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ing duration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홍경천의 생육특성검정 및 재배지역 탐색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arch for Eligible Cultivation Area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iss.)

  • 홍의연;김익환;윤종선;윤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2-217
    • /
    • 2003
  • 중국의 약용작물로 널리 알려진 홍경천의 충북도내 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상황은 최고조에 달했던 7월의 경우 초장은 8.1­15.8cm, 줄기수는 3.1­3.6개였으며, 여름철엔 하고현상이 심하여 지상부의 고사율이 76­94%로 매우 높았다. 지하부 생육상황의 경우 근장은 단양지역이 6.8cm로 가장 컸으나 굵기는 청원이 10.0mm로 가장 굵었으며 , 생체중 또한 3.5g으로 제천, 단양 대비 3.5배 정도 높았다. 한편 뿌리 부패율이 62.3­86.5%로 매우 높아 당분간 농가재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개화기는 6월 중$.$하순으로 개화기간은 12­13일 정도 되었고, 개화율은 60­77%정도 되었으며, 복산형화서로 꽃색은 자색, 황녹색, 회자색, 자홍색 등 다양하였다. 종자는 미세종자로 성숙기는 8월 중순­9월 하순이었고, 색깔은 황갈색이었으며 종자의 길이는 1.5­2.0mm, 너 비 는 0 1­0.5mm, 천립중은 0.13­0.15g으로 조사되었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Collections)

  • 김인재;남상영;이윤호;김성진;최성열;노창우;이정관;송인규;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1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328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7~12일이었으며, 개화 소요일수는 55~86일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수집종 해바라기의 경장은 평균이 259 cm로 그 분포는 131~345 cm의 변이를 보였고, 성숙일수는 평균 35일이었다. 주당 두화수(頭花數)는 1개~23개로 큰 변이를 보였으며, 두화의 크기는 평균 17.6 cm 로 14.7~21.3 cm가 72.8%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두화당 종자수는 평균 1,430개 정도, 종실중은 평균 91.4 g로 28~379 g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종실길이는 평균 11.7 mm, 범위는 9.0~21.5 mm 이었으며, 종실 폭은 평균 6.4 mm, $1\;{\ell}$ 무게는 평균 322.5 g이었으며, 천립중은 평균 63.3 g, 주당 종실중은 평균 204 g이었다. 생육 및 종실 특성 중에서 두화 당 종자수의 변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주당종실 중의 변이가 컸다. 수집종들의 형질 간 상관분석 결과, 경장이 클수록 종실폭은 커지고 개화일수도 길어졌으나, 성숙일수와 생육일수는 짧았다.

남부지역 콩 파종기에 따른 품종간 건물생산 및 생태적 특성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Glycine max. (L.) Merr.)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박금룡;오성근;정병춘;노승표;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9-416
    • /
    • 1987
  • 본시험은 남부지역에 있어서 파종기 이동이 콩의 건물생산능력 및 생리, 생태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적정 파종 한계기를 제시하고자 '82년∼'84년도 3개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만파할수록 개화일수, 성숙기 개화기간 등은 크게 단축되었고 품종가 차이도 인정되었으며 엽후는 만파에 의하여 두꺼워지는 반면, 엽면적은 감소하였고, CGR은 활엽기를 전후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기는 타 파종기의 50% 내외의 작물생자율을 나타내었다. 2 건물중은 만파할수록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100 입중을 제외한 다른 수량구성요소는 5월 10일과 5월 30일간에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3. 10a당 수량은 5월 10일 파종구 225kg, 5월 30일 239kg, 6월 19일 188kg, 7월 9일은 101kg으로 5월 30일 파종구의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단엽콩이 파종기 이동에 의한 수량변이폭이 가장 작았다.

  • PDF

유.무한신육형 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i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Soybeans)

