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ce microscopy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2초

액랭식 마이크로채널 시스템 내 냉매와 범프의 열 제거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Coolants and Metal Bumps on the heat Removal of Liquid Cooled Microchannel System)

  • 원용현;김성동;김사라은경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67
    • /
    • 2017
  • 소자의 트랜지스터 밀도가 급속히 높아짐에 따라 소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 유속(heat flux)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자의 고열 문제는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냉각방법들은 이러한 고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한계점에 다다랐고, 그 대안으로 liquid heat pipe, thermoelectric cooler, thermal Si via, 등 여러 냉각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직선형 마이크로채널과 TSV(through Si via)를 이용한 액체 냉각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두 종류의 냉매(DI water와 ethylene glycol(70 wt%))와 3 종류의 금속 범프(Ag, Cu, Cr/Au/Cu)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대류, 복사 및 액체 냉각으로 인한 총 열 유속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냉각 전후의 냉각시스템의 표면온도는 적외선현미경을 통해 측정하였고, 마이크로채널 내 액체 흐름은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열 유속은 ethylene glycol(70 wt%)의 경우 가열 온도 $200^{\circ}C$에서 $2.42W/cm^2$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액체 냉각 효과에 의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마디풀 추출물의 경피 전달을 위한 탄성 리포좀의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피부 투과 연구 (Physical Characterizations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of Elastic Liposom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olygonum aviculare L. Extract)

  • 한샛별;권순식;정유민;공봉주;유은령;박수남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694-7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지질(PC)과 계면활성제($Tego^{(R)}$ care 450)로 구성된 탄성 리포좀(ELPs)을 제조하였으며, 그것의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48.1~262.2 nm, 가변형성 지수는 11.5~25.4, 포집 효율은 53.1~66.3%로 나타났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결과, 인지질 대 계면활성제 비율이 85:15인 ELP-4가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리포좀인 ELP-1보다 더 높은 피부 투과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형광 이미지 복원 현미경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최적 조건으로 선정된 ELP-4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유용한 피부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cl-2 및 IAP family의 발현 변화와 caspase 활성을 통한 봉독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Bee Venom in A549 Human Lung Epithelial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on of Bcl-2 and IAP Family and Activation of Caspases)

  • 우현주;김현중;홍수현;홍상훈;최병태;이용태;박동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96-1600
    • /
    • 2007
  • 본 연구에서 봉독의 apoptosis 유도에 의한 항암기전 효능을 A549 인체폐암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유발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 및 활성에 미치는 봉독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549 세포의 생존율은 봉독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는 염색질 응축 현상을 동반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봉독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은 Bax 및 Bcl-xL의 발현 변화 없이 Bcl-2의 발현 감소에 따른 상대적인 Bax의 발현 증가와 IAP family에 속하는 인자들의 발현 감소 및 caspase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및 Culturomics법을 이용한 고도 호염균의 분리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a gray solar saltern and isolation of extremely halophilic bacteria using culturomics)

  • 조건영;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9-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토판염전 결정지에 서식하는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고 culturomics법에 기반하여 고도 호염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토판염전 내 세균밀도를 조사한 결과, 직접검경법에 의한 생균수는 평판배양법에 비해 $10^3{\sim}10^4$ 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어 배양이 곤란한 세균(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VBNC)이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다.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 다양성 해석을 위해 배양비의존적 방법인 pyrosequencing 분자기법을 이용하였다. 세균군집의 경우 1,778 OTUs, 다양성 지수 6.16로 나타났으며, 18문46강85목140과 243속으로 확인되었다. Archaea군집은 643 OTUs, 다양성 지수 4.95로 3문6강7목7과 38속이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고도 호염균 생육에 적합한 배양배지 및 배양조건을 고려한 총 59가지의 다양한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137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고도호염균의 16S rRNA 유전자 분석결과, 총4문11속의 다양한 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호염성 archaea 계통군 Haloterrigena 속과 haloferax 속이 culturomics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고도 호염균 다양성 확보를 위해 culturomics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우치 인공우식법랑질에서 불소도포 전·후의 재광화 효과에 대한 융합적 관찰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topical fluoride agent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on artificial enamel caries aspects of convergence observation)

