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ing initia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8초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 처리가 호접란의 화아분화와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of Natural Cool Air from an Abandoned Mine on Flower Bud Formation and Flowering of Doritaenopsis 'Happy Valentine')

  • 채수천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44-48
    • /
    • 2008
  • 호접란 촉성재배를 위한 하계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령지방 폐광의 자연냉풍온도는 $12{\sim}14^{\circ}C$이였으며 이 온도를 주온 $22^{\circ}C$, 야온 $20^{\circ}C$로 조절하여 6월부터 8월까지 처리하였다. 이 온도는 호접란 화성유도 기본 온도범위이었으며, 이 때 외부 평균기온은 $28.4{\sim}32.8^{\circ}C$로 나타났다. 화경 발생은 20일저온경과에서 3% 발생되었으며, 45일 경과에서 65% 이상 발생되었고, 90일 경과에서 100% 발생하였다. 화경장은 30일 경과에서 48.7cm로 짧았으며, 60일 경과에서 62.4cm로 길어져 처리기간이 길수록 화경장이 신장되었다. 화수장, 소화수도 같은 경향이었고, 화경 마디수는 6~7개로 저온 경과일수와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는 45일 경과에서 9월 15일에 가장 빨리 개화되었고 저온 경과일수가 길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화경 발생시기는 3개월, 개화기는 4개월 정도 촉진되었다.

추대시기가 서로 다른 무 계통간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개화 특성 규명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wo inbred radish lines with different bolting times)

  • 박현지;정원용;이상숙;이주원;김윤성;조혜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15-222
    • /
    • 2015
  • 본 연구는 무의 개화가 지연되는 형질을 갖는 'NH-JS1'과 조기개화 형질을 가진 'NH-JS2'계통을 대상으로 춘화처리에 의한 무의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유발하는 개화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NH-JS1 과 NH-JS2 두 계통 모두 춘화처리가 없는 조건에서는($23{\pm}1^{\circ}C$, 12시간 광조건/12시간 암조건) 90일 동안 생육하였을 때는 개화하지 않았으며, NH-JS1계통의 경우, 개화 유도를 위해서는 최소 25일의 춘화처리가 필요하며, NH-JS2계통은 15일의 춘화처리에 의해 개화가 유도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NH-JS1계통은 로제트 잎이 9장 이상일 때, NH-JS2계통은 7장 이상일 때 추대가 형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춘화처리에 의한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유전자발현을 분석한 결과, 개화억제 유전자인 FLC와 FRI의 발현은 개화가 지연되는 계통인 NH-JS1에서 높은 반면, 개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인 SOC1, LHY 그리고 CO의 발현은 조기개화 계통인 NH-JS2에서 높게 나타났다. 춘화처리에 의해 FLC의 발현억제를 유지하는 VRN1과 VRN2도 NH-JS1 계통에서 2배 이상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춘화처리 시 무의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과 개화특성이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육종분야에서 무의 개화시기가 조절된 품종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토양 EC가 오이의 종자발아, 유묘의 생장, 자화착생 및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EC on Seed Germination, Seeding Growth, Initiation of Female Flower and Fruit Growth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 정희돈;장인석;최영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95-500
    • /
    • 2001
  • 복합비료로 EC(1:5)를 $1.0-5.0dS{\cdot}m^{-1}$로 조절한 토양에서 오이종자의 발아, 유묘생장 및 이식후의 묘생장과 암꽃의 착생 및 과실비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종자발아는 EC $3.0dS{\cdot}m^{-1}$ 이상에서는 발아속도가 매우 늦었고 EC $4.0dS{\cdot}m^{-1}$에서부터는 파종 8일까지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EC $2.5dS{\cdot}m^{-1}$ 이상이 되면 유묘의 생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였고 $3.5dS{\cdot}m^{-1}$ 이상에서는 고사하였다. EC $3.0dS{\cdot}m^{-1}$까지는 잎이 농록색이 되었다. EC가 $1.0dS{\cdot}m^{-1}$에서 $3.0dS{\cdot}m^{-1}$까지 높아질수록 제1번 자화 개화소요일수가 늘어났고 자화 착생절위도 높아졌다. EC $3.0dS{\cdot}m^{-1}$에서는 유묘의 잎의 황화현상과 순멎이가 발생하였으나 매우 불균일하였다.

