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busines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1초

산림경관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지자체 관리자 의식분석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 김재준;박찬우;강민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03-610
    • /
    • 2010
  • 본 연구는 산림경관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보존 형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현장에서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 관리자를 대상으로 산림경관에 대한 인식, 경관관리 현황, 경관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응답한 105명의 지자체 관리자들은 산림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경관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관관련 각종 정보 및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지속유지' 속성 4개, '노력 집중화 지향' 속성 4개, '낮은 우선순위' 속성 3개, '과잉노력 지양' 속성 4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향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목재산업에 있어 e-Business의 활용 (The Status of e-Business in Korea Forest Product Industries)

  • 김세빈;곽경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20-30
    • /
    • 2003
  • 본 연구는 목재산업의 e-비즈니스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목재산업의 e-비즈니스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국에 있어 목재산업의 e-비즈니스 활용실태는 고객과의 전자적 연계, 공급업체와의 전자적 연계 등 e-비즈니스 사업 환경은 낮은 실정이다. e-비즈니스의 활용 수준은 사내정보 인프라 구축단계로 아직은 도입단계에 걸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e-비즈니스 활용시 장애요인은 숙련된 인재 부족, e-비즈니스 사업모델의 불충분, e-비즈니스 운영기술/수단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재산업에 있어 지속적인 e-비즈니스 활용수준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1. 목재산업의 e-비즈니스 활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과 시장대응능력이 유지되는 사업모델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2. 목재산업의 e-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품 표준화 체계, DB구축, 전자 카타로그 제작등 협력업체간 정보 네트워크의 연계가 중요하고, 기업간 아웃소싱 및 타산업과의 제휴를 확대하여 목재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정량적인 자료의 활용에 있어서 다소 부족한 점이 있지만 광의의 목재산업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e-비즈니스 활용 추이를 전망 예측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 있어 원목생산자, 유통, 합판 보드류, 인테리어재, 악기 가구 등 업종별 e-비즈니스 활용수준을 계량화하고, 업종간 전자적 연계가 가능한 e-비즈니스 활용 모델의 구축과 평가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 시장 특성과 타 산업과의 연계성을 갖는 글로벌 e-비즈니스 활용 모델을 발굴하고, 소비자 의사를 반영한 e-비즈니스 마케팅기법의 모색이 요구된다.

  • PDF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 김재준;이혜린;이민하;강민지;박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27-333
    • /
    • 2011
  • 본 연구는 등산객의 건강과 관련된 동기요인과 산림환경이 갖는 유인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 간의 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봉산, 북한산, 관악산, 청계산을 찾은 등산객 440명에 대해 건강과 관련된 15개의 동기항목 및 11개의 유인항목을 설문조사한 결과, 등산동기요인으로 '질병치료 치유', '정신 사회적 건강', '신체적 건강' 등 3개 요인을, 등산유인요인으로는 '인문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환경' 등 3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요인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질병치료 치유요인과 신체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자연환경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신 사회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해중림 조성사업의 경제성 분석:제주 우도 서광리 어장을 중심으로 (Economic Analysis of the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 the Case of Jeju Woodo Seokwang-ri)

  • 강석규
    • 수산경영론집
    • /
    • 제42권1호
    • /
    • pp.37-55
    • /
    • 2011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effects of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in the case of Jeju Woodo Seokwang-ri.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will raise up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oastal fisheries resource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coastal ecosystem as a project the recovery of coastal fisheries resource against barren ground like whitening event. The economic effect by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income increase of fishermen but also in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come increase effect of fishermen has economic value of 26,945 thousand won under a 30-year cash flow based on a 8.5% discount rate. This suggests that the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increases income of fishermen. Second, the reduction effect of carbon dioxide has economic value of 1,083 thousand won per year. This indicates that the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reduces carbon dioxid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seaweed forest creation project has economic value in the case of Jeju Woodo Seokwang-ri.

지방도시 가로 녹지의 존재효과에 대한 보행자와 상업종사자의 의식 연구 - 충주시 가로수를 대상으로 - (The Recognition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and Pedestrian on the Existence Effect of Roadside Green Spaces in Local City - Chungju City to -)

  • 김범수;신원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9-169
    • /
    • 2007
  •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estrians and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recognition on management of street trees and green spaces along street sides. The followings we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Both pedestrians and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mostly perceived positive influence of street trees on urban environment and their business. In addition, pedestrians gave higher scores of positive influence of trees function than those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Pedestrians showed strong intention to participate management activities of street trees or green spaces. This study indicated that negative perception on street trees came from improper management rather than existence of street trees. Therefore, more intensive management actions are needed.