  • 이민선;김효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39-145
    • /
    • 2017
  • 본 연구는 우치의 인공우식법랑질에 대한 불소도포 후 재광화 효과를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을 통해 비교하고자 진행되었다. 시편에 인공우식을 형성한 후, 대조군, 1.23% APF 겔 도포군, 그리고 5% NaF 바니쉬 도포군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불소도포 전후의 양상은 CLSM을 이용하여 평균형광강도로 확인하였다. 불소도포 전 후 평균형광강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평균형광강도변화량은 실험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222). 탈회된 표면의 표면미세경도와 평균형광강도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941), 탈회표면의 평균형광강도가 클수록 불소도포 1일 경과 후 평균형광강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811, p<0.001). 차 후 구강 내 환경을 반영한 모델이나 실제 in-situ 또는 임상실험을 통해 불소도포제제의 재광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개 정자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 및 첨체의 변화 (Viability and Acrosomal Status Changes Following Post-thawing Canine Spermatozoa)

  • 이영락;이성림;강태영;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59
    • /
    • 2003
  • 본 실험은 개의 인공수정에 사용할 정자의 보존에 있어서, 개 정액 동결시 동결속도와 응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을 조사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실험견의 사출된 평균 신선정액의 농도는 3.44$\times$$10^{8}$ /ml로 정상범위에 들었으며, 정자의 형태학적 판정에서 정상적인 정자의 농도는 평균 59.45$\pm$3.45%로 상대적인 기형율은 약 30~40% 정도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적인 상태의 개 정액이라 할 수 있다. 2 개 정액의 동결속도는 동결하는 높이가 6, 10 및 17 cm 일 때 각각 최저온도는 -11$0^{\circ}C$, 7$0^{\circ}C$, -35$^{\circ}C$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때 최저온도로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분, 8분 20초 그리고 12분 50초로 결과적으로 분당 동결속도는 각각 19$^{\circ}C$/min, 8.9$^{\circ}C$/min 그리고 3$^{\circ}C$/min로 나타났다. 3. 정액을 동결속도와 융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은 동결속도가 3$^{\circ}C$/min일 때 가장 높았으며, 융해 온도는 37$^{\circ}C$일 때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동결의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질소의 표면으로부터 17 cm 높이에서 동결하는 분당 -3$^{\circ}C$의 동결속도에서 동결하여 37$^{\circ}C$에서 2분간 융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생존성과 운동성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첨체의 intact한 비율은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Bio-Derived Poly(${\gamma}$-Glutamic Acid) Nanogels as Controlled Anticancer Drug Delivery Carriers

  • Bae, Hee Ho;Cho, Mi Young;Hong, Ji Hyeon;Poo, Haryoung;Sung, Moon-Hee;Lim, Yong Ta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782-1789
    • /
    • 2012
  • We have developed a novel type of polymer nanogel loaded with anticancer drug based on bio-derived poly(${\gamma}$-glutamic acid) (${\gamma}$-PGA). ${\gamma}$-PGA is a highly anionic polymer that is synthesized naturally by microbial species, most prominently in various bacilli, and has been shown to have excellent biocompatibility. Thiolated ${\gamma}$-PGA was synthesized by covalent coupling between the carboxyl groups of ${\gamma}$-PGA and the primary amine group of cysteamine. Doxorubicin (Dox)-loaded ${\gamma}$-PGA nanogels were fabricated using the following steps: (1) an ionic nanocomplex was formed between thiolated ${\gamma}$-PGA as the negative charge component, and Dox as the positive charge component; (2) addi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induced hydrogen-bond interactions between thiol groups of thiolated ${\gamma}$-PGA and hydroxyl groups of PEG, resulting in the nanocomplex; and (3) disulfide crosslinked ${\gamma}$-PGA nanogels were fabricated by ultrasonication. The average size and surface charge of Dox-loaded disulfide cross-linked ${\gamma}$-PGA nanogels in aqueous solution were $136.3{\pm}37.6$ nm and $-32.5{\pm}5.3$ mV, respectively. The loading amount of Dox was approximately 38.7 ${\mu}g$ per mg of ${\gamma}$-PGA nanogel. The Dox-loaded disulfide cross-linked ${\gamma}$-PGA nanogels showed controlled drug release behavior in the presence of reducing agents, glutathione (GSH) (1-10 mM). Through fluorescence microscopy and FACS, the cellular uptake of ${\gamma}$-PGA nanogels into breast cancer cells (MCF-7) was analyzed. The cytotoxic effect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and was determined to be dependent on both th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of ${\gamma}$-PGA nanogels. The bio-derived ${\gamma}$-PGA nanogels are expected to be a well-designed delivery carrier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applications.

