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ing properties.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2초

폐 LCD 유리를 이용한 흡음특성을 갖는 붕규산유리발포체 제조 (Preparation of Borosilicate Foamed Glass Body with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by the Recycling Waste Liquid Crystal Display Glass)

  • 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12-619
    • /
    • 2016
  • 폐 LCD 판넬로부터 회수된 폐 붕규산유리를 이용하여 흡음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함유 붕규산유리발포체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입도 325 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 조절된 폐 붕규산유리분말 100 g에 대해 발포제로서 탄소분을 0.3중량 분율, $Na_2CO_3$, $Na_2SO_4$, $CaCO_3$를 각각 1.5중량 분율, 기공조절제로서 $H_3BO_3$$Al_2O_3$를 각각 6.0 및 3.0 중량분율이 되도록 첨가한 원료 유리분말을 발포소성온도 $950^{\circ}C$에서 20 min간 발포를 진행함으로서 개기공률 45%를 갖는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이 경우 흡음률 0.5~0.7의 흡음 특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이 흡음성능을 지닌 알루미늄 함유 붕규산유리발포체는 밀도 $0.21g/cm^3$, 굽힘강도 $55N/cm^2$ 이상, 압축강도 $298N/cm^2$ 이상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에 내화학성 및 내열성의 흡음체로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제6보) -알파 술폰 지방산 음이온성 올리고머 계면활성제의 계면성- (Studies on the Polymeric Surface Active Agent(VI) -The Surface Activities of Anionic Oligomer Surfactant with α-Sulfo Alkanoic Acid-)

  • 정노희;박상석;정환경;조경행;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683-691
    • /
    • 1993
  • Sodium dodecyl polyoxyethylene ${\alpha}$-sulfa alkanoates류 15종에 대하여 표면장력, 기포력 및 그 안정성, 유화력, 분산성, 습윤성 및 가용화능 등의 계면활성을 실험하였다. 이들 시료의 묽은 수용액에 대한 임계미셀농도는 $10^{-4}{\sim}10^{-5}mo1/{\ell}$ 범위였고 그 농도범위에서의 표면장력은 30~47dyne/cm였으며, 일정농도 수용액에 대한 기포력 및 그 안정성, 벤젠 및 대두유에 대한 유화력, 탄산칼슘 및 산화철에 대한 분산성, 그리고 습윤력과 Orange OT에 대한 가용화능을 실험하여 검토한 결과 O/W형 유제 및 분산제로서의 응용성이 기대된다.

  • PDF

Fatty alcohol을 이용한 음이온 술폰산계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nionic Sulfonate Surfactants Using Fatty Alcohol)

  • 조정은;신혜린;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79-5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방 알코올을 이용하여 탄소 길이에 따른 술폰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들의 구조를 FT-IR과 $^1H$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는 $10^{-5}{\sim}10^{-3}mol/L$이며, 임계미셀농도에서의 표면장력 값은 26~32 mN/m이었다. 합성한 술폰산계 계면활성제의 분자당 최소 영역값은 $1.68{\sim}1.30nm^2$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분자당 최소 영역이 감소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물성은 임계 미셀농도, 기포력, 유화력,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발포용 TiH2/TiH2-Al의 제조와 수소화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s of Hydrogenation Properties of TiH2/TiH2-Al agents on Aluminum Foam Alloy)

  • 홍태환;조경원;권순용;김일호;이정일;어순철;이영근;류성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35-243
    • /
    • 2004
  • A number of potential applications of aluminum foams are being identified and renewed interest in these engineering materials is also reflected by several current research projects. One of the key issues for industrial exploitation of aluminum foams is the development of cost-effective manufacturing strategies facilitating, preferably, net shape production of foams with controlled porosity and cell size, and minimized structural imperfection. Especially, melt route to aluminum foam production based on the foaming agents offer attraction of low cost and the potential for good microstructure. The present paper is focused mainly on foaming agents of melt-foam aluminum such as $TiH_2$ or $TiH_2-Al$ mixture. For the purpose of economical manufacturing, we are proposed to hydrogen induced mechanical alloying (HIMA) process.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particles synthesized a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Specimens synthesized a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thermo- gravimetry-differential scanning calorymetry (TG-DSC), pressure-composition-isotherm. (PCI).

