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label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8초

Advances in the Preparation of Soy Protein and Lecithin Ingredients for Tomorrow's Foods

  • Beery, Kenneth E.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제29차 춘계국제 학술발표대회
    • /
    • pp.29-38
    • /
    • 2002
  • Today's food technologist is receiving increasingly pointed directions in the “selection of”and often “minimum amounts of”ingredients to use in the development of new food products. This increasing emphasis by marketing on “label”claims is real and gaining momentum in most market places. Thu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at are providing customers with new and distinct nutritional choices. The driving force for the increased direction of the food technologist is that many governments are now allowing health related label claims on food products. These health claims are a result of very clearly and focused research that shows known nutritional benefits. The regulatory environment is well focused on the results of this peer reviewed research. In the USA, FDA has allowed several opportunities for health claims including fiber, soy protein and choline.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only two of many functional ingredient options-the soy proteins and lecithin(choline).

  • PDF

영양표시에 대한 주부소비자의 인지, 이용, 요구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 장순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7호
    • /
    • pp.763-773
    • /
    • 2000
  • On the basis of the concept retained in nutition label(NL) the consumer's perception use and demand on NL nutrition knowledge(NH) purchase of nutrient controlled food and dietary modification for health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1203 house wives mainly in the age of 30-40 an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s' demand on nutrition information was greater while the availablity and usefulness of NL was unsatisfactory. The purchase frequencies of nutrient controlled foods were higher compared to NL reading. The use comprehenison reliability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better in high NK group compared to low NK group except the reliability on health claims. The required nutrients for content information were in the order of calorie Ca cholesterol Fe protein and total fat. The demand for nutrient content information was carrelated with intention of subjects' dietary modification but not the use of N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L be a good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consumers' demand for NL was based on their dietary purpose though the use of NL was unconfirmed.

  • PDF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표시 교육의 효과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희정;이정숙;김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children. The students of three randomly selected sixth-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were classified into a control group, an indirect (written message to parents) education group, and a direct (teaching children) education group. Nutrition label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latter two groups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or i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control group and indirect education group. Improvements in test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s were observed only in the direct educ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indirect and direct education groups, such as selecting snacks (cookies) by considering the fat content. Moreover, after the lessons,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chose white milk (regular milk, calcium-enriched milk, and low-fat milk)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irect education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conducting nutrition label education helps children improve their nutrition knowledge and leads to positive changes in dietary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In particular, a direct nutrition educa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an indirect method such as a written message to par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ystematic and constant 'nutrition label education' be performed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 establish 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 choosing nutritious snacks and processed foods.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위험인지 및 구매의사여부 영향요인 분석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Decision-making to Purchase GMO Food)

