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Kim, Jae-Jun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ark, Chan-Woo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ang, Min-Ji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v.99, no.4, 2010 , pp. 603-6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awareness of local officials and to give a proposal that can establish the meaningful directions for the forest landscape policy.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Total 232 questionnaires were launched and valid 10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se data analysis, we found out that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orest landscape was high and they thought forest landscape plan was needed. However supply of the information and data such as guidelines to improve forest landscape condition was not enough. Through the IPA method, we had 15 properties of forest landscape policy were settled. It show us what needs to be kept up the good work, what needs to be concentrated here, what the low priority are, or what the possible overkill are. We finally suggest that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above investigation.
Keywords
forest landscape management;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local officials' awar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경일. 2009. 병원의 서비스개선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IPA 적용. 병원경영학회지 14(2): 21-40.   과학기술학회마을
2 Tasmania Forest Practice Board. 2006. A Manual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p. 196.
3 U.S.D.A. Forest Service. 1995. Landscape Aesthetics - A Handbook for Scenery Management. pp 264.
4 Sheppard, S.R.J. and Picard, P. 2005. Visual Resource Management. pp. 230-271. In : Susan B. Watts, and Lynne Tolland, FORESTRY HANDBOOK for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British Columbia, CANADA.
5 静岡縣. 2006. 静岡縣森林景觀形成ガイドライン. pp.105.
6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2008. Recreation Manual: Chapter 11. Forest Landscape Management. http:// www.for.gov.bc.ca/hfp/publications/00201/CHAP11/chap11.htm (2010. 3. 3)
7 Guadagnolo, F. 1985.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n evaluation and marketing too.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3(2): 13-22.
8 이영경, 이병인. 2006.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연 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1): 1-13.   과학기술학회마을
9 한국관광공사. 2009. 2008 국민여행실태조사. pp. 256.
10 허 준. 김대수. 주신하. 김충식, 한명준. 2007. 산지훼손 유형에 따른 경관 선호의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5(4): 71-8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박종진, 김창수. 2008.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전시박람회 참가자의 중요도 성과분석(IPA). 관광연구저널 22(1): 101-119.
12 산림청. 2004. 생활환경보전림 조성관리 체계 연구. pp 153.
13 산림청. 2005. 친환경 산림휴양모델 방안 연구. pp 203.
14 산림청. 2009. 산림경관 관리 기본계획. pp 63.
15 산림청. 2006. 자연환경보전림 조성관리 체계연구. pp 96.
16 산림청a. 2008. 산림경관벨트 구축방안에 관한연구. pp 252.
17 산림청b. 2008.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도입연구. pp 195.
18 산림청.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06.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보고서. pp 256.
19 서응철, 심규원, 이주희. 2002. 탐방객특성에 따른 국립공원 시설물의 중요도/성취도연구-가야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1): 63-71.
20 송형섭, 김성일, 조응혁. 1992. 야외휴양을 위한 산림풍치의 (山林風致) 영향인자 구명. 한국임학회지 81(3): 287-298.
21 송형섭. 1999. 산림풍치자원관리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 시각선호도 평가. 한국임학회지 88(3): 309-319.
22 신원섭, 김재준, 김외정, 유리화, 이병두. 2003. 도시림이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1): 92-99.
23 안경모, 김주연. 2009. IPA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평가. 관광연구 24(5): 45-61.
24 이덕재. 2006. 조건부 로짓함수를 이용한 경관선호 모델-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6(6): 768-777.
25 이영경. 2003. 심리적.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2): 70-82.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이영경. 2006.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 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4(5): 1-13.   과학기술학회마을
27 김세천, 한윤희, 박경욱, 오현경. 2008. 자연휴양림 산림치유기능 활성화 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 1-8.
28 권태일, 노선희, 전성숙. 2009. IPA 및 중요도 실행도 불일치(Gap)모형을 이용한 관광목적지로서 동굴의 활성화 방안 도출. 관광연구저널 23(1): 35-48.
29 김상오. 2005. 등산로 관리상태에 대한 구간별 중요도- 성취도 분석결과 비교. 한국임학회지 94(6): 351-361.
30 김성겸, 김화룡. 2009. IPA를 이용한 수상레저스포츠 선택속성 평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297-308.
31 김철원, 윤혜진, 이태숙. 2007. 국유자연휴양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용객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1(4): 101-119.
32 김태진. 1998. 휴양림의 입지유형별 풍치시업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산림휴양연구 2(1): 46-64.
33 명재갑, 손종은, 송형섭. 1999. 산림풍치의 시각적 질 평가를 위한 평점분석방법 비교. 산림휴양연구 3(3): 46-55.
34 박경석, 이성연, 최수임, 문근영, 정세명, 안기완. 2009.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업무담당자의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8(4): 479-490.
35 박경호. 2009. IPA기법을 이용한 생태관광 매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4(2): 1-20.
36 박민우, 송형섭. 2003. 안면도 자연휴양림 경관관리를 위한 시각선호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2(4): 31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