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age growth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실내에서 LED광질이 관엽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Foliage Plants Growths in Interior Environment)

  • 김명선;채수천;이명원;박갑순;안승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99-1508
    • /
    • 2013
  •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role of LED light quality in enhancing the ornamental value of indoor foliage plants, amber and red light increased plant height, leaf width, and leaf stalk, and the consequent tree shape decreased the ornamental value. The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white light and compound light.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plant leaf color on ornamental value, the value of lightness was markedly enhanced by red light. As to the functionality of plants according to photosynthetic activity, plants such as Dieffenbachia, Clusia, and Dracaena were found favorable to those staying indoors for a longtime from morning to evening. Spathiphyllum, and Ficus were found to be recommendable for indoor spaces used actively during afternoon because their photosynthesis was activated in the afternoon.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light quality, white light consumed 119 W/hour, around 45% lower than that of fluorescent lamps, so it is considered the optimal artificial light quality that can enhance energy efficiency. Red light consumed 72 W/hour, only 33% of that of fluorescent lamps, but it was not considered the optimal light quality because plant growth was poor under the light quality. White light and compound light were found to be the ideal light sour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ornamental value of indoor plants and reducing the cost of maintenance, but because compound light hinders people from recognizing the original color of plants and makes their eyes easily tired, white light was considered the optimal light satisfying all of the ornamental value, economic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resulting from plant growth.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eed Control in Transplanted Bed of Pinus koraiensis S. et. Z and Larix leptolepis Gordon)

  • 안영환;정진철;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1-218
    • /
    • 1985
  • 잣나무(Pinus koraiensis S. et. Z.)와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 Gordon)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를 목적(目的)으로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묘이식(苗移植) 7일(日) 후에 토양처리(土壤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목(樹木)의 약해(藥害)를 검정하였고 토양표면처리시(土壤表面處理時) 비산(飛散), 부주의(不注意)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약해유무(藥害有無)를 판정하기 위하여 수목(樹木)에 대한 경엽처리(莖葉處理)를 약해(藥害)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제(供試藥劑)의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표준시용량(標準施用量)에서 화본과(和本科) 잡초(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oxyfluorfen, alachlor, terbutryn은 85~90%의 방제율(防除率)로 우수(優秀)하였고 pendimethalin과 simazine은 78%내외(內外)의 방제율(防除率)이였으며 ustinex는 60%정도(程度)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2.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simazine, oxyfluorfen, pendimethalin, terbutryu 순(順)으로 70~80%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3.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인 쑥, 메꽃에 대해서의 살초효과(殺草效果)는 ustinex와 oxyfluorfen이 85% 이상(以上)의 우수(優秀)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기타 공시약제(供試藥劑)는 50% 이하(以下)의 저조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떨어지지 않았다. 5. 경엽처리(莖葉處理)는 없었으며 생육(生育)은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뒤지지 않았으며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ustinex, oxyfluorfen, terbutryn, pendimethalin처리구(處理區)의 순(順)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약해정도(藥害程度)에 비례하여 상당히 저조하였다.

  • PDF

In Vitr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yrenophora tritici-repentis Isolates from Several Algerian Agro-Ecological Zones

  • Benslimane, Hamida;Aouali, Souhila;Khalfi, Assia;Ali, Shaukat;Bouznad, Zouaou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109-117
    • /
    • 2017
  • Tan spot caused by the fungus Pyrenophora triticir-repentis is a serious disease of wheat, which is on increase in recent years in Mediterranean region. In the field this fungus produces a diamond-shaped necrotic lesions with a yellow halo on wheat foli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and compare several monospore isolates of P. tritici-repentis collected from different infected wheat fields in various locations of Algeria, and fin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if any. The results revealed wide morphologically variation among the isolates based on colony colors and texture, mycelial radial growth and conidial size.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Comparison of Indoor CO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64-870
    • /
    • 2010
  •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파키라($Pachira$ $aquatica$),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 배지와 하이드로볼 배지에 이식된 식물을 각각 밀폐 동화상에 넣고, 이산화탄소 500ppm 또는 1,000ppm을 주입하고, 광도는 50과 $200{\mu}mol{\cdot}m^{-2}{\cdot}s^{-1}$ 두 수준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1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광합성 속도(${\mu}molCO_2{\cdot}m^{-2}{\cdot}s^{-1}$)로 산출하였다. 주간에 모든 품종의 식물들이 밀폐 동화상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였다. 파키라($Pachira$ $aquatica$)와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가 이산화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초기 주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ppm일 때보다 1000ppm일때, 광도가 $50{\mu}mol{\cdot}m^{-2}{\cdot}s^{-1}$일 때보다 $200{\mu}mol{\cdot}m^{-2}{\cdot}s^{-1}$일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며,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광합성률을 비교해 보면, 파키라($Pachira$ $aquatica$), 헤데라($Hedera$ $helix$ L.),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같이 엽면적이 넓은 식물들이 상대적으로 엽면적이 작은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와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와 같은 식물들보다 높은 광합성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 주간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량에 비해 야간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지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광합성률에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서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주간에 식물이 광합성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부피가 크고 실내와 같은 저광 조건에서 활발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옥잠화(Hosta)속 식물의 액아 발생에 미치는 BA 및 물리적 처리의 효과 (Effect of BA and Physical Treatment on Axillary Bud Emergence of Hosta spp.)

