의 종류와 계층구조 그리고 식생단위에 따른 이입 정도를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인접 임분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 방위로 아까시나무가 이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계층구조가 잘 발달된 임분에는 이입하기 어려우나 임분이 소개되었거나 아까시나무가 재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인접 임분 내에 빠르게 이입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아까시나무는 인접 임분의 식생단위에 관계없이 전 방위로 이입하고 있으나, 식생단위 간에 차이가 있었다. 갈참나무군락과 졸참나무군락 내에서는 아까시나무의 우점도가 +~2로서 낮게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및 상수리나무군락에서는 아까시나무의 우정도가 1~4로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군락 내의 3개 식생단위 중에서는 산박하소군(I-A-1)에서 아까시나무의 우점도가 + ~2로서 가장 낮게 출현하였다.

  • PDF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im.) 자생지의 서식환경 특성 및 식생구조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Acer tegmentosum Maxim.)

  • 손호준;김세창;이다현;권순재;박완근;김영설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69-80
    • /
    • 2016
  •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 자생지(화악산, 망대암산, 계방산, 고루포기봉, 가리왕산, 두위봉, 금대봉과 지리산)의 입지환경, 토양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을 통해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산겨릅나무 자생지는 해발 605~1,413m에 위치하고, 경사는 8~30°로 다양하며, 노암율은 8~50%로 나타났다. PC-ORD를 이용한 이단계 군집분석 결과 군집I(산겨릅나무-신갈나무 군집), 군집II(산겨릅나무-까치박달 군집), 군집III(신갈나무-피나무 군집) 등 3개의 식물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종다양성지수(H')는 군집 II가 1.4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군집 I이 1.417, 군집 III이 1.219로 확인되었다. 산겨릅나무 자생지의 토성은 점토의 비율이 높은 식양토이며, 토양 산도, 유기물함량, 유효인산은 각각 pH 4.8, 15.56%, 2.33ppm으로 확인되었다. 토양 특성과 군집, 표징종을 ordination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는 사면경사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피도, 유기물함량, 전질소, 칼슘, 마그네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요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O.M. - (T.N., K+, Mg2+, CEC, EC), T.N. - (K+, Mg2+, CEC, EC)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조재창;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4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하여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쇠물푸레군집, 소나무-쇠물푸레-참나무류군집, 소나무-활엽수혼효림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참싸리, 진달래$\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국수나무, 산초$\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군집간 차이가 없었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식물군집구조 특성 및 식생관리 계획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Forest at Hakdong, Kojedo,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한봉호;조현서;송광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5-360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천연기념물의 식물군집구조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DCA분석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46개 조사구는 동백나무군집, 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편백-동백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은 참식나무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될 것이며, 나머지 3개 군집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지의 식생관리는 천이억제형 식생관리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식생관리에서 제거해야 할 수종으로 단기적으로는 편백. 참식나무, 사스레피나무 3종이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나도밤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등 5종은 장기적인 관리대상 수종이었다.

  • PDF

가산일대(架山一帶)의 삼림식생(森林植生)과 식물상(植物相) -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석(分析) - (Forest Vegetation and Flora of Mt. Kasan - Phytosociological Analysis -)

  • 김원호;배관호;조현제;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1호
    • /
    • pp.42-55
    • /
    • 1990
  • 가산지역(架山地域)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 지역(地域)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산지림(山地林)(소나무-물오리나무군락(群落))과 고원분지림(高原盆地林)(병꽃나무-뱀고사리군락(群落))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2) 산지림(山地林)(I. 소나무-물오리나무군락(群落))은 I-A. 서어나무군(群), I-B. 고로쇠나무군(群)으로 구분(區分)되었고, I-A. 서어나무군(群)은 I-A-1. 쪽동백나무소군(小群), I-A-2. 비목나무소군(小群), I-A-3. 전형소군(典型小群), I-A-4. 산초나무소군(小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3) 고원분지림(高原盆地林)(II. 병꽃나무-뱀고사리군락(群落))은 II-A. 서어나무군(群), II-B. 까치박달-다래군(群), II-C. 전형군(典型群)으로 구분(區分)되었고, II-A. 서어나무군(群)은 II-A-1. 노린재나무소군(小群), II-A-2. 전형소군(典型小群), II-A-3. 고로쇠나무소군(小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소산식물상(所產植物相)은 105과(科), 350속(屬), 515종(種), 2아종(亞種), 12품종(品種), 87변종(變種)인 총(總) 616 종류(種類)가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