  • 허경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4호
    • /
    • pp.69-77
    • /
    • 200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factors influence consumers' demands to reveal the identity of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food, risk perception, and decision-making to purchase it. Consumers perceived its risk, and demanded labeling to identify it. Not many consumers wanted to buy GMO food. The results also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mand to label for identifying GMO food were high among female consumers, consumers with negative attitude, and consumers severly perceived its risk. The level of perceived risk was high among consumers who were old and had high income, exercised their own healthy programs, showed negative attitude toward GMO food, and demanded strongly for labelling. Second, old consumers, consumers with high income, consumers concerning more about health, consumers with negative attitude and strong demand to label for identifying GMO food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risk highly for GMO food. Third, consumers' attitudes and the level of perceived risks for GMO foo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cision-making to purchase GMO food. However, other variables turned out not to affect consumers' decision-making to purchase it.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 및 이해도 향상을 위한 표시제도 연구 (A Study on Labeling Regulation for Reliability and Understanding Improv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 강은진;김지연;권오란;김명철;김건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1
    • /
    • 2008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비자가 쉽게 건강기능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모를 통하여 인증마크를 개발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등 2000명으로 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의 필요도가 매우 높았고, 텍스트 형태보다 텍스트/그래픽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 기능정보의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인체에 작용하는 기전을 포함한 영양 기능정보가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고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조수희;유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9-53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Kunsan, and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eneral nutrition knowledge is relatively low, with an average of 0.57. It was shown that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kipped breakfast rather than lunch or dinner, with a skipping rate of 28.9% for breakfast, 0.7% for lunch, and 8.6% for dinner. Regarding snacks, 35.5% of all the surveyed students had 1 snack per day, with 31.9% having them between lunch and dinner. The most popular snacks include biscuits (22.3%), noodles (18.3%) and bakery (13.3%). The most popular response was that students 'sometimes checked' the food label of processed domestic and imported processed foo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ood labels is moderate, with an average of 2.96, out of 5. The most satisfactory title about food labels was 'helpful for food selection' with 3.19.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atisfactory title was 'understands the label' with 2.78.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nutrition labeling, the highest response was 'sometimes watched, sometimes not' with 40.5%. Products which were most often checked were milk/milk products (3.44), snacks/bread (3.33), and soft drinks (3.07). Among nutrition labeling items, total calories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at, carbohydrate, cholesterol and calcium. The question regarding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rated an average of 0.58 (out of 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dietary attitude score, along with the nutrition labeling knowledge and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knowledge on nutrition label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ence, it is of the opinion that education on properly reading nutrient information is necessary to enable adolescents to apply that in real life. Furthermore, labeling nutritional information on processed fred through a more comprehensive method is deemed necessary as a supporting measure.

국가별 행정체계 특성을 반영한 인공지능 활용 해외 주소데이터 품질검증 기법 (Overseas Address Data Quality Verification Techniqu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System)

  • 김진실;이경희;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
    • /
    • 2022
  • 글로벌 시대에 들어서면서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해외 식품업체 주소정보는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핵심 정보로써 식품위해 발생시 신속한 대처와 사후관리를 위해 반드시 검증되어야 한다. 그러나 각국의 주소체계가 다른 관계로 하나의 검증시스템이 모든 국가의 주소를 검증할 수는 없다. 또한, 주소검증은 사용하는 분야에 따라 검정목적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해외 식품업체 주소로부터 해당 국가의 행정구역 레벨로 분류하는 문제를 다룬다.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수입식품제조업체 주소를 해당 국가의 행정구역 수준으로 정확하게 매칭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입식품이 생산·제조되는 위치와 식품제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정보, 재난재해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선제적 수입식품 안전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주소를 표기할 때 행정구역 레벨명을 생략하여 작성하고 있으며, 동일한 지명이 여러 행정구역 레벨에서 중복되는 경우가 있어 주소로부터 행정구역 레벨을 정확히 분류하는 일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적합한 딥러닝 기반 행정구역 레벨 분류 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해외 식품회사 주소 데이터에 대하여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다중 레이블 분류 모델에서 멱집합(Label Powerset)을 이용해 훈련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제안된 기법의 검증을 위해 식약처에 등록된 에콰도르 및 베트남에 있는 해외 제조업소 주소에 대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기존의 분류 모델보다 정확도가 각각 28.1% 및 13% 정도 향상되었다.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과 식행동 요인과의 관계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 이혜영;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839-8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의 특성을 파악하고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서울 및 6대광역시 (서울 45.4%, 부산 14.0%, 대구 9.8%, 인천 11.8%, 광주 7.0%, 대전 6.9%, 울산 5.0%)의 20${\sim}$60세 성인 여성 2,0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표시에 대한 행동변화단계는 고려전단계 5.9%, 고려단계 35.9%, 준비단계 26.6%, 실행단계 19.0%, 유지단계 12.6%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실행 유지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31.6% (654명)였고 영양표시 비사용군은 고려전 고려 준비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68.4% (1,419명)였다. 2) 소득이 150만원 미만 또는 150${\sim}$300만원 미만, 고졸 이하의 경우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중반 연령 (30${\sim}$49세), 1주 1회 이상 운동자, 식이보조제 사용자의 경우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결혼, 임신 수유, 자녀, 흡연 유무에 따라서는 영양표시 사용군과 비사용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스스로 질병을 자각하는 비율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체중군은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품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 (42.5%) > 영양 (23.6%) > 가격 (21.1%) > 편이성 (9.6%) > 분위기 (3.2%) 순이었고, 영양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3)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에 비해 과잉섭취우려 성분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았고, 비타민 C, 칼슘 같은 권장섭취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은 차이가 없었다.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인식도는 평균 4.2 ${\pm}$ 0.8로서 모든 항목에서 높은 편이었고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약간 높았다. 4) 식사의 질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3.2 ${\pm}$ 0.8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보다 과일류, 채소류, 유류, 고기 육류 콩류, 다양한 식사섭취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와 콜레스테롤, 열량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5) 전체적으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식사의 질이 2배 높았다 (OR: 2.01, CI: 1.66${\sim}$2.44) (P < 0.001).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은 저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식사의 질이 2.5배로 좋았으며 (OR: 0.39, 0.36${\sim}$0.69) (P < 0.001). 고소득인데 영양표시를 사 용하지 않는 사람의 식사의 질은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의 1/2수준으로 낮았고 (OR: 0.56, 95% CI:0.43${\sim}$0.73), 저소득의 영양표시 사용자보다도 식사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같은 과잉섭취우려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고,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인식이 더 높으며 식사의 질이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소비자가 영양표시를 이해하고 식사에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교육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식사의 질에 미치는 영양표시 사용의 다양한 특성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어떤 영양표시정보가 식생활개선과 관련이 있는가 등에 대한 연구 및 영양표시와 식행동 간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생활진단표 등 조사방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표시 교육 및 정책 수립을 위해 국가단위에서의 소비자 조사.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염 표시가 포크커틀릿 소스의 짠맛 인식과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low-sodium label on acceptability and perceived saltiness intensity of a dipping sauce for fried pork cutlets)

