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ra, species diversity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3초

Molecular Analysis of Colonized Bacteria in a Human Newborn Infant Gut

  • Park Hee-Kyung;Shim Sung-Sub;Kim Su-Yung;Park Jae-Hong;Park Su-Eun;Kim Hak-Jung;Kang Byeong-Chul;Kim Cheol-M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345-353
    • /
    • 2005
  • The complex ecosystem of intestinal micro flora is estimated to harbor approximately 400 different microbial species, mostly bacteria. However, studies on bacterial colonization have mostly been based on culturing methods, which only detect a small fraction of the whole microbiotic ecosystem of the gut. To clarify the initial acquisition and subsequent colonization of bacteria in an infant within the few days after birth,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6S rDNA sequences from the DNA iso-lated from feces on the 1st, 3rd, and 6th day. 16S r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with the amplicons of PCR conditions at 30 cycles and $50^{\circ}C$ annealing temperature. Nine independent libraries were produc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sets of primers (set A, set B, and set C) combined with three fecal samples for day 1, day 3, and day 6 of life. Approximately 220 clones ($76.7\%$) of all 325 isolated clones were characterized as known species, while other 105 clones ($32.3\%$) were characterized as unknown species. The library clone with set A universal primers amplifying 350 bp displayed increased diversity by days. Thus, set A primers were better suited for this type of molecular ecological analysis. On the first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Enterobacter, Lactococcus lactis, Leuconostoc citreum, and Streptococcus mitis were present. The largest taxonomic group was L. lactis. On the third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Enterobacter, Enter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S. miti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were present. On the sixth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Citrobacter, Clostridium difficile, Enterobacter sp., Enterobacter cloacae, and E. coli were present. The largest taxonomic group was E. coli. These results showