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tandards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34초

Development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the Determina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in Food Supplemental Oil Products

  • Ahn, Seonghee;Yim, Yoon-Hyung;Kim, Byungjoo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4권4호
    • /
    • pp.75-78
    • /
    • 2013
  •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GC/MS) method was developed as a candidate reference method for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linoleic acid, ${\alpha}$- and ${\gamma}$-linolenic acids) in food supplemental oil products. Samples were spiked with three internal standards (stearic acid-$d_{35}$, $^{13}C_{18}$-linoleic acid, and $^{13}C_{18}$-${\alpha}$-linolenic acid). Samples were then subject to saponification, derivatization for methylation, and extraction by organic solvent. For GC/MS measurement, an Agilent HP-88 column, designed for the s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was selected after comparing with other columns as it provided better separation for target analytes. Target analytes and internal standards were detected by selected ion monitoring of molecular ions of their methyl ester forms. The GC/MS method was applied for the measurement of three botanical oils in NIST SRM 3274 (borage oil, evening primrose oil, and flax oil), and measurement results agreed with the certified values. Measurement results for target analytes which have corresponding isotope-labeled analogues as internal standard were calculated based on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IDMS) approach, and compared with results calculated by using the other two internal standards. Results from the IDMS approach and the typical internal standard approach were in good agreement within their measurement uncertainties. It proves that the developed GC/MS method can provide similar metrological quality with IDMS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fatty acids in natural oil samples if a proper fatty acid is used as an internal standard.

서울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HACCP 시스템 CCP 관리기준 수행실태 및 위생·안전점검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CCP 1과 CCP 2를 중심으로 - (A Research Study on Seoul Region School Nutritionists' Perception of HACCP System, CCP Control Standards & Performance Conditions and Sanitation & Safety Inspection - Focusing on CCP 1 & CCP 2 -)

  • 김경미;이애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7-457
    • /
    • 2014
  • A research was conducted on Seoul region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nutritionists to study about their perception of HACCP control standards & performance conditions and sanitation & safety inspection, to seek for more efficient methods of school meals' sanitation system settlement. All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via email. A total of 305 survey papers were collected, and out of these, 300 school results were analyzed. As for CCP 1 performance conditions, 43.3% of the nutritionist put emphasis on temperature control for cooking duration and 71.0% said that they manage both temperature and PHF food control. In CCP 2 stage, 65.8% of the nutritionists maintained the food's temperature, and 56.7% documented the recordings after cooking. A total of 79.3% of the schools scored above 90 points on school meal sanitation & safety inspection, 3.72 points on necessity for revisions, 3.38 points on objectivity, and 3.34 points on reliability. As for these results, a clear CCP control criteria as well as training must be set. Also, because the necessity of revision for sanitation & safety inspection is higher than reliability and objectivity, appropriate complementary measures must be taken.

우리나라 영.유아용 조제식의 식품첨가물과 오염물질 기준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Amendment of Standard Regulation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for Infant Formulas in Korea)

  • 문지혜;이헌옥;심재영;김인혜;신혜승;원선임;백민경;신형수;엄애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214-12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영 유아용 조제식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영 유아의 성장 및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우리나라,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의 영 유아용 조제식내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영 유아용 조제식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영 유아용 조제식내 식품첨가물 기준은 영양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영양 강화제와 식품에 첨가물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영양 강화제의 경우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에서는 영양소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영양 강화제의 명칭을 종합적으로 나열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영양 강화제에 대하여 영양소별로 구분하여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첨가물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의 경우 국내에서는 허용량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허용 식품첨가물의 명칭 및 최대 허용량을 제시하여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고려하도록 한다. 오염물질기준의 경우 국내에서는 일부 위해 미생물(E. sakazakii, B. cereus)과 방사선 조사처리 기준만 설정되어 있으나, CODEX 및 EU는 농약 기준을, 호주 및 뉴질랜드는 위해 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과 중금속 중 납과 알루미늄의 최대 허용량에 대한 허용기준을 추가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영 유아용 조제식의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토대로 위해 미생물, 농약 및 기타 오염물질 기준을 정량적으로 추가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동물용 의료기기 기준규격에 대한 고찰 (Review of regulatory management 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 강경묵;김태원;권오륜;박혜정;조수민;김충현;이명헌;문진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71-78
    • /
    • 2017
  • Well-establishe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medical devices not only provide clarity and consistency in licensing processes but also secure device safety and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regulator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in Korea based on data obtained through analyses of those medical devices. General standards for electromechanical, electromagnetic, and biological safety and individual standards for 76 electric and 70 general medical device products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owever, the first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were established in March 2000 for two products (disposable needle and syringe). Similar to the large number of standards for medical devices, there have been general standards for safety and individual standards for 72 veterinary medical devices (27 electric medical devices, 12 non-electric medical devices, 10 medical supplies, and 23 other types) established since 2014. These new standards considered, among other aspects, the devices' applications, usage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environment. To date,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veterinary medical devices remains limited.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the regulation of general and individual standards associated with various veterinary medical instruments, supplies, and in vitro diagnostic medical reagents.