  • 안민실;이공준;최규환;이진재;박윤점
    • 화훼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3-148
    • /
    • 2008
  • 옥잠화속 식물 중 잎의 무늬가 다양하고 절엽 수명도 길어 절엽용 품종으로 적합한 'Ellerbroek', 'Francee', 'Halcyon'의 3품종을 대상으로 번식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생장조절제인 BA 및 물리적 처리방법간의 액아발생 촉진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BA의 처리시기 및 농도별 액아 발생정도는 무처리에 비해 월등한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물리적 처리방법별 액아 발생 정도는 지상부 절단방법보다는 기부 상처가 더 효과적이었다. 'Ellerbroek'에서는 처리 방법 간에 액아 발생 증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나 'Halcyon'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기부 상처가 주당 4개의 액아수가 증가되었다. 또한 'Francee'에서는 액아 발생수가 BA처리나 지상부 절단 방법이 각각 주당 2개와 1.8개인데 반해 기부 상처시 주당 6.1개로 액아 발생 촉진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Effect of Tannins in Acacia nilotica, Albizia procera and Sesbania acculeata Foliage Determined In vitro, In sacco, and In vivo

  • Alam, M.R.;Amin, M.R.;Kabir, A.K.M.A.;Moniruzzaman, M.;McNeill, D.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220-228
    • /
    • 2007
  • The nutritive value and the effect of tannins on the utilization of foliage from three commonly used legumes, Acacia nilotica, Albizia procera, and Sesbania acculeata, were determined. Three mature rumen-fistulated bullocks were used to study in sacco degradability and twelve adult sheep were randomly allocated on the basis of live weight to 4 groups of 3 in each to study the in vivo digestibility of the foliages. In all foliage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17 to 24% of DM) were high. Fibre was especially high in Albizia (NDF 58.8% of DM vs. 21% in Sesbania and 15.4% in Acacia). Contents of both hydrolysable (4.4 to 0.05%) and condensed tannins (1.2 to 0.04%) varied from medium to low in the foliages. Acacia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phenolics (20.1%), protein precipitable phenolics (13.2%) and had the highest capacity to precipitate protein (14.7%). Drying in shade reduced the tannin content in Acacia and Albizia by 48.6 and 69.3% respectively. The foliages ranked similarly for each of the different methods used to estimate tannin content and activity. Acacia and Sesbania foliage was highly degradable (85-87% potential degradability of DM in sacco), compared to Albizia (52%), indicating a minimal effect of tannins in Acacia and Sesbania. Yet, in vitro, the tannins in the Acacia inhibited microbial activity more than those in Albizia and Sesbania. Following the addition of polyethylene glycol to neutralise the tannins, gas production and microbial growth increased by 59% and 0.09 mg RNA equiv./dg microbial yield respectively in the Acacia, compared to 16-17% and 0.06 mg RNA equiv./dg microbial yield in the other foliages. There was a trend for low in vivo apparent digestibility of N in the Acacia (43.2%) and Albizia (44.2%) compared to the Sesbania (54.5%) supplemented groups. This was likely to be due to presence of tannins. Consistent with this was the low N retention (0.22 and 0.19 g N/g NI) in sheep supplemented with Acacia and Albizia compared to that for the Sesbania (0.32). Similarly, a trend for poor microbial N yield was observed in sheep fed these foliages. Across the foliages tested, an increase in tannin content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ruminal fermentation, N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For overall nutritive value, Sesbania proved to be the superior forage of the three tested.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ulberry (Morus alba) Foliage and Urea-rice Bran as Fermentable Energy and Protein Sources in Sheep Fed Urea-treated Rice Straw Based Diet