반복핵이식에 의한 복제동물 생산에 관한 연구 III. 토끼에서 제3세대 복제수정란의 생산 (Study on Production of Cloned Animals by Recycling Nuclear Transplantation III. Production of Third Generation Cloned Embryos in Rabbits)

  • 이효종;전병균;윤희준;박충생;최상용;윤창현;강대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77-886
    • /
    • 1995
  • The recycling nuclear transplantation(NT) technique has the powerful potential of producing a larg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embryos and offsprings from one embryo. Multiple generational cloning by this technique utilizes the NT embryo itself as the donor for the next generation of cloning. In this experiment, we have produced the third generational cloned embryos by recycling NT. Further we examined comparatively the electrofusion rate and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in the cloned embryo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The embryos of 16-cell stage were collected from the mated does by flushing oviducts with Dulber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10 % fetal calf serum(FCS) at 47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the first generation NT, the nuclear donor embryos were synchronized in the phase of Gl/S transition of 32-cell stage.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NT embryos developed to 16-cell were used as donor nuclei for second and third generation. The recipient cytoplasms were utilized the oocytes collected at 14 hours after hCG injection, following revoming the nucleus and the first polar body by micromanipulation. The separated blastomeres were injected into the enucleated recipient oocytes by micromanipulation and were fu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The electrofusion rate was seen to be 78.0, 88.0 and 90.3 %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 NT rabbit embryos, respectively. The fus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a monolayer of rabbit oviductal epithelial cells in M-199 solution containing 10 % FCS for 120 hours at 39$^{\circ}C$ in a 5% $CO_2$ incubator. The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to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P<0.05) decreased in the third(7.2 %) generation NT embryos compared to the first(53.1 %) and second(16.1 %) generation NT embryos. Following in vitro development to blastocyst stage, they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for counting the number of blastomer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The mean blastomere numbers and cell cycle numbers of NT embryos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in the second(93.9 cells and 6.55 cylces) and third(81.5 cells and 1.35 cylces) generation, compared to the first(189.9 cells and 7.55 cylces) generation.

  • PDF

꿀벌부채명나방 성충 정소에 의한 아포리포포린-III의 흡수 (Apolipophorin-III uptake by the adult testes in the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 윤화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9-203
    • /
    • 2016
  • 아포리포포린-III (apoLp-III)를 꿀벌부채명나방 종령 유충 혈림프로부터 KBr 농도구배 초원심분리와 겔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G-100)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KBr 농도구배 초원심분리가 끝난 후, 리포포린을 제외한 분획 (lipophorin-free fractions)을 겔크로마토그래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후 sodium dodecyl sulfate (SDS)-전기영동으로 apoLp-III의 정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충 혈림프로부터 정제된 apoLp-III가 꿀벌부채명나방의 성충 정소에 의해 흡수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우화한 지 1일 또는 2일된 성충으로부터 성충 정소를 차가운 링거액에서 분리한 후 조직 배양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순수 정제한 apoLp-III를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인 형광물질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와 상온에서 계속 저어가면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ITC로 표지된 apoLp-III (FITC-labeled apoLp-III)를 Sephadex G-25 PD-10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확인하였다. 정제된 FITC-labeled apoLp-III와 성충 정소 조직을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광현미경 (fluorescence Axioskop microscope)과 SDS-전기영동을 이용하여 FITC-labeled apoLp-III가 정소 조직으로 들어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TC-labeled apoLp-III가 성충 정소로 흡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UV-C 조사에 의한 음용수 살균 시스템의 미생물 저해 효과 (Effect of UV-C irradiation for bacterial disinfection of drinking water)

  • 김현중;김윤재;서세영;이창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18-222
    • /
    • 2021
  • 본 연구는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인 E. coli와 L. monocytogenes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음용수를 대상으로 UV-C 정수기의 살균 가능성과 미생물의 생육 저해에 따른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UV-C를 이용한 음용수 살균 능력은 그람 음성균 E. coli와 양성균 L. monocytogenes의 저농도부터 고농도(E. coli 3.2×103-3.2×107 CFU/2.8 L; L. monocytogenes 8.4×103-8.4×107 CFU/2.8 L) 세균 모두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UV를 이용한 음용수 살균은 유속 3.4 L/min에서 UV-C 파장 254 nm, 조사선량 40 mJ/㎠로 조사할 경우 E. coli 3.2×107 CFU/2.8 L와 L. monocytogenes 8.4×107 CFU/2.8 L 이하 농도의 오염된 음용수의 살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기에 UV-C 살균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물의 미생물 안전성에 효율적이라고 사료되며, 이 연구결과는 UV살균 장치 활용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연구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