  • 김홍식;김석동;홍은희;박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49-460
    • /
    • 1992
  • 본 시험은 유ㆍ무한신육형간의 생육 및 수량형질의 차이와 그 변이정도를 구명하여 콩 육종과 재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89년에 수원 작물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 유한신육형인 황금콩과 장엽콩, 무한신육형인 Clark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신육형간의 생육과 수량형질의 차이를 구명한 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한신육형은 유한신육형보다 개화시로부터 정엽전개기까지의 일수가 평균 30일 더 길었으며 개화시 이후 주경절수도 7-8개 정도 더 증가되었다. 2. 유한신육형은 성숙기의 협실과 경의 건물중이 중하부에서 많았으며, 무한신육형은 중간부위에서 많았다. 3.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에 비하여 단립면적당 건립중이 높게 경과하였으나 무한신육형은 영양생장기간이 길고, 생육후기에 있어서 엽면적의 유특능력이 유한신육형보다 컸다. 4. 개체간 변이는 분지형질>주경과 개체전체의 생육 및 수량형질>주경의 형태적형질과 100립중의 순이었다. 5. 초기에 형성되는 생육형질보다는 후기에 성립되는 수량형질의 변이가 대체로 크게 나타났고,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보다 변이가 컸다. 6. 개체내 1립중의 변이계수가 유한신육형은 13.6-13.8%, 무한신육형은 18.5-21.1% 로서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보다 개체내 1립중의 변이가 작아 립의 평균일도가 높았다.

  • PDF

하대두 재배방법의 차이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Methods on Seed Production in Summer Type Soybeen)

  • 김두열;김광호;홍정기;이성렬;이한범;허범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1
    • /
    • 1990
  • 하대두 채종시 문제가 되는 발아율 저하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1987년 천안재래를 공시하여 평야지인 춘천(해발 74m)과 고랭지인 진부(해발 600m)에서 4월 25일부터 20일 간격으로 4회 파종하였고, 개화후 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5회의 수확시기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생장기간은 조기 파종의 경우와 고랭지인 진부에서 길었고 경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2. 본당협수 및 백립중은 고랭지인 진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한파할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큰 값을 보였다. 3. 종실수량도 진부가 춘천보다 많았고 한파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진부에서 파종기간 수량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등숙기간이 길수록 수량도 많았다. 4. 한기파종하여 수확시기를 빨리하면 미숙립의 발생이 많았고 늦게 수확하면 미이라병의 발생립율이 높았다. 5. 미이라병의 발생은 기온이 높은 춘천의 경우 항수량과 항수일수가 많은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기온이 낮은 진부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6. 파종기에 관계없이 한기 수확하여 수분이 많은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부패립이 많이 발생하였다. 7. 하대두 종자 생산을 위한 재배는 평야지인 춘천보다는 고랭지인 진부가 유리하였고 진부에서 5월15일부터 6월 5일 사이에 파종하여 개화후 45-50일에 수확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고 종자 생산량도 많았다.

  • PDF

Soybean Ecological Response and Seed Quality According to Altitude and Seeding Dates

  • Shin, Sang-Ouk;Shin, Seong-Hyu;Ha, Tae-Jeong;Lim, Sea-Gyu;Choi, Kyung-Jin;Baek, In-Youl;Lee, Sang-Chul;Park, Keum-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43-158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ecological response and soybean quality as affected by environmental cultivation for producing high seed quality in domestic soybean varie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Under equal cumulative temperature condition, soybean plants grown in Muju showed longer days to flowering, which was an effect of the long day-length on high latitudes, and longer duration of reproductive stage as a result of low temperature within that period. Considering apparent seed quality, 100 seed weight of soybeans grown in Muju was heavier than Miryang. Ratio of seed crack and disease-damaged seeds was lower in Muju, and these parameters decreases as planting was delayed. The protein cont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ltitude and planting date, however, crude oil contents were higher in Miryang. An opposite trend was observed in C18:1 and C18:3.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proportion of C18:1 decrease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and was higher in Miryang. Opposite observations were obtained from C18:3. The anthocyanin contents were highest on June 10 planting and higher in Muju than in Miryang.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as seeding date was delayed and is similar accross seeding dates in Muju. As a summary, for high seed quality production the optimum planting date was June 10, and Muju was more suitable region than Miryang.

Variation and stability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 soybean landraces and cultivars

  • Seo, Min Jung;Park, Myoung Ryou;Yun, Hong Tae;Park, Chang H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1-221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variation of growth traits of soybean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less sensitive trait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wing was carried out on June 2 each year and the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three replicate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irty soybean varieties which consisted of 19 cultivars for beancurd and soypaste, 8 cultivars for soy-sprout including 1 landrace, and 3 cultivars for cooking with rice including 1 landrace during the period 2014-2015.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quite different with extremely low precipitation and longer sunshine duration in 2015 than 2014.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owth period such as days of growth, days of maturity, days of flowering and the 100-seed weight was less in spite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was high. Considering growth and seed characteristics like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the number of seeds per pod and 100-seed weight which are linked directly to the yield, cultivars such as Shingi, Daewonkong, Danbaegkong, and Daepung for beancurd and soypaste, Pungwon, Haepum and Shingang for soy-sprout and Seoritae for cooking with rice were more stable and could be expected to have high yield in Suwon, the south-central part of South Korea.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 cultivars with high stability under changeable weather condition.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protocol for screening of rice genotypes using physiological traits for salt tolerance

