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extract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4초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he Pueraria lobata flower extract via MAPK signaling in RAW264.7 cells

  • Kim, Ki-ta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63
    • /
    • 2020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ueraria lobata Ohwi flower extracts (PLFE) on macrophages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of action. PLF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IL-6 and TNF-𝛼) in a dose-dependent manner, indicating its immunostimulatory property. Furthermore, PLFE upregulated iNOS, COX-2,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in RAW264.7 cells. Additionally, PLFE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I𝜅B𝛼 and subsequent I𝜅B𝛼 degradation, thereby enabling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𝜅B.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PLFE are mediated by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p65 subunit of NF-𝜅B and subsequent secretion of cytokines (IL-6 and TNF-𝛼), upregulation of iNOS and COX-2, and stimulation of MAPK signaling (JNK, ERK, and p38). Thus, PLFE may be a potential immunostimulatory therapeutic.

목서 꽃 추출물의 항염, 항노화 및 피지 억제 효능 (Anti-inflammatory, Anti-aging, and Sebum Inhibitory Effects of Osmanthus fragrans Flower Extract)

  • 김형민;정연수;김세현;조정훈;홍용덕;박원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1-17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목서(Osmanthus fragrans, O. fragrans) 꽃 추출물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피부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산 목서 꽃 추출물(O. fragrans flower extract, OFFE)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인 qRT-PCR과 lipid droplet 염색법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OFFE는 표피 각질세포에서 poly I:C로 유도된 3 종의 대표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8, IL-6, IL-1α)과 염증 관련 효소인 PTGS2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OFFE는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COL1A1)과 엘라스틴(EL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더 나아가 OFFE는 피지세포에서 linoleic acid에 의해 유도된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OFFE은 항염, 항노화, 그리고 피지억제 효능을 위한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ntimicrobial Effect of Phytochemicals to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Slaughterhouses

  • Kim, Hyeji;Oh, Hyemin;Lee, Heeyoung;Kim, Sejeong;Ha, Jimyeong;Lee, Jeeyeon;Choi, Yukyung;Lee, Yewon;Kim, Yujin;Yoon, Yohan;Lee, Soomi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축장에서 분리된 Listeria monocytogenes를 저해할 수 있는 식물성 항균 물질을 탐색하고, 각 항균 물질의 최소살균농도(MBC)를 확인하였다. 잠재적인 항균 물질로 자몽종자 추출물, 감귤류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대상 균주로는 국내 도축장에서 분리한 15 개의 L. monocytogenes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MBC 확인 결과, 최대 $4.0{\mu}g/mL$ 농도의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은 고농도의 L. monocytogenes (7 Log CFU/mL)에 대해 균 저해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7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2{\mu}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MBC를 시험해 본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1{\mu}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은 L. monocytogenes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s of native camellia(Camellia japonica) and nutraceutical camellia teas

  • Hwang, Eun-Joo;Park, Min-Hee;Pyo, Byoung-Sik;Cha, Young-Ju;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02-102
    • /
    • 2003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characterize availability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L.) as a medicinal plant with antineoplastic and chemosensitizing activities. The crude extracts from fresn camellia flower, young leaves and nutraceutical tea of camellia leaf and flower buds were evaluated on their potent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human cancer cells and multidrug resistance to cancer cells in vitro. The range of cytotoxicity displayed from 120$\mu\textrm{g}$/mL to 200$\mu\textrm{g}$/mL. Catemix 1(CT-1) mixed with camellia and green tea showed high toxicity(respectively IC$\sub$50/=l16$\mu\textrm{g}$/mL, 129$\mu\textrm{g}$/mL) against AML-2/WT,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 and MCF-7, brest adenocarcinoma pleual effusion cell. Generally camellia tea mixed with green tea showed higher cytotoxicity than the other camellia teas mixed with some herbs(CH). Methanol extract of steamed camellia tea and roasted camellia tea had a chemosensitizing effect to reverse Pgp-mediated MDR. In addition, camellia flower tea of insignificant cytotoxicity, chemosensitizing effect were increased remarkably chemosensitizing effect in mixed flower tea with some herbs.

  • PDF

갈화(Puerariae flos)추출물이 Rat 혈중 Ethanol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rowroot Flower (Puerariae flos) Extract on Lowering of Ethanol Concentration in Rat Blood)

  • 김정한;민선식;김성훈;홍희도;김종수;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9-553
    • /
    • 1995
  • 갈화(Puerariae flos)추출물이 rat의 혈액, 뇌 및 간의 ethanol농도를 유의차있게 감소시켰다. 혈중 ethanol의 감소 효과는 ethanol을 투여한지 1시간 경과한 때에 대조군과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열수 추출물이 80% ethanol 추출물보다 혈중 ethanol 농도를 더 크게 감소시킴이 관찰되었다. Ethanol 투여 10분 전에 갈화추출물 투여가 1시간 전 혹은 10분 후에 투여한 군에 비해서 ethanol 농도 저하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간과 뇌 조직에서도 ethanol의 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 때 acetaldehyde는 검출되지 않았다. 혈중 ethanol 농도를 가장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갈화 추출물의 적정량은 55.7 mg/kg body weight이었다. 이번 실험을 위해 새로이 시도된 dichloromethane에 의한 시료 추출과 GC를 이용한 분석법은 간단, 신속 하면서도 좋은 분석결과를 보였다.

