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functionalitie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5초

Assessment of the willingness to pay in relation to public value in forests

  • Park, Jaehong;Kim, Sounghun;Hong, Seungj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545-555
    • /
    • 2021
  • This study aimed quantitatively to estimate the recen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public value of forests in Korea,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value,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 average annual payment regarding the public value of forests estimat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234,170 won, broken down into 12 functionalities. The Tobit model was used to analyze 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rea of residenc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visits to forest facilities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Among these variables, living area (living in Seoul), marriage status (married), occupation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and household income (more than the median incom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while ag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forest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various functions of forests and the legitimacy of protecting forest resources, considering that the public's valuation of various public functions provided by forests is directly related to changes in perception. Second, public evaluations of the public value of forests remain at a low level, meaning that education and promotions regarding the public value of forests need to be implemented and strengthened in the future. Finally,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among people on the public functions of forests, customized promotions and educational events need to be implemented for non-Seoul residents, non-professionals, the unmarried, and for those who regularly visit forest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mulberries for efficient seedling cultivation

  • Chan Young Jeong;Heon Woong Kim;Seong Ryul Kim;Hyun-Bok Kim;Kee-Young Kim;Seong-Wan Kim;Jong Woo Park;Ik Seob Cha;Sang Kug Kang;Ji Hae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147-154
    • /
    • 2023
  • Mulberry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across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roots, branches, leaves, and fruits. However, despite numerous studies on mulberry, research on this plant at the seedling st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uitability for seedling cultiva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four Korean mulberry cultivars, namely, Daesim, Suhong, Simgang, and Cheongsu. In terms of seed weight,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Daesim was the most suitable cultivar for seedling produc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t the 2-week seedling stage. Similarly, antioxidant assays using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ulfonic acid (ABTS)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 reveal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increased with cultivation at 2- 4- and 6-week. However, mulberry seedlings had a slower reaction rate against DPPH radical removal than mulberry leaves.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different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This phenomenon may be due to the different polyphenol compositions between mulberry leaves and seed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berry seedlings exhibit different bioactivities from mulberry leaves, and component analysis is required in further research.

순무 싹의 화학성분과 생리기능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Sprouts)

  • 하진옥;하태만;이재준;김아라;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02-1309
    • /
    • 2009
  • 순무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무 싹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무 싹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함량은 2.35%, 조단백질 22.51%, 조지방 21.60%, 조회분 4.35% 및 탄수화물 49.19%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glucose가 73.39 mg/L로 가장 많았고, fructose가 12.62 mg/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242.57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순이었다. 순무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tricosa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heneicosano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2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tartaric acid 함량이 2,962.74 mg/L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순이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9 mg%와 3.06 mg%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Mg, Ca, Na 순이었고 Fe,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 100 ${\mu}g$/mL 농도에서 35.24%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1,000 ${\mu}g$/mL일 때 아질산염 소거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각각 64.25% 및 69.29%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순무 싹 분말은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순무 싹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순무 싹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추출방법에 따른 돼지감자 잎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김재원;김종규;송인성;권은성;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5
    • /
    • 2013
  • 돼지감자 잎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환류냉각, 상온교반,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돼지감자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가열추출, 환류냉각추출, 상온교반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함량은 상온교반추출 및 환류냉각추출의 경우 대등한 함량을 나타낸 반면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에서는 저온고압추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된 반면 가압가열추출에서는 상온교반 및 환류냉각추출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xanthine oxidase 및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에서는 저온고압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추출물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염량이 다른 난황의 냉동저장 중 물성 및 마요네즈 제조적성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Salted Egg Yolks as Affected by Salt Content During Frozen Storage and Their Effects)

  • 김재욱;차가성;홍기주;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9-393
    • /
    • 1991
  • 상업적인 가염난황의 식염 첨가량에 따른 냉동저장 중 물성 및 마요네즈 제조적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난황(refractive index 43)에 7%, 10%, 13%의 식염을 첨가하여 이들을 $-15^{\circ}C$$-25^{\circ}C$에서 6개월간 냉동저장하면서 난황 자체 및 이들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염난황의 점도는 점차 증가하며 식염함량이 높을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 저장시 점도 증가가 심하였으며, 난황의 유화력은 점차 감소하였다. 7%, 가염난황의 경우, $-25^{\circ}C$에서 4개월 이상 저장시 유화력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가염난황의 냉동저장시 미생물 수는 감소하였으며, 가염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난황의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점도는 높아졌으며, 식염함량이 높을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 저장한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요네즈의 입경은 마요네즈 제조에 사용된 가염난황의 식염함량이 높고, 냉동저장 기간이 오랜 것일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일수록 작아졌으며, 마요네즈 제조 직후 약간의 미생물이 발견되었으나 $30^{\circ}C$에서 1개월 보존 후 심사에서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 PDF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Against D-Galactosamine (Gal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Choi, Sang-Hoon;Park, Kwan-Ha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5-241
    • /
    • 2011
  • 아직 분명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신선초가 다양한 측면에서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믿어져 왔고 따라서 일반인들이 지금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선초의 메타놀 추출물을 투여한 후, 전형적인 간독성 유발물질인 갈락토사민과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랫드에서 일반적 간독성지표와 지질대사능 지표를 측정함으로써 간장 보호작용이 있는지 시험하였다. 신선초를 독성유발전 7일간 매일 1회씩 200 및 5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고, 간독성물질을 복강내로 투여 한 후 독성유발 24시간에 혈장과 간장조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한 두 용량(200 및 500 mg/kg)은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지질과 산화물 증가, 혈장 AST 및 ALT 활성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신선초 500mg/kg은 갈락토사민이 유발한 혈장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농도 증가현상을 감소시켰다.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효과와는 달리,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AST, ALT 및 과산화지질의 증가현상이 신선초 전투여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갈락토사민에 의한 독성을 신선초 전투여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사염화탄소 유발 독성은 더 악화시킴을 의미한다. 신선초의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 증강효과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신선초를 투여한 랫드의 간장내 aninline hydroxyi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염화탄소가 간독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조건인 대사체로의 변환을 매개하는 이 효소의 간장내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종합적으로 신선초가 간장보호효과를 발휘하지만 간독성이 어떤 독소에 의해 유발되었느냐에 따라 향상 보호효과가 있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난백 혼입률이 다른 가염 난황의 냉동저장 중 물성 및 마요네즈 제조 적성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Salted Egg Yolks as Affected by Refractive Index During Frozen Storage and Their Effects on Functionalities in Mayonnaise Preparation)