  • PDF

패랭이꽃속 Dianthus gratianopol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Shoot 증식과 식물체 재분화 (Shoot Prolifer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uspension-Cultured Cells of Dianthus gratianopol)

  • 김준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301-306
    • /
    • 2005
  • 패랭이꽃속 Dianthus gratianopol 잎절편체로부터 캘러스를 유기하여 표면에 광택이 있고 치밀하게 배열되고 연한 녹색의 shoot-forming 캘러스를 선별하였다. 유기된 캘러스를 잘게 자르고 1.0 mg/L 2,4-D와 0.5 mg/L BAP가 포함된 CP 액체배지에서 7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균일한 SF형태의 조직이 치밀한 세포괴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 세포괴를 1.0 mg/L 2,4-D와 0.5 mg/L BAP, 1.5 mg/L 2,4-D와 0.5 mg/L BAP의 MS고체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재분화능력이 있는 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캘러스는 1.0mg/L TDZ과 0.5 mg/L PAA가 포함된 MS재분화배지에 치상하였더니 녹화되기 시작하여 배양 4주후부터는 다량의shoot 원기가 형성되고 shoot증식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87%의 shoot 형성률을 보였다. 배양 9주후 절단된 shoot는 0.1 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를 형성하여 화뢰와 꽃을 갖고 있는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또한 재분화 능력이 있는 캘러스 정단 원기를 절단한 절편체는 1.0 mg/L TDZ 과 0.5 mg/L PAA가 포함된 MS재분화 배지에서 직접 부정아를 형성하였고 이들 부정아로부터 다량의 shoot 증식이 가능하여 식물체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의 현탁배양세포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suspension-cultured cell clusters of Arabidopsis thaliana)

  • 김명덕;김준철;진창덕;임창진;한태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5-200
    • /
    • 1998
  • 기내에서 발아시킨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의 잎과 줄기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유도는, 잎절편체의 경우 2mg/L 2,4-D가 첨가된 MS 고체배지에서 유도되었고, 줄기절편체의 경우는 0.5mg/L 2,4-D와 0.1mg/L BAP가 첨가된 CP 고체배지에서 배양 4주 후 다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유도된 캘러스를 잘게 자르고 0.5mg/L 2,4-D와 0.1mg/L BAP가 첨가된 CP 액체배지에서 7일 간격으로 암조건에서 4개월간 배양하였을 때 균일한 shoot-forming(SF)캘러스를 얻을 수 있었다. 액체배지에서 유도된 SF 세포괴는 0.05 mg/L IAA, 7.0mg/L 2-iP, 30g/L sucrose가 첨가된 MS 재분화배지에서 광조건으로 배양하였을 때 캘러스를 거쳐 녹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배양 4주 후부터는 전체적으로 녹화된 SF캘러스로부터 shoot가 형성되어 식물체 재분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재분화 배지에 옮겼을 때 IAA와 2-iP가 첨가된 배지에서 50% 이상의 shoot 형성률(SF 캘러스당 한 개 이상의 shoot가 형성된 캘러스의 백분율)을 보였다. 절단된 shoot는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4주 후 뿌리를 형성하였으며, 재분화된 식물체는 기내에서 6주 후부터 화뢰가 형성되고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

  • PDF

야간온도 변화에 따른 망고 'Irwin'의 개화, 과실특성 및 수체생육 (Flowering, Fruit Characteristic and Shoot Growth of the Mango, cv. 'Irwin' in Response to D ifferent Night Temperature)

  • 임찬규;안현주;전미경;김설아;정선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9-355
    • /
    • 2021
  • 본 연구는 꽃눈발아기부터 과실비대기까지 야간온도의 조정이 망고 'Irwin' 품종의 개화, 과실특성 및 수체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망고 재배를 위한 적정 야간온도를 구명하고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야간온도 처리에 따른 개화기, 만개기, 착과기, 성숙기 그리고 수확기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꽃대길이는 야간온도가 10℃일때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좋아졌으나 15℃와 20℃의 처리간에는 유의차는 없었다. 과실 종경과 무게는 야간온도가 15℃와 20℃가 10℃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가용성고형물함량(SSC)와 산함량(TA)은 야간온도 처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과실의 경도와 과피의 색도는 야간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과실 수확이 끝나고 전정을 한 이후 발생한 가지의 생육은 처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망고의 시설하우스 재배 시 과실의 수량을 높이고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야간 최저온도를 15℃ 또는 20℃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며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는 야간 최저온도를 15℃로 설정하여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이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의 건물생산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 Day Period Before Short Day treatment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Flower Quality of Greenhouse-Grown Cut Chrysanthemum cv, Reagan Improved)