  • PDF

연초의 적심방법이 품질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pping Method on the Quality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이종두;한종구;반유선;이정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0
    • /
    • 1988
  • 본 시험은 연초의 생육작황에 따라서 적심시기와 정도를 두어 처리하였을 때 잎담배의 품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책상조직 및 발달은 적심시기에 따라 발뢰기>개화시>개화만기> 만기 순으로 적심정도에 따라서는 치엽 4매> 치엽 2매> 화뢰 적심 순으로 발달되었다. 2.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적심할 때 끽미에 관련있는 전당/니코틴의 비는 9.0, 9.7로 가강 양호하였으며, 방향성 물질인 석유에텐추출물을 9.9%,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품질에 크게 영향하는 요인은 생태조직과 건조엽중 내용성분으로 생태조직의 구성형질들이 품질에 직접 영향하는 효과를 보면 책상조직 43.2%, 해면조직 26.5%, 조직비 17.7%, 엽후 6.7%, 세포간극율 3.1 %, 엽형지수 2.8% 순이며, 내용성분 형질은 니코틴 40.6%, 전당/니코틴 35.7%, 전당 10.0%, 전질소/니코틴 7.0% 전질소 4.6%, 석유 에텔추출물 2.1% 순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4. 양질엽 생산을 위해서는 수량이 10a당 250∼280kg 생산되는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에 치엽 2매 적심을, 200kg 내외 생산되는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붙여 적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the Ginseng (Panax ginseng) Flower Buds by the Ultrasonication and Vinegar Process

  • Gwak, Hyeon Hui;Hong, Jeong Tae;Ahn, Chang Ho;Kim, Ki Jung;Kim, Sung Gi;Yoon, Suk Soon;Im, Byung Ok;Cho, Soon Hyun;Nam, Yun Min;Ko, Sung K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93-9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ginseng (Panax ginseng) flower buds extract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g3, Rg5, Rk1, Rh1 and F4, the Red ginseng special component. Chemical transformation from the ginseng saponin glycosides to the prosapogenin was analyzed by the HPLC. The ginseng flower buds were processed at the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the ultrasonication (Oscillator 600W, Vibrator 600W) and vinegar (about 14% acidity). The result of UVGFB-480 was the butanol fraction of ginseng flower buds that had been processed with ultrasonication and vinegar for 480 minutes gained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5 (3.548%), Rh1 (2.037%), Rk1 (1.821%), Rg3 (1.580%) and F4 (1.535%). The ginsenoside Rg5 of UVGFB-480 was found to contain 14.3 times as high as ginseng flower buds extracts (GFB, 0.249%).

한국산 양하(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Korean Zingiber mioga R. (Flower Buds and Rhizome) Extract on Memory)

  • 조교희;오명숙;김효근;이선희;정건섭;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19-15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양하를 부위(꽃봉오리와 지하경)별로 일반성분, 다량 무기질 함량, 항산화 활성, AChE 저해 활성 및 인지 기능 동물실험을 측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 식물자원의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양하의 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양하 꽃봉오리의 수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꽃봉오리, 지하경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고 탄수화물은 지하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꽃봉오리와 지하경의 무기질 함량에서는 지하경이 Ca($62.30{\pm}0.46mg%$), K($656{\pm}1.58mg%$), Na($19.10{\pm}0.52$ mg%), P($70.10{\pm}1.54mg%$)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비타민 A, C, E를 분석해 봤을 때 비타민 A는 분석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E의 함량은 지하경이 $0.50{\pm}0.02mg$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C의 경우, 꽃봉오리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으나 지하경에서는 $0.70{\pm}0.08mg$이 분석되었다. 양하의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 꽃봉오리 70% 에탄올 추출물과 지하경 열수 추출물, 지하경 70% 에탄올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contents를 측정한 결과, 꽃봉오리 추출물이 지하경보다,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농도를 달리하여(62.5, 125, 250 및 $500{\mu}g/mL$)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증가하였고,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낸 것은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scavenging 역시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을 특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tacrine과 비교 시 양하의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이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 기능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ice에서 물체인식 실험(NORT)과 Y-미로실험(Y-maze)을 이용한 행동시험을 수행한 결과, NORT에서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거의 유사하게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의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고, Y-maze test에서도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항치매 약물인 donepezil과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양하 추출물 특히 꽃봉오리 부위를 열수 추출했을 때 항산화 활성,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 인지 기능 및 학습능력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천연 치매 예방물질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아 앞으로 양하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