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tuff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42초

한국산 다슬기(Semisulcospira spp.)의 흡충류 유미유충 감염실태 및 농약의 잔류성에 관한 조사연구 (Residual Chlorinated Hydrocarbon Pesticides in Semisulcospira spp. (Gastropoda: Pleuroceridae) Collected at the Endemic and Non-endemic Areas of Paragonimiasis in Korea)

  • 임승균;정인실;정평림;이근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5
    • /
    • 1986
  • One of the most medically important snail species of Korea is Semisulcospira spp., a member of the freshwater prosobranch family pleuroceridae. The parasites that these snails transmit to humans are mainly Paragonimus westermani and Metagonimus yokogawoi. On the other hand, Semisulcospira snails are edible as a foodstuff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first aimed to detect out residual pesticides in the snails collected at the endemic and non-endemic areas of paragonimiasis in Korea and to make relationship to the detectability of larval trematodes shed from the snails. In addition, water specimens from the habitats where the snails were collected were sampled and analysed to elucid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abitats. This malaco-ecological survey was done at 7 endemic and 3 non-endemic areas of paragonimiasis for about more than 2 years, May, 1984 through October, 1986. All the water smaples both from the endemic and non-endemic areas of paragonimiasis showed normal ranges of the criteria of upper freshwater streams, with lower B.O.D. (0.4~2.0 ppm) and higher D.O. values (9.5~11.0 ppm) than those in the large river systems Infection rate of digenetic trematodes in total snails collected was 6.7%, but no Paragonimus cercaria was detected out at all even in the endemic areas of paragonimiasis.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Paragonimus larvae in the snails were also discussed. A total of 9 chlorinated hydrocarbon pesticieds was targeted to detect out from the tissues of snails. Out of 9 pesticides, aldrin, beta-BHC, p, p-DDT, dieldrin, DDE, lindane, heptachlor and heptachlor epoxide were eluted from the snails. The highest levels of the pesticides were mostly detected out in the snails collected from the Donghae-Chun area of Haman and the Kangwha area of Kyongki-Do, where the lowest infection rates of trematode cercariae (0~0.5%) were revealed. The possibilities that the residual pesticides in the freshwater animals including Semisulcospira snails might be transferable to humans were also discussed.

  • PDF

미역첨가식이(添加食餌)에 관한 영양생리학적(營養生理學的) 연구(硏究) - 특(特)히 미역농도별(濃度別) 첨가식이(添加食餌)가 백서생육(白鼠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하여 - (Dietary Effect of Tangle-supplementation on the Albino Rats - Specially Nutritional Physiology of Various Levels of Tangle-addition Supplementation -)

  • 양일선;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7-13
    • /
    • 1975
  • In the classic point of view, it has well known that the tangle is the mineral source, especially iodid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that the tangle can be used the high-protein source. With the consideration whether the tangle can be used as a protein source as well as one of the foodstuff or not, this studies is done by animal experiment. The Albino rats to be examined were fed on the basal diet (Table 1) and the others including the polished tangle by weight 2%, 3%, 4% and 5%, as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respectively. The weight gain(Fig. 1), total amount of diet intake (Fig. 2), total water intake(Fig. 3), feed efficiency ratio (Fig. 4)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Fig. 5) was measured by each week, respectively. In addition, organ weight (Fig. 6) and blood study (Fig. 7, Fig. 8) was also analyz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wth rate, that is, weight gain, feed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weight gain, feed efficiency ratio, protein efficiency ratio by feeding on the 2 percent tangle group wa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of all experimental groups. However, feed intake and total water gain were the most by feeding on the 5% tangle group. This result may be interpreted to show that the total content of sodium includes more than enough in the feed intakes. To obtain further information concerning the effect of the tangle-dietary conditions on the growth rate of Albino rats, it was measured the organ weight. In the adrenal and spleen, the total weight by feeding o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more than that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other hand, in the liver the weight by feeding on the high concentration groups (4%, 5% tangle diets) were no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in the case of the low concentration groups (2%, 3% tangle die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n it was observed the blood components, total protein, hemoglobin, sodium, potassium, white blood cell and red blood cell of rats, the content of white blood cell by feeding o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that by feeding on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also clear that in the other components except white blood cell in blood the contents by feeding o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imilar to that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s. However, in the 5% tangle group, the content of sodium was the lowest of all experimental groups, where as the content of potassium was the highest of all experimental groups.