  • 김민지;강백원;김종욱;이미영;정서진;홍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2-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일반 포크커틀릿 소스와 나트륨 함량을 반으로 줄인 저염 포크커틀릿 소스제품을 대상으로 식품의 저염 여부 표시가 소비자 기호도, 구매의사, 짠맛과 다른 특성의 강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테스트 환경과 정보가 주어진 환경 각각에서 시료를 평가하게 하여 정보에 의해 소스의 짠맛과 맛 품질에 어떠한 기대가 형성되었는지 파악하고, 실제 소스를 맛보았을 때 형성된 기대가 충족되는지를 규명하였다. 정보에 의해 소비자가 가지게 되는 기대 수준과 실제 제품간의 차이는 짠맛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저염 표기는 짠맛의 기대를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저염 표기는 저염 제품에서 동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실제보다 정보의 방향(저염=낮은 짠맛)에 가깝게 평가하게 하였다. 반면 저염 정보는 기호도와 구매의사에 대한 기대 수준을 높였으나, 실제 섭취시 기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소비자들이 주어진 정보에 상응하는 감각 특성의 변화를 뚜렷이 감지하지 않는 이상 정보에 의해 기호도가 영향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저염 식품의 상품화에 적용하면, 저염 정보 자체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유발함으로써 제품 구매 동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트륨을 저감하지 않은 식품과 유사한 감각 특성을 가지도록 저염 식품을 제조할 경우 저염이 아닌 식품과 유사한 기호도를 가지게 되어 재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된다. 동반 식품의 제공은 전반적인 기호도, 시료의 구매 의향, 향미의 조화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맛 특성의 경우, 동반 식품과 함께 평가 시 소스만을 평가할 때와 다르게 감지되었는데 소스 제품의 경우 동반 식품을 제공하면 실제 섭취 상황에서 소비자가 어떻게 제품의 특성을 인지하는지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