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duration analysi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9초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 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33-44
    • /
    • 2003
  • 유황곡선은 하천유량의 변동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인위적인 유량조절이 없는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을 조사하여 보았다. 유황분석은 IHP대표유역과 대하천 주요 수위관측 지점의 수문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유황은 유역면적에 의존하나 유황계수는 판수계수를 제외하면 유역면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았으며 특히 풍수계수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평수량에 대한 갈수량 및 저수량의 비로 정의한 유황변동계수는 유역면적이 증가하면 작아지고 하천 경사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저수유황변동에 비하여 갈수유황 변동이 유역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장기유황곡선 구축 -낙동강수계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Long Term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 in the Nakdong River Basin -)

  • 김경훈;권헌각;안정민;김상훈;임태효;신동석;정강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39-953
    • /
    • 2017
  • For the development of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management of 41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units of the Nakdong River basin, first, an equation for estimating daily flow rates as well as the level of correlation (correlation and determination coefficients) was extrapol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discret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ontinuou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measurement data. The equa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daily flow rates in order to develop flow duration curves for each TMDL unit. By using the equation, the annual flow duration curves and flow curves, for the entire period and for each TMDL unit of the basin, were developed to be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Standard flow rates (abundant-, ordinary-, low- and drought flows) for major flow duration period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nnual flow duration curves. Then, the flow rates, based on percentile ranks of exceedance probabilities (5, 25, 50, 75, and 95%),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entire period and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feasibility assessment of the set values of primary and secondary standard flow rates for each river system, which are derived from complicated models. In addition, they will also be useful for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MDL management, including evaluation of the target level of water purity based on load duration curves.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 노면배수시설 설계 (Design of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Based on Varied Flow Analysis)

  • 구혜진;김진수;박형섭;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173-1185
    • /
    • 2008
  • 노면배수시설의 설계방법을 임계지속시간의 고려 여부와 등류 및 부등류의 해석 방법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고, 각 방법에 따른 설계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에서 설계강우는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로 정하나,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할 경우 설계강우는 강우의 지속시간과 유출의 도달시간이 유사해지는 경우를 시산적으로 찾아 결정한다. 4가지 설계방법으로 수립된 설계모형을 다양한 수로의 종단경사 및 길어깨 횡단경사를 가지는 노면배수시설에 적용하고, 그 설계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를 이용하는 경우,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은 종단경사와 길어깨 횡단경사가 작은 경우에만 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반면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임계지속시간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고려된 모든 조건에서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이 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임계지속시간을 결정하고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은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를 적용하고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값보다 항상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하천유역 환경변화가 유황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River Basin)

  • 이재준;김영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7-7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남해안 및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인 낙동강, 섬진강, 금강을 대상으로 다목적 댐 건설과 같은 하천환경의 변화가 하천의 상 중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비교적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곡선 자료가 잘 구비되어 있으며, 자료의 보유년수, 관측개시일 등 양질의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지점을 대상으로 다목적 댐의 건설 시점을 기준으로 유황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황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낙동강 중류부에 위치한 적포교 지점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 갈수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류부의 유황개선효과가 중 상류부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계수와 유황계수 또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황계수의 감소폭은 하상계수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이는 유황계수가 유량의 극치값에 대한 영향을 하상계수에 비해 작게 받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해서 중 상류부에 위치한 다목적 댐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총량관리 단위유역 일평균유량의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유량지속곡선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Flow Duration Curve according to the Cumulative Variation of the Daily Average Flow in Unit Watershed for TPLCs)

  • 황하선;이한필;서지연;최유진;박지형;신동석;이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6호
    • /
    • pp.97-109
    • /
    • 2018
  • The LDC (Load Duration Curve) method can analyze river water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flow rate and seasonal conditions.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exceeded or the size of the reduction load. For this reason, it is used for the optimal reduction of TPLCs and analysis of the cause of water pollution. At this time, the flow duration curve should be representative of the water body hydrologic curve, but if not, the uncertainty of the interpretation becomes big because the damaged flow condition is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aily mean flow of the unit watershed using the HSPF model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flow duration curve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daily mean flow rate using the NSE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the flow duration curve by using the daily average flow rate of at least 5 years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y unit watershed. However, this is the result of the water bodies at the end of Han River basin watershed, so further study on various water bod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생태.경관.친수.수질을 고려한 갑천 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Instream Flow Estimation for Gap-Stream Watershed Considering Ecosystem, Landscape, Water-friendly Environment and Water Quality)