  • PDF

생태학적 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Treatment of High Organic Wastewater Using Ecological Water Treatment System)

  • 조재훈;김중곤;김준휘;윤성명;이정섭;김시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7-324
    • /
    • 2001
  •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3단계 메탄발효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식폐기물을 소화하고 배출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미생물막 반응조와 조류, 물벼룩을 이용한 생택학적 수처리 시스템으로 처리하였다. 미생물막 반응조에서 유출되는 폐수에 두 종의 조류를 처리하였을 때 Chlorella sp. 보다 Selenastrum capricornutum이 더 잘 성장하였고, 질소제거 효과도 높았다. 고농도의 $Mg^{2+}$$Ca^{2+}$을 주입하고 유출수의 질소와 인 농도 비율을 10 : 1이 되도록 인위적으로 인농도를 조절하였을 때에는 더욱 높은 질소 제거와 조류 성장을 나타내었다. 시험관에서 조류와 물벼룩 두 종의 개체 수 변화를 관찰했을 때, 초기 조류 개체수는 물벼룩 개체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다가 물벼룩의 개체수가 최대치에 이른 후 환경저항에 의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생태학적 수처리 시스템은 유기성 폐수내 질소 및 인 처리에 매우 효율적이며, 시스템내의 최종 섭식자인 물벼룩을 대량 사육함으로써 이를 어류의 사료로 쓸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누룽지 생산시설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Nuroong-ji)

  • 도윤호;최정식;정유경;박지현;노경환;김성수;최신영;이경윤;한의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40
    • /
    • 2010
  • 누룽지 제조시설에서 공중낙하균, 작업장 내 시설 및 환경, 제조 종사자, 제조기기 및 주변기구, 원재료,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조사하였다. 오염도는 취급하는 재료의 종류와 처리공간의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원재료를 비롯한 설비와 기구들의 오염은 심각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교차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람의 간섭도가 높은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나 개인위생관리가 중요하다. 누룽지의 제조 공정 중 굽기공정($120{\sim}170^{\circ}C$, 약 10여분)에 의해서 미생물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굽기공정을 표준화하고 이와 관련된 기구 및 시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중소규모 식품제조시설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관리를 위해서는 위생시설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종사자의 위생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택지개발지구 조경공사의 주민관여 분석 - 경기도 광교지구를 중심으로 - (Resident Involvement Analysis of New Tow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Gyeonggi GwangGyo District -)

  • 오정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는 조경공사의 주민관여방식과 내용을 분석하여 공사 주체와의 상호작용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의 광교택지개발지구 공공조경공사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준공 전후 약 4년간 입주자들의 조경 관련 의견이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사업시행처와 지자체로 접수된 412건의 민원에 대한 질적분석과 양적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견제기의 주목적은 '불만표출 및 개선요구'에 있었고, 그 대상은 '공원'과 '하천'이 많았다. 내용적으로는 '품질'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는데, 공종별로는 수목식재공사, 생태하천공사, 포장공사가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내용분석으로 핵심어를 추출한 결과, '고사목 처리'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추가 식재', '화장실 관리동 이전'의 순이었다. 고사목에 대한 많은 지적은 이식가능시기에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해 기다리는 과정에서 계속 눈에 띈 탓이 컸다. 셋째, 민원내용의 타당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중간값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기된 의견들은 무리한 요구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객관성을 가진 민원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엉 뿌리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ot of Arctium lappa L.)

  • 김미선;이예슬;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4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우엉 지하부의 혈전 관련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우엉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응고 저해 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in-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우엉 추출 수율은 10.94%로 다른 식용 및 약용식물보다 높았으며, ethanol 추출물의 경우 total polyphenol 함량은 5.01 mg/g으로 낮았으나, 694.53 mg/g의 높은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의 경우, n-hexane, ethylacetate(EA), n-butanol 분획 수율은 각각 1.62, 0.42 및 5.98%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85.38%였다. 우엉 시료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TT, PT, aPTT를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EA 분획에서 강력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물 잔류물에서는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활성화에 의한 aPTT 감소효과를 확인하여 혈전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우엉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EA 분획은 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스피린의 2배 이상의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물은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에 대해 우수한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엉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특이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들은, 우엉 EA 분획물이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단체급식소의 음용수, 식재료와 조리식품의 세균 오염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for Drinking Water, Foodstuff, and Cooked Food for Foodservice Operation)