  • Yulistiani, Dwi;Jelan, Z.A.;Liang, J.B.;Yaakub, H.;Abdullah,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494-501
    • /
    • 2015
  • A digestibility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mulberry foliage and urea rice-bran as a source of fermentable energy and protein to 12 sheep fed diets based on urea-treated rice straw (TRS).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T1, TRS with mulberry; T2, TRS with 50% mulberry replaced with rice bran and urea; and T3, TRS with rice bran and urea. The study was arrang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or each treatment. The sheep were fed one of the three diets and the supplements were offered at 1.2% of the body weight (BW) and the TRS was provided ad libitum.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among the three treatment groups with respect to dry matter (DM) intake ($76.8{\pm}4.2g/kg\;BW^{0.75}$) and DM, organic matter (OM), and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55.3{\pm}1.22$; $69.9{\pm}0.85$; $46.3{\pm}1.65%$ respectively for DM, OM, and CP). The digestibility of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for T3 (46.2 and 46.6 respectively) compared to T1 (55.8 and 53.7 respectively) and T2 (54.1 and 52.8 respectively). Nitrogen (N) intake by sheep on diet T3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sheep fed diet T1. However, N balance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diets ($3.0{\pm}0.32g/d$). In contrast, the rumen ammonia ($NH_3-N$) concentrations in sheep fed T2 and T3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sheep fed T1. The $NH_3-N$ concentrations for all three diets were above the critical value required for optimum rumen microbial growth and synthesis.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were highest (p<0.05) in T1 (120.3 mM), whilst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ic acid was highest in T3 (36.9%). However, the microbial N supply in sheep fed T1 and T3 was similar bu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for sheep fed T2. It was concluded that mulberry foliage is a potential supplement of fermentable energy and protein for sheep fed TRS based diet. The suggested level of supplementation is 1.2% of BW or 32% of the total diet since it resulted in similar effects on the intake of DM, OM, and NDF, digestibility of DM, OM, and CP, N utilization and microbial supply when compared to rice bran and urea supplementation.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배지 종류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 (Photosynthetic Response of Foliage Plants Related to Light Intensity, $CO_2$ Concentration, and Growing Mediu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09
    • /
    • 2010
  •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광도는 PPFD 0, 30, 50, 80, 100, 200, 400, $600{\mu}mol{\cdot}m^{-2}{\cdot}s^{-1}$의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1000, $1500{\mu}mol{CO_2}{\cdot}mol^{-1}$의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광도 및 엽육내 $CO_2$ 농도변화에 따른 관엽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광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쉐프렐라 홍콩과 디펜바키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실내식물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도 다른 두 식물에 비해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드라세나 와네키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였다. 두 배지 처리에 따라서는 각각의 관엽식물에서 엇갈린 광합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쉐프렐라 홍콩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광과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볼 배지에 비해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였지만, 디펜바키아는 그와는 정반대로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싱고니움의 경우는 광처리에 의해서는 피트모스 배지에서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지만 이산화탄소 처리에서는 배지간 차이가 없었다.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인 드라세나 와네키는 광에 의한 배지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산화탄소 증가시에는 피트모스에서 다소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한 4가지 관엽식물 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았던 쉐프렐라 홍콩이나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 디펜바키아가 실내 공기정화 및 실내 환경조절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분석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 박석곤;이명훈;윤정원;신현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2-90
    • /
    • 2012
  •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입지환경요인과 그 생장특성을 밝혀내고, 조릿대군락이 하층식생 및 천연갱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중산리지역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조릿대군락이 분포하는 지역을 조사대상지로 설정하여 식생조사 및 환경요인을 조사했다. 이곳에서 조릿대의 생장특성으로서 조릿대의 우점도 및 높이, 잎층두께를 조사했고, 환경요인으로서 관목층과 지피층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FD),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했다. 또한 조사구에서 지피층에 출현하는 식물상, 목본의 개체수 및 높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로서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높이 및 잎층두께는 빛조건과 밀접한 관계지만, 특정입지환경이나 식생 등의 영향이 단순하게 조릿대 분포 및 생장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조릿대가 영양번식식물로서 복수의 지상간이 지하경으로 연결된 상태로 산림내의 불균질한 자원환경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할 수 있는 조릿대의 독특한 생존전략과 깊게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밀생하고 높게 자란 조릿대는 지피층의 PPFD를 차단하는 것으로 치수발생 및 생장을 방해해 하층식생의 종다양성을 떨어뜨렸다.

카리장석의 유기농 무와 비트 생육촉진효과 (Effect of Potash Feldspar on the Growth of Organic Radish and Beet)

  • 심창기;김민정;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이승복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3-425
    • /
    • 2016
  • 칼륨(K)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본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분상, 입상, 사상의 카리장석 제형별로 유기농 무와 비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설하우스에서 15일 육묘한 무와 비트 묘를 정식하기 전에 3종의 0.1% 카리장석을 토양에 혼화 처리하였다. 처리한 모든 종류의 카리장석은 무와 비트의 뿌리 경도를 제외하고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와 비트의 뿌리, 줄기생육 및 당도를 향상시켰다. 특히, 분상 카리장석이 가장 효과적으로 무와 비트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농가에서 유기농 비트와 무의 근권에 카리장석을 시용할 경우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