  • 백철기;이정현;안규빈;한태호;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03
  • 본 실험은 정식 후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에 따른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 Reagan Improved품종의 건물생산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네덜란드 Wageningen 대학의 유리온실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정식 13-14일전에 피트블록에 삽목한 묘를 단위면적당 64줄기로 2000년 9월 6, 13, 20일에 각각 정식하였고, 2000년 9월 27일 모든 처리구에 단일처리를 실시하였다. 정식에서 최종조사일까지 장일처리 기간 3주 처리구에서는 84일이었고, 2주 처리구에서는 77일, 1주 처리구에서는 70일, 단일처리 후에 최종수확일까지는 63일이 소요되었다. 개화시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동일하였다. 3주 장일처리구에서의 주당 꽃송이수는 1주 장일처리구에 비해 2개 더 많았고, 꽃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각각 식물 개체당 4g과 0.4g더 무거웠지만, 각 처리구별 꽃의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최종건물생산량 ($g{\cdot}m^{-2}$ )은 3주 장일처리구에서 높고, 1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단일처리 전 장일기간은 단일처리 후 개화시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꽃의 품질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초장과 생체중은 장일 조건이 길수록 높았게 나타났으며, 누적 건물중도 3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장일처리 기간은 꽃 자체의 품질에 영향은 적었지만, 개체 생체중 및 초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은 개체품질 및 연중재배 생산 시스템에서 균일한 품질을 생산하기 위해 장일처리 기간의 조절은 고품질의 국화생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Identification of the Regulatory Region Responsible for Vascular Tissue-Specific Expression in the Rice Hd3a Promoter

  • Pasriga, Richa;Cho, Lae-Hyeon;Yoon, Jinmi;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4호
    • /
    • pp.342-350
    • /
    • 2018
  • Flowering time is determined by florigens. These genes include, Heading date 3a (Hd3a) and Rice FT 1 (RFT1) in rice, which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vascular tissues of leaves at the floral transition stage. To study the cis-regulatory elements present in the promoter region of Hd3a, we generated transgenic plants carrying the 1.75-kb promoter fragment of Hd3a that was fused to the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gene. Plants expressing this construct conferred a vascular cell-specific expression pattern for the reporter gene. However, GUS was expressed in leaves at all developmental stages, including the early seedling stage when Hd3a was not detected. Furthermore, the reporter was expressed in roots at all stages. This suggests that the 1.75-kb region lackings cis-elements that regulate leaf-specific expression at the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s. Deletion analyses of the promoter region indicated that regulatory elements determining vascular cell-specific expression are present in the 200-bp region between -245 bp and -45 bp from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By transforming the Hd3a-GUS construct to rice cultivar 'Taichung 65' which is defective in Ehd1, we observed that Ehd1 is the major regulatory element that controls Hd3a promoter activity.

Establishment of Genetic Transformation System and Introduction of MADS Box Gene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Lim, Hak-Tae;Zhao, Mei-Ai;Lian, Yu-Ji;Lee, Ji-Young;Eung-Jun park;Chun, Ik-Jo;Yu, Jae-Woong;Kim, Byung-D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89-94
    • /
    • 2001
  • In vitro plant regeneration of inbred breeding line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was established using leaf and petiole segments as explants. About 28 days old plants were excised and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DZ and NAA or in combination with Zeatin. In all of the media compositions tested, combination of TDZ 0.5 mg/L, Zeatin 0.5 mg/L, and NAA 0.1 mg/L was found to be the best medium for shoot bud initiation. Young petiole was the most appropriate explant type for the plant regeneration as well as genetic transformation in hot pepper. In this study, HpMADS1 gene isolated from hot pepper was introduced us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Southern blot and RT-PCR, HpMADS1 gene was integrated in the hot pepper genome. It has been known that floral organ development is controlled by a group of regulatory factors containing the MADS dom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se transgenic plants, especially flowering habit,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altered, indicating this MADS gene, HpMADS1 may be non-functional in this case.

  • PDF

Source-sink Relationships of Soybean as Influenced by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and Seed-developing Stage

  • Shin Seong-Hyu;Park Keum-Yong;Shin Sang-Ouk;Lim Sea-Gyu;Ha Tae-Joung;Kim Do-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0-31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developing and seed filling stage on source-sink relationships of soybean (Glycine max). Drought treatments were imposed by withholding water at the full-pod stage, 19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limited watering was relieved at 15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drought treatment. Soybean seed yield was reduced by 39% mainly due to decreased pod number under drought stress, but the 100-seed weight was relatively less reduced. In spite of the 15-day drought during the full-pod stage, soybean produced good seeds showing similar l00-seed weight, protein, starch and soluble sugar content to those from the well-watered. Although drought during the full-pod stage caused source limitations; i.e. accelerated leaf senescence and reduced leaf soluble sugars, it did not cause limitations of other source characteristics such as SGR and leaf starch level. This is because the reduction in size of sinks, such as pod and seed abortions compensated for source limitations, resulting in balanced source-sink as expressed by LAR and the ratio of leaf area to seed dry weight.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developing and seed filling stage did not disrupt the source-sink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