Protease 처리가 누에번데기 단백질 추출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 on the Extraction and Properties of the Protein from Silkworm pupa)

  • 권효정;이경환;김정환;천성숙;조영제;차원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04-308
    • /
    • 2006
  • 누에번데기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단백질을 가용성 단백질로 추출시키기 위하여 누에번데기에 Bacillus sp. JH-209 균주로부터 생산된 protease를 작용시켰다. 이때 누에번데기 단백질의 추출을 위한 적정 pH는 pH $7{\sim}11$까지의 알칼리 영역에서 추출율의 증가를 보였다. 최적 온도는 $40^{\circ}C$였고, 최적 작용시간은 11시간이었고, 효소의 최적 첨가량은 60 unit 정도였다. 효소처리 된 누에번데기 단백질은 효소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기포력, 기포안정성, 유화력과 유화안정성이 증가하였고, 유지흡착력과 수분흡착력도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 (EPDM) 발포체의 충격음 저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act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f EPDM Micro Cellular Pad)

  • 이경원;이정희;손호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38-148
    • /
    • 2000
  • EPDM 발포체의 정적/동적 특성을 측정하여 재료 특성과 진동 특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로부터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정적/동적 특성은 material test system (MTS)를 사용하여 시편의 형상, 두께, 초기하중, 발포도 등에 따라 정적 탄성계수, 동적 탄성계수, 전달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적 탄성계수와 동적 탄성계수의 경우, 형상이 단순하고 두께가 얇을수록 큰 값을 나타냈고, 전달율과 동적 탄성계수는 상호 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징적으로 동적 탄성계수가 증가하면, 전달율의 특성 피크치는 같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증가 혹은 고주파수 영역으로의 전이의 형태로 일어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실적 모사 시험장치를 통해 충격에 따른 주파수별 진동 속도측정과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mode shape에 의한 충격 해석 결과를 알아보았는데, EPDM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2.5-3.5배의 진동 속도 저감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mode shape의 경우 몰타르와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구조물에 비해 진동 충격에 대한 변위가 급감함으로써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EPDM 발포체의 적용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발포제에 따른 산무수물계 에폭시 폼의 압축강도 및 포밍특성 분석 (Investig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Foaming Characteristics of Acid Anhydride Epoxy Foam by Foaming Agent)

  • 권동준;김종현;박성민;권일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133-138
    • /
    • 2018
  • 구조용 폼의 용도는 난연, 단열 기능이외에 구조적인 목적으로 공극부위를 충진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경량 소재 개발을 위해 CFRP와 구조용 폼이 이용되고 있으며, PUR, PIR, PVC, PET와 같은 대표적인 폼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폼의 특성 중 강도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에폭시 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에폭시 조성 중 산무수물계 경화제는 기존의 폴리올과 반응을 하기 때문에 산무수물계 에폭시 수지에 발포제를 이용할 경우 폼이 형성되는지, 형성된다면, 압축특성과 포밍 형태를 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에폭시 폼을 형성시키기 위한 발포제의 종류에 따른 영향 및 발포재의 농도에 따라 변화되는 폼밍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산무수물계 수지의 조성차이에 따른 폼의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궁극적으로 에폭시 폼을 최적의 발포제 선정으로 구조적 강도가 높은 폼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구조용 폼 소재에 비해 높은 압축강도 및 비압축 강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폐폴리에틸린/폐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블렌드 발포체의 난연 및 발포 특성에 관한 연구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Waste-Polyethylene(W-PE)/Waste-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W-EVA) Blend Foams)

