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reservative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8초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

  • 김희연;이영자;홍기형;하상철;안명수;조재선;김길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67-774
    • /
    • 1998
  • 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에 의한 분석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중 버터, 치즈 및 간장 등 총 16종 456품목을 대상으로 데히드로초산, 안식향산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를 분석한 결과 데히드로초산의 경우 버터 및 치즈의 2종 47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마아가린은 $ND{\sim}290.0{\;}mg/kg$으로 평균 208.4 mg/kg이 검출되었다. 안식향산의 경우 과실·채소류음료, 탄산음료류, 혼합음료 및 마아가린의 4종 159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 인삼음료는 $ND{\sim}344.9{\;}mg/kg$으로 평균 341.6 mg/kg, 홍삼음료는 $ND{\sim}400.0{\;}mg/kg$으로 평균 399.3 mg/kg, 간장은 $ND{\sim}364.2{\;}mg/kg$으로 평균 277.4 mg/kg, 알로에 겔은 $ND{\sim}219.1{\;}mg/kg$으로 평균 142.2 mg/kg이 검출되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경우 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 혼합음료, 인삼음료, 홍삼음료, 소스류, 과실·채소(표피부분), 과실·채소류음료(비가열과실·채소류즙제외) 및 식초의 7종 261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 간장은 $ND{\sim}93.9{\;}mg/kg$으로 평균 54.6 mg/kg, 과실주, 약주 및 탁주는 $ND{\sim}23.0{\;}mg/kg$으로 평균 20.7 mg/kg이 검출되었다. 데히드로초산의 경우 일일추정섭취량(EDI) 1.56 mg으로 이론적 최대 일일섭취량(TMDI) 3.90 ㎎과 비교시 약 40%정도의 수준이며, 안식향산의 경우 EDI 2.25 mg으로 TMDI 15.36 mg, FAO/WHO에서 평가된 안식향산의 ADI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또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경우 EDI 0.44 mg으로 TMDI 2.06 mg, FAO/WHO에서 평가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ADI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국민영양조사 결과보고서의 식품별 1인 1일당 섭취량(지역별)을 근거로 하여 조사대상 보존료인 데히드로초산, 안식향산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에 대한 한국인 일일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섭취허용량(ADI) 1% 미만으로서 식이를 통한 조사대상 보존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평가되었다.

  • PDF

Chitosan과 다른 보존제 첨가에 따른 김치의 저장성 향상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with and without Other Preserva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손유미;김광옥;전동원;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88-896
    • /
    • 1996
  • 보존제의 종류와 chitosan의 첨가방법이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hitnsan, acetic acid, Na-benzoate를 단독 또는 병용하거나, chitosan을 acetic acid에 용해시켜 배추김치 첨가하여 10^{\circ}C$에서 12일간 발효시키면서 김치의 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보존제 첨가군들은 대조군보다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환원당 함량의 감소가 대조군보다 느리게 일어났다. 보존제 첨가군들은 발효가 지속되면서 증가하는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보존제 병용군 중 특히 chitosan을 산에 용해시킨 CH-B와 chitosan과 Na-benzoate를 병용한 CHS에서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 Leuconostoc속 미생물 수, L. plantarum의 수는 CH-B, CHS, CH-C, AA, SB, CH-A순으로 적었다. 따라서 보존제가 병용되고, 병용된 보존제가 산일 경우에는 chitosan이 산에 용해되어 더 큰 항균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보존제 첨가군들은 발효후기까지 바람직한 김치의 관능적 특성을 유지했는데 보존제가 병용된 군들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CHS가 CH-B와 CH-C보다 낮은 신맛과 군덕내를 나타냈다. 앞으로 김치 본래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의 생육을 적절히 조절하는 보존제의 종류, 혼합사용 및 첨가수준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분석 (An analysis of benzoic acid, methyl paraben and butyl paraben in soy sauce using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 안성희
    • 분석과학
    • /
    • 제31권6호
    • /
    • pp.225-231
    • /
    • 2018
  •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은 식품, 의약품뿐 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보존료이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들의 여러 가지 독성이 보고되면서,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들에서 식품 중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세가지 분석물질의 동위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하는 동위원소 희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ID-LC/MS)을 개발하였다. 메틸, 부틸 파라벤보다 pKa가 낮은 안식향산을 고려하여 acetic acid로 pH 4.0으로 조정한 5 mM ammonium acetate를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C18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질량분석 조건으로는 전기분무이온화법으로 음이온을 생성하여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으며, 방해물질로부터 선택성을 향상하기 위해 선택반응분석법 (Selected React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의 색깔과 간장 중의 여러 가지 방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최적화된 조건과 방법을 이용하여 싱가포르 Health Science Authority(HSA)가 제공하는 간장 기준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값은 HSA가 제공하는 기준값과 불확도 내에서 일치하였다.