  • 조선경;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78-483
    • /
    • 2012
  • 단체급식소가 식품안전에서 중요한 관리장소이므로 이들 메뉴 미생물 오염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441점의 접객용 음용수, 고오염 메뉴인 610점의 채소류와 조리식품 등 총 1,051점을 수집하여 총세균, 대장균군, 식중독 세균들의 오염을 분석하였다. 음용수의 25%는 2 log CFU/mL보다 높은 세균이 오염되어 있었고 대장균군은 약 20%시료에서 1 log CFU/g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식재료인 채소류의 경우 부추, 양파, 마늘 등에서 총균수 6 log CFU/g 이상인 비율이 약 40, 30, 80%로 나타났다. 당근, 상추, 근대 등에서 대장균군3 log CFU/g 이상이 60, 30, 30%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조리식품은 총세균과 대장균군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가열 식품인 무침류는 총세균 5 log CFU/g 이상의 시료가 40%, 대장균군수가 2 log CFU/g 이상의 시료가 26%로 미생물 오염도의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메뉴 유형인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식중독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B. cereus와 E. coli가 밥과 김치에서 분리되었고 B. cereus가 높은 비율로 밥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단체급식소 메뉴는 미생물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음용수, 근채류, 무침류 등은 효과적인 미생물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음용수의 경우는 세균 오염이 되지 않도록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염비브리오 항균활성을 위한 탱자와 매실의 추출조건 최적화 (Extraction Process Optimization of Poncirus trifoliata and Prunus mum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이영근;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0-646
    • /
    • 2006
  • 비브리오식중독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에서 V. parahaemolyticus균에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탱자와 매실의 최적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열수로 추출한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 조건은 $80{\sim}100^{\circ}C$에서 30분간, 매실의 경우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추출한 시험액의 저지환이 각각 14.8 및 16.6 mm로써, 최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aOH, $K_2CO_3$$NaHCO_3$의 알칼리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실험에서, NaOH를 첨가한 경우 탱자의 항균활성은 증진되지 않았으나 매실의 항균활성은 다소 증진되었으며, NaOH 이외 알칼리들은 공시 식물체들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NaOH의 첨가농도를 단계적으로 달리하고 80, 100 및 $120^{\circ}C$에서 추출한 결과, 탱자의 경우 앞서의 열수추출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하고 $120^{\circ}C$ 에서 추출한 조건에서 저지환 직경 19.9 mm의 최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탱자와 매실을 주정으로 진탕추출하고 주정을 제거하여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에 NaOH를 단계적으로 첨가하고 $100^{\circ}C$에서 30분간 물로 재추출한 결과, 주정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전반적으로 물추출한 결과보다 낮고 NaOH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의 감소를 나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추출조건은 $80{\sim}100^{\circ}C$의 열수로 30분간,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한 $120^{\circ}C$의 열수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황색포도상구균 분리배지 비교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Isolation Media for Staphylococcus aureus)

  • 오민희;강성일;홍상필;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6-611
    • /
    • 2009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에 사용되고 있는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및 Petrifilm에 대하여 성능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민감도는 30종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분리배지의 특징적인 콜로니를 형성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는데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Petrifilm>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아닌 균주를 이용하여 측정한 선택성은 4종 분리배지 모두 위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품에서의 회수실험은 4종 배지 모두 회수 효율이 비슷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수산건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추정되는 콜로니를 분리하여 4종 배지에서 위양성, 위음성 발현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 이외의 대부분 분리균주에서는 위양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S. carnosus ssp carnosus의 경우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와 Petrifilm에서 위양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에서는 위양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실험에 공시된 배지 중에서는 선택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학교급식 식재료 및 완제품 배송직원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n Evaluation of Food Delivery Worker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that Supply Food to School Foodservices)

  • 김윤화;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1호
    • /
    • pp.74-81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의 위생관리 실태와 구매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 납품업체 38곳의 배송직원 20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수준,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30~39세가 41.3%, 배송경력 1~3년이 30.8%로 가장 많았고, 61.7%가 1~2회/년 위생교육을 받고 있었다. 새벽배송 학교 수는 응답자의 52.7%가 2개교로 가장 많았다. 위생지식은 3.75/7.00점으로 낮게 평가되었고, 작업장 위생관리에 대한 지식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위생 항목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자기차량으로 운행하는 직원의 위생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58/5.00점으로 높았으며, 검수관련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고, 배송차량 관리 영역 점수가 가장 낮았다. 육류 및 수산물 배송직원과 위생교육을 받는 직원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았다. 학교급식 식재료를 공급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납품시간이었고 두 번째는 식재료 (완제품)의 온도관리였다. 따라서 영양 (교)사와 유통업체에서는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적인 식재료 (완제품) 관리를 위하여 배송직원을 대상으로 한 철저한 위생교육과 관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