  • 문성철;조병욱;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4호
    • /
    • pp.316-3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에틸렌 (W-PE)/폐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W-EVA) 블렌드계에 무기계 및 인계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난연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고, 수지대비 난연제, 특히 무기계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발포 및 난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W-PE/W-EVA 블렌드계의 조성비가 50/50 (w/w)이고, 수지 대비 난연제의 함량이 220phr의 범위 내에서 가교반응을 쉽게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폐고분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V-PE 난연 발포체와 비교해 비교적 균일한 독립기포를 갖고, 발포율이 오히려 증가 (100 % 이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난연특성 (limiting oxygen index; LOI,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등) 또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이 발포 및 난연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그리고 무기계 난연제의 난연 및 연기발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무기계 난연제 중 수산화알루미늄은 LOI 상승에, 수산화마그네슘은 발포율 상승 및 HRR, COY를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상호작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기포제 종류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기포구조 및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ore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y Foaming Agent Type)

  • 김진만;최훈국;박선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3-73
    • /
    • 2009
  • 최근 건설생산현장에서는 경제가 성장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건축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표준화, 대량 생산화가 가능한 건식 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에너지 절감효과 및 공사기간 단축,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고 경제성을 가지는 샌드위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는 양면 도장 강판 사이에 유기계 및 무기계 단열재를 합성한 복합 자재이다. 유기계 단열재는 PUR(Poly-uretane foam) 및 EPS(Expanded poly-stylene foam) 등이 사용되며, 무기계 단열재는 Glass wool 및 Mineral wool 등이 사용된다. 유기계 단열재는 화재 시 불이 잘 붙어 대피할 수 있는 시간 부족과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지만, 무기계보다 가격이 싸서 유기계 재료를 사용한 샌드위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 무기계 단열재 중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단열성과 내화성, 경량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샌드위치 패널에 적용하여 유기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단열성 및 내화성, 경량성이 뛰어난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기포제를 활용하여 시멘트 경화체 내에 다량의 공극을 발생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역학적 특성은 사용되는 기포제와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기포제는 계면활성작용에 의해 물리적으로 기포를 도입하는 것으로써 공기량은 최고 85%까지 생성될 수 있으며, 크게 계면활성제계, 가수분해 단백질계로 구분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계 기포제는 수용액 상에서 기포시키면 안정되고, 점성이 높은 기포가 생기지만 시멘트 슬러리와 혼합 시 안정성이 저하되어 서로 연속된 형태의 기포를 형성한다. 가수분해 단백질계 기포제는 계면활성제계 기포제와는 달리 시멘트 슬러리와 혼합 시 안정되고 서로 독립적인 형태의 기포를 형성하게 된다. 발포제는 금속분말이 알칼리 용액과 접촉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현재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ALC)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기포제 및 발포제는 특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내부 공극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단열특성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포제와 발포제를 사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 단열재로 활용하는 기초적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포제 및 발포제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첨가량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기포구조 및 열적특성을 검토함으로써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높은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실험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Effects of Heating Time and Temperature on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s of Yellow Mealworm Larvae (Tenebrio molitor L.)

  • Lee, Ha-Jung;Kim, Ji-Han;Ji, Da-Som;Lee, Chi-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6-308
    • /
    • 2019
  • Although the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L.) is a promising alternative protein source,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functional properties are unclear. In this study, a protein extract of yellow mealworm larvae (PEYM) was subjected to different heat temperature ($55^{\circ}C$, $75^{\circ}C$, and $95^{\circ}C$) with different time (20, 40, and 60 min)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tein oxidation. Different heat temperature treat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xposure of surface hydrophobicity of the proteins and protein molecule aggregation, which reached maximum levels at $95^{\circ}C$ for 60 min. Protein oxidatio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Both the highest carbonyl value (1.49 nmol/mg protein) and lowest thiol value (22.94 nmol/mg protein) were observed at $95^{\circ}C$ for 60 min. The heating time-temperature interaction affected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solubility, emulsifying potential, and gel strength (GS). Solubility decreased near the isoelectric point (pH 5 to 6). As the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increased, emulsifying properties decreased and GS increased. The oil absorption capacity and foaming properties decreased and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increase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PEYM is a suitable source of proteins for processing and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