오미자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균효과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 이주연;민용규;김희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89-394
    • /
    • 2001
  •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methanol 조추출물의 용매분획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을 나타낸 methanol 조추출물은 다시 여러 가지 용매로 순차적으로 분배하여 n-hexan층, dichloromethane층, ethyl acetate층, buthanol층과 water층을 얻은 다음, 이들 분배층에 대해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층은 감압증류한 후, 여러 가지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한 다음, MS, $^1H-NMR,\;^{13}C-NMR,\;$, DEPT 및 2D NMR등을 이용하여 항균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의 약리기능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인 lignan계통의 화합물인 gomisin C로 추정되는 compound를 분리하였고, 다른 하나는 오미자의 정유성분인 trimethylcitrate로 동정하였다. 또한 오미자추출물의 균증식도와 분쇄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식품보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에 의해 문제시되는 식품에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가공조건에 따른 marta rosemary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arta Rosemary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 최혜련;손선영;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0-54
    • /
    • 2005
  • 천연식품보존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marta rosemary의 항균활성을 조건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균주에 따른 에탄올 추출 marta rosemary의 항균성은 S. typhimurium과 B. subtilis에 대하여 높았다. 용매별 항균성은 극성이 작은 butanol과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고. 수용액에서의 항균 활성은 pH 7에서 가장 높았다. 허브의 미생물의 생육억제 양상은 B. subtilis에 대하여 저 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형, 고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 및 비증 식속도 억제형이었으며 S. typhimurium은 농도에 관계없이 비 증식속도 억제형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낮은 pH 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항균물질의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가열시간이 길수록 허브의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121^{\circ}C$에서 15분간의 열처리로 인한 허브의 항균력은 B. subtilis보다 S. typhimurium에서 높게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와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 및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Post-Irradaition Treatment of Preservatives on the Cut Flower Longevity of Rose and Mum.)

  • 박인환;정연승;이월순;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86-291
    • /
    • 1999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시기, 강도 및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장미와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절화장미의 경우 감마선 조사 강도가 0.5 KGy 까지는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 보다 강한 조사구에서는 절화장미의 품질이 매우 악화되었으며, 조사 후 설탕용액에 침지한 것은 0.75 KGy 처리구까지 절화의 품질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조사 후 절화보존제 침지 처리의 효과 실험에서는 2% sucrose, 0.2% silver nitrate, 1.0% Crysal 처리구에서 각각 선도 유지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었으나, silver nitrate 처리구에서는 절화기부의 갈변부패가 매우 심한 것에서 절화수명의 연장에는 별 효과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절화국화의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 강도가 강해질수록 관산가치가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2.0KGy의 강도로 조사한 감마선 처리구에서는 증류수 및 HQS에 침지한 절화를 제외하고 다른 절화 보존제 처리구에서는 절화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절화 보존제의 처리효과 중에 설탕용액의 침지 효과가 제일 우수하였는데, 감마선 무조사구에서 절화가 완전히 시들 때까지도 어느 정도 꽃을 관상 할 수 있을 정도로 절화수명은 유지되었다.