  • 김태철;이덕주;문종필;이재면;구희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11-20
    • /
    • 2007
  • In order to make the way to determine the instream flow more practically, we have investigated many case studies and reviewed reports and papers. To validate instream flow level suggested by the case studies, DAWAST and HEC-RAS model were applied to the Gap-stream watershed in Daejeon city. Flow-du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oth with the stream flow data gauged in the Indong, Boksu, and Hoeduck stations, and with the stream flow data estimated by the DAWAST model and the specific discharge method. Instream flow was determined among the flow-duration analysis, DAWAST, HEC-RAS model and mass balance approach. It was satisfi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arget water quality, water depth for eco-system and resorts, water surface width, flow velocity for landscape in dry season.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mean low flow could be replaced into the instream flow for the preliminary study because the instream flow considering ecosystem, landscape, water-friendly environment and water quality was generally close to the mean low flow.

자연하안조성을 위한 SWAT-K 모의치 기반 유황 분석 (Analysis of Flow Duration Based on SWAT-K Simulation for Construction of Natural Riparian)

  • 김남원;이정우;정일문;김지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457-1464
    • /
    • 2011
  • In this study, the method of estimating hydrologic information (water depth, submerged period etc.) on the proper selection of construction point and scale as well as vegetation type suggested for the design of natural riparian rehabilitation structure. Long-term comprehensive watershed model SWAT-K(Korea) was applied to this purpose. Flow du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Pyungchang watershed at which the 'bangtul' construction method was tested. For this purpose 20 years (1989-2008) rainfall runoff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imulated daily streamflow data, flow duration curve was made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water depth hydrograph was made to analyze the water depth distribution at the cross section. Finally, the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of proper vegetation according to the submerged period is suggested.

도시유역의 내수배제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출특성분석 -SWMM의 적용-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Interior Drainage Systems in Urban Basin -Application of SWMM-)

  • 최윤영;이영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3-199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the interior drainage systems by SWMM in urbanization basin. The basin analyzed in this study is Bumuh-chun basin which is located in Susung-gu of Taegu city. Huff method is used for rainfall distribution analysis. The optimal rainfall duration in Bumuh-chun basin is analyzed as about 90 minutes decided from comparison of arrival time and critical duration. Flood flow variation pattern is propo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eak flow and peak time analyzed by SWMM about pre-urbanization and post-urbanization of Bumuh-chun basin. It is known that the variation of arrival time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avement rate in the upper area shows about 20∼25 minutes faster than pre- urbaniz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surface water for design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channel alteration has to considered the variation of ge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urbanization.

  • PDF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의 제안 및 적용 (Proposal and Application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 성장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997-10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연 최저 유입량과 연 최대 부족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하였고, 수자원 시설의 계획 및 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을 제안하였다. 연 최저 유입량 분석결과, 대부분의 지속기간에서 1989년, 1996년 수문학적 가뭄의 재현기간이 가장 길었다. 연 최대 부족량 분석결과, 비교적 짧은 지속기간인 60일, 90일 부족량의 재현기간은 1982년에서 약 35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길게 지속되었던 수문학적 가뭄은 1995년으로 재현기간은 약 20년이었다. 가뭄은 크기와 함께 지속기간도 주요한 변수이지만 연 최저 유입량을 이용한 방법은 지속기간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유황곡선 산정 (Estimation of regional flow duration curve applicable to ungaug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정세진;이승필;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83-1193
    • /
    • 2021
  • Low flow는 하천수의 공급관리 및 계획, 관개용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유황곡선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30년 이상의 충분한 기간의 유량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가하천 단위 이하의 하천의 경우 장기간의 유량자료가 없거나 중간에 일정기간 동안 결측된 관측소가 있어 하천별 유황 곡선을 산정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과거에는 미계측 유역의 유황을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IMA 모형 등 통계학적 기반의 기법들을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머신러닝, 딥러닝 모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신 패러다임에 맞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제시한다. DNN기법은 ANN기법의 단점인 학습과정에서 최적 매개변수 값을 찾기 어렵고, 학습시간이 느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DNN 모형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유황곡선을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유황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인자들 간의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여, 머신러닝 모형에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통해 머신러닝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