Default Prediction of Automobile Credit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 Chen, Ying;Zhang, Ruiru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75-88
    • /
    • 2021
  • Automobile credit business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and corresponding default phenomena occur frequently. Credit default will bring great losses to automobile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e successful prediction of automobile credit default is of great significance. Firstly, the missing values are deleted, then the random forest is used for feature selection, and then the sample data are randomly grouped. Finally, six prediction models of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and k-nearest neighbor (KNN), logistic, decision tre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re 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se six machine learning models can be used to predict the default of automobile credit. Among these six models, the accuracy of decision tree is 0.79, which is the highest, but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SVM is the best. And random grouping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odel operation to a certain extent, especially SVM.

산림융복합산업 경영체의 성장단계 구분 및 경영요소 분석 연구 (Classification of Growth Stages of Business Entities and Management Component Analysis in Forestry Convergence Industry)

  • 이보휘;박창원;정다워;이창준;이상진;김태임;박범진;구승모;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429-439
    • /
    • 2019
  • 본 연구는 산림분야 6차산업과 관련된 외연적 개념과 용어를 정립함으로써 산림비즈니스의 범위를 확대하고, 산림융복합경영체의 성장단계를 분류하여 각 성장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산림 6차산업과 관련된 용어를 '산림융복합산업'으로 일원화하였다. 또한 2012-2017년까지 전국에서 인증된 6차산업인증경영체 1,397개 중 단기임산물 지원 품목 7가지를 기준으로 약 18.5%인 259개의 '산림융복합경영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259개의 경영체를 매출액 범주에 따라 분류한 결과, 진입기(1억 미만)가 33.2%(86개), 발전기(1억 이상 10억 미만)가 54.4%(141개)로 대부분 발전기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립기(10억 이상)까지 성장한 경영체는 비교적 낮게(12.4%)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성장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수는 6차산업유형으로 종속변수는 지역, 경영체 유형, 운영자 연령대, 임산물 품목(1차), 가공유형(2차), 서비스유형(3차)으로 선정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공유형(2차)과 서비스유형(3차)이 모든 성장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가공유형은 다양한 상품개발과 생산이 가능한 분말, 엑기스 등과 같은 '건강기능성원소재'가 진입에서 자립단계로 갈수록 두드러지게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서비스유형(3차)은 성장할수록 단순체험에서 체험관광, 관광교육과 같은 융복합화로 변화되었고, 유통판매에 대한 중요성이 발전기부터 높게 나타나 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산림융복합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과 사업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지원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에 미치는 영향 인자 분석 : (II) 함양 지역 (Factors Affecting Acer mono Sap Exudation : (II) Hamyang Region in Korea)

  • 최원실;박미진;김호용;최인규;이학주;강하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49-358
    • /
    • 2010
  •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리산의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와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출수 조건을 얻는데 기여하고자, 출수량과 시험지의 기온 및 상대습도, 흉고직경 그리고 수액내 당 함량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흉고직경에 비례하는 출수량과의 상관성은 출수량이 많은 날에 높았고 출수 일수와 시기는 공시목 사이에 큰 차이점이 없었다. 출수량이 높았던 날들의 기온은 일평균기온 $1.2{\pm}1.6^{\circ}C$, 일최저기온 $-4.3{\pm}1.5^{\circ}C$ 그리고 일최고기온 $11.8{\pm}1.9^{\circ}C$로 나타났다. 수액 출수는 기온이 영하의 온도를 지속하거나 영상의 온도를 지속할 경우에는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기온과 출수량과의 상관 분석에서 일최고기온과 일평균기온이 유의적(p < 0.05)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액의 출수 기간 동안 자당의 농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 하였으나 출수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산림 경영주체별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이용실태 -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를 대상으로 - (Condition of Use on Management Support System of Private Forest by Forest Ownership Type - Focus on subjects of Sincere forest manager, Forest successor and Forest owner -)

  • 강진택;전준헌;이성연;전주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86-495
    • /
    • 2016
  • 본 연구는 산주들을 대상으로 사유림 지원제도 이용 실태를 조사하여 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독림가 57.8%, 임업후계자 47.6%인 반면 일반산주는 불과 17.6% 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경험도 인지도와 마찬가지로 독림가 79.2%, 임업후계자 58.6%인 반면 일반산주는 28.6%로 현저하게 낮은 비율을 보였다. 지원을 신청하기 못한 이유로는 '지원제도를 모름'에 대한 응답이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 각각 36.1%, 43.0%, 78.6%로 나타난 인지도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사유림 경영 지원에 대한 효과정도는 독림가와 임업후계자보다 일반산주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만족도 역시 독림가 28.5%, 임업후계자 36.8%, 일반산주 41.5%로 나타나 오히려 다소 지원횟수가 적은 일반산주에게서 경영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산주의 적극적인 산림경영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유림 지원제도의 인지도 개선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산림조합의 적극적인 홍보대책과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