  • PDF

향기성분이 있는 식품의 보존료 분석 (Analysis of Preservatives in Flavor-Containing Foods)

  • 김진호;김현위;차익수;이윤경;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33-1037
    • /
    • 1996
  • 향기성분이 있는 카레, 토마토케첩에 대해 시료에서 유래되는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존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시료를 수증기 증류한 다음 에테르로 추출하고 capillary column을 이용하여 GC로 분석하였다. 카레에서는 안식향산과 데히드로초산이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았으며 토마토케첩에서는 보존료검출에 영향을 주는 향기성분이 없었다. 보존료를 분석할 때 향기성분을 크로마토그램에서 제거하기 위해 시료를 Sep-Pak $C_{18}$로 처리후 HPLC로 분석한 경우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는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때 회수율은 GC로 분석한 경우보다 높았다. 카레의 경우 소르빈산, 안식향산, 살리실산이 각각 79.9%, 71.2%, 64.4%이고, 토마토케첩의 경우 각각 83.4%, 87.8%, 77.7%였다. 따라서 시료에서 유래하는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회수율이 높으며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HPLC를 이용한 보존료 분석이 향기성분이 있는 카레와 토마토케첩의 보존료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향신료에서 유래되는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Benzoic Acid, Sorb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Spices)

  • 윤상순;이상진;임도연;임호수;이근영;김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1-3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향신료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고, 프로피온산 함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추출 후원심분리 후 농축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향신료 493건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은 각각 165건, 88건, 398건에서 검출되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391.99 mg/L, 불검출-57.70 mg/L, 불검출-188.21 mg/L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계피(167.15 mg/L), 바질잎(22.79 mg/L), 백후추(51.48 mg/L)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향신료를 대상으로 낮은 함량의 천연유래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결과는 향신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마찰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매실농축액의 항균성 검색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aesil(Prunus mume) Extract)

  • 최무영;원향례;박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66
    • /
    • 2004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옛날부터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매실을 대상으로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은 시험균주에 대해 대체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소저해농도는 대부분의 시험균주에 대해 0.1 - 0.95mg/ml 측정되었다. 이와같이 매실농축액의 열 및 pH 변화에 따른 항균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매실농축액의 항균활성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또한, 매실농축액의 미생물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증식배지에 0, 50, 100 및 250ppm의 메실농축액을 첨가하여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50pm 이상의 매실농축액 첨가 시 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는 높은 항균효과를 지닌 매실농축액이 앞으로 천연보존료로써 개발 이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계피추출물의 부패미생물에 대한 항균특성과 식품보존효과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Against Spoilage Microorganisms and Food Preservative Effect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 정은탁;박미연;이은우;박욱연;장동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48-653
    • /
    • 1998
  • 1. 포장 또는 비포장의 부패된 어육연제품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대부분(약 98%)은 Bacillus속을 비롯한 세균류였다. 특히 비포장어묵제품에서는 곰팡이도 약 0.1%검출되었다. 이들 부패미생물에 대한 계피추출물의 최저증식억제농도는 세균과 곰팡이에 대하여 각각 160~640$\mu\textrm{g}$/$m\ell$과 40~80$\mu\textrm{g}$/$m\ell$으로 나타났다. 2. 흰살어묵의 원료 배합시 계피추출물을 0.5% 첨가하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25^{\circ}C$에서 보존기간이 2일 연장되었다. 또한, 계피추출물과 ethanol을 1 : 3으로 혼합한 액을 튀김어묵표면에 분무한 것은 ethanol만 분무한 대조구에 비하여 곰팡이 발육이 2일간 지연되었다. 3. 샌드위치와 찹쌀떡의 표면에 계피추출물과 ethanol을 1 : 1 비율로 혼합한 액을 분무하여 $25^{\circ}C$에서 저장하면 곰팡이 발육이 대조구에 비하여 보존기간이 각각 5일과 7일정도 연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