  • 김재욱;홍기주;차가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2-167
    • /
    • 1990
  • RI 42, 43, 44, 45로 조정한 난황을 10% 가염처리 하여 이들을 $-15^{\circ}C$$-25^{\circ}C$에서 6개월간 냉동저장하며 점도, 유화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 이들 난황으로 마요네즈를 제조하여 점도, 입경, 유화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냉동저장 기간이 길수록 가염 난황의 점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난백 혼입이 적을수록(RI가 클수록), $-15^{\circ}C$보다는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저장중의 점도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화력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황의 법동저장 중, 이들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에 있어서 입경은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작아졌으며, 점도는 저장기간 2개월까지는 감소하나 그 이후 증가하였다. 난백 혼입이 적을수록, $-15^{\circ}C$보다는 $-25^{\circ}C$에서 저장한 난황으로 만든 마요네즈가 입경이 더 작으며 점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 안정성은 난황의 냉동저장 3-4개월까지 감소하여, 그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I 및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HPLC와 GC/MS를 활용한 약용식물 유래 phytochemicals 분석 (Analysis of Phytochemicals in Popular Medicinal Herbs by HPLC and GC-MS)

  • 조현정;유동찬;조현남;판루안;김희준;강공원;정호순;양선아;이인선;지광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7-282
    • /
    • 2008
  • 본 연구는 홍삼, 인진쑥, 형개, 회향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분리 및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홍삼의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maltol과 adenosine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었다. 그 중 maltol은 그 분획을 얻어 UV-visible 흡광도의 측정과 MS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을 통하여 maltol 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진쑥, 형개, 회향을 여러 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인진쑥에는 limonene, menthone, anethole 등의 성분이 미량 검출되었고 회향에는 limonene 외의 성분은 거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실험 중 형개 추출물의 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했는데 목적 성분 중 limonene, menthone, pulegone을 고농도로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천연 약용 식물에서 기능 성분의 분리, 정제 시 각 성분에 대한 화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한방 약초로부터의 기능성 화학성분의 정량분석을 HPLC, GC-MS 등의 분석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향후 목적하는 phytochemicals을 함유한 복합체 기능성 연구에 사용하고자 한다. 약용식물 유래의 유용화합물과 안정성이 확보된 고분자 형성물질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는 새로운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예상된다.

혈관내피세포의 성장 및 세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발효도라지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on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 최우성;송지나;박미현;유희종;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9-67
    • /
    • 2016
  • 도라지는 다양한 종류의 triterpenoid계통의 saponin을 함유한 다년생 식물이다. 도라지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추출물에 관한 생리활성연구도 많이 보고되었으나, 발효 도라지추출물에 관한 혈관기능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들은 먼저 도라지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발효도라지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발효도라지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 지 관찰하였다. BAEC에 발효도라지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고농도(100 μg/ml)에서는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이 일어났으며, 저농도(0.1 μg/ml)에서는 세포탈착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세포성장과 세포이동이 촉발됨을 관찰하였다. 고농도에서 일어난 세포탈착은 세포사 즉, 세포사멸, 세포괴사, 오토파지 등과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고농도의 도라지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유래한 작은 vesicle을 형성하였는데, 이 vesicle은 세포사멸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내피세포에서 유래된 EMP로 추측된다. 흥미롭게도 고농도의 세포탈착 현상은 EMP로 추측되는 vesicle에 의하여 일어난 현상이었다. 저농도의 도라지 추출물이 유발한 세포이동과 세포성장은 혈관내피세포의 중요한 신호전달물질중의 하나인 Akt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라지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세포성장과 이동을 촉발함으로써 상처치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온실재배와 노지재배한 금산 깻잎의 생리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 현광욱;김재호;송기진;이종복;장정호;김영선;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75-979
    • /
    • 2003
  • 깻잎 중의 각종 성인병 관련 생리기능성을 탐색하여 고부가가치의 건강식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깻잎의 주산지중의 한곳인 금산에서 1월, 5월 온실재배한 깻잎들과 8월 노지재배한 깻잎의 추출물 수율을 조사하였다. 8월 노지에서 재배한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 수율이 29%로 제일 높았고, 1월과 5월 온실재배 깻잎보다는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추출물 수율이 더 높았다. 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생리기능으로 혈전용해활성은 5월 온실재배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2U로 제일 높았고 고지혈증 예방에 관련된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의 물 추출물에서 83%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활성을 나타내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1월 온실재배 깻잎의 물 추출물에서 64.5%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물 추출물 보다는 대체로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특히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69%를 보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5월 온실재배 깻잎의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47.5%의 활성을 보였고 혈전용해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활성, SOD-유사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은 모든 깻잎 추출물에서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