음식물류폐기물 공공 자원화시설의 운영실태 조사를 통한 처리공정별 효율적인 운영방안 검토 (Investigation on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public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suggestions on their efficient operational management)

  • 장윤혁;박준석;김정대;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1호
    • /
    • pp.47-56
    • /
    • 2010
  • 현재 전국에는 255개의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시설이 공공시설(95개소) 및 민간시설(160개소)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97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지침과 설치검사기준 등을 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시설 설치 절차에 따른 세부적인 검토사항, 설계, 공정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아 운영관리 체계 미흡, 처리효율 저하, 시설 하자 등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설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음식물 공공자원화시설 95개소를 대상으로 설문 및 현장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처리시설에서는 2계열 및 호퍼덮개 미설치, 음식물 과적 및 이송 물량 과다, 주처리시설은 운전미숙으로 인한 2차 환경오염발생, 과다 음식물투입으로 시설효율 저하, 시설운영상 부적합한 운전관리 기준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악취 및 음폐수(음식물류폐기물 처리과정 중 발생 폐수) 처리시설에서는 운영미숙, 주기적인 점검 부족, 처리시설 용량 부적절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조사되어진 문제점을 근거로 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시설을 설치 및 운영하는데 있어 처리효율 제고, 시행착오 및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차 및 식품 품질경영시스템 지침 (Guidelines for Automotive and Food Quality Management System)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355-362
    • /
    • 2006
  • This paper is to introduce guidelines for automotive and food quality management system.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TS 16949 and ISO 15161 are considered. This study is to discuss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 of ISO 9001 : 2000 for automotive production and relevant service part organization , and guidelines on the application of ISO 9001 : 2000 for the food and drink industry.

  • PDF

유기농 우유 생산과 소비 전망 (Organic Milk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ospects in Korea)

  • 금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47-54
    • /
    • 2006
  • Consumers have become increasingly more aware of food safety issues, as a consequence of s number of food scandals. Most of these scandals have been related to livestock products. However, most consumers still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safe food at low prices, while a small group of consumers is willing to pay a price surplus for special quality. Organic standards, especially for livestock products, have very few definitions of process quality, and even fewer of these definitions that influence product quality. This paper work to organic milk production and marketing trends in Korea.

  • PDF

Polyamide 조리기구로부터 Ethylenediamine 및 Hexamethylenediamine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gration of Ethylenediamine and Hexamethylenediamine from Polyamide Utensils)

  • 엄미옥;곽인신;윤예정;전대훈;최현철;김형일;성준현;박나영;김소희;이영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2
    • /
    • 2010
  • 식품유사용매 중 EDA 및 HMDA 분석법을 확립하고, 국내유통 재질 조리기구 124건에 대하여 식품유사용매별 이행량을 조사하였다. EDA 및 HMDA를 ethyl chloroformate로 디우레탄 유도체화한 후 GC/FID로 정량 또는 GC/MS로 확인하였다. 확립된 분석방법은 EDA 및 HMDA 각각에 대하여 LOD $0.3\;{\mu}g/mL$$0.1\;{\mu}g/mL$이었으며, 상판계수($r^2$) 0.999이상의 직선성 및 식품유사용매별로 88% 이상의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립된 정량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식품유사용매별 이행량을 조사한 결과, EDA는 식품유사용매로 물을 사용한 경우 2품목에서만 각각 $1.31\;{\mu}g/mL$$2.06\;{\mu}g/mL$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불검출이었다. HMDA는 식품유사용매로 20%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 3 품목에서 $0.27{\sim}0.93\;{\mu}g/mL$, n-헵탄을 사용한 경우 10 품목에서 $0.26{\sim}0.44\;{\mu}g/mL$으로 검출되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불검출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이행량은 유럽연합의 EDA 및 HMDA 각각의 이행기준인 $12\;{\mu}g/mL$$2.4\;{\mu}g/mL$과 비교 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 최미희;윤수진;안영순;서갑종;박기환;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55-1564
    • /
    • 2010
  • 본 연구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소비자 120명의 인터뷰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조사결과,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은 응답자의 58.3%가 식품구매 시 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60.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소비자들이 식품을 구입할 때 식품의 안전성 여부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소비자의 60.0%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표시된 용어가 잘 이해되지 않음(30.6%), 표시된 내용이 충분하지 않음(25.8%) 등이 있었고, 식품표시 항목 중 가장 불만족하는 항목으로는 '식품첨가물 및 원재료 함량 표시(45.5%)' 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조연월일 및 유통기한 표시(20.8%)' 순이었다. 세부표시기준에 대한 이해도 및 선호도 조사에서 소비자들의 53.1%가 제조연월일과 유통기한이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았으며(53.1%), 유통기한 표시로는 소비기한(소비자가 섭취 가능한 기한)에 대한 선호도(47.5%)가 가장 높았다.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에 대한 만족도는 43.3%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눈에 띄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고(37.5%) 표시에 제공되는 정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33.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90.0%가 방사선조사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 식품의 표시제가 강화되는 만큼 방사선조사에 대한 인식도와 수용도 제고를 위한 소비자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