  • Kim, Sung-Mi;Reddy, Inja Naga Bheema Lingeswar;Yoon, In Sun;Kim, Beom-Gi;Kwon, Taek-R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9-189
    • /
    • 2017
  • Salinity is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es that severely affect crop production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rice plant which is generally categorized as a typical glycophyte as it cannot grow in the presence of salinity. Phenotypic resistance of salinity is expressed as the ability to survive and grow in a salinity condition. Salinity resistance has, at least implicitly, been treated as a single trait. Physiological studies of rice suggest that a range of characteristics (such as low shoot sodium concentration, compartmentation of salt in older rather than younger leaves, high potassium concentration, high $K^+/Na^+$ ratio, high biomass and plant vigour) would increase the ability of the plant to cope with salinity. Criteria for evaluating and screening salinity tolerance in crop plants vary depending on the level and duration of salt stress and the plant developmental stage. Plant growth responses to salinity vary with plant life cycle; critical stages sensitive to salinity are germinati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flowering. We have established a standard protocol to evaluate large rice germplasms for overall performance based on specific physiological traits for salt tolerance at seedling stage. This protocol will help in identifying germplasms which can perform better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salinity treatments based on single trait and also combination of different physiological traits. The salt tolerant germplasm can be taken forward into developing better varieties by conventional breeding and exploring genes for salt tolerance.

  • PDF

수도 중배축 및 종근 생장의 형태.생리학적 연구 I. 중배축 신장의 품종간 차이와 종자숙도 및 저장조건의 영향 (Morpho-Physiological Studies on Elongation of Mesocotyl and Seminal Root in Rice Plant I. Varietal Differences and Effects of Seed Maturity and Storage Condition on Mesocotyl Elongation)

  • 김진호;정병관;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6-302
    • /
    • 1989
  • 수도의 직파재배에 있어서 가장 취약점인 출아.입묘율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배축 신장에 대하여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의 기원별 중배축장은 다수형 품종이 9.6mm로 재래종과 일본형 각각 4.4, 3.2mm 보다도 훨씬 컸다. 2. 생태형별 중배축 신장은 tjereh, aman, aus, boro 및 bulu 순으로 tjereh가 29.3mm로 buld의 5.4mm에 비해 약 5배나 컸다. 3. 품종간 중배축장은 재래종에서 백경조, 다다조 및 해조가, 일본형은 상풍벼, 팔달 및 간량도가, 다수형 품종에서는 원풍벼, 가야벼, 밀양30호 및 수정벼가 컸다. 4. 종자 숙도별 중배축장은 개화 1주후 채종 종자가 39.3mm로 가장 컸고, 성숙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중배축장은 점차 작아졌다. 5. 종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자숙도와 관계없이 중배축장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저장온도 5$^{\circ}C$구가 15$^{\circ}C$, $25^{\circ}C$에 비하여 중배축장의 감소정도가 작았다.

  • PDF

수집(蒐集) 소립(小粒)콩의 주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mall Grain Soybean (Glycine max L.) Varieties)

  • 박기선;조진웅;송희섭;최재을;구자형;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6-11
    • /
    • 1998
  • 우리 나라 고유한 식품의 하나인 콩나물을 생산하는 나물용 콩의 재료인 소립종 콩 수집종의 주요 특성을 알고자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피색은 모두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노란색이 8계통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장, 절수, 분지수는 각각 평균 58.5cm, 16.5개, 11.8개 였다. 2.주경 협수와 분지 협수는 평균 43.1개와 62.7개였으며, 100립중은 평균 9.9g으로 나물용 콩의 육성목표 100립중인 10~12g보다 다소 낮았으며 분지나비는 평균이 13.2cm 이었으며 장경 개장형이 1 계통이었으며, 단경 폐쇄형이 14가지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3 공시 계통의 개화기는 8월 8일부터 8월 13일 사이였으며 개화일수는 74~85일 사이로 만생종이었다. 또한 성숙기는 9월 12일부터 10월 12일 사이로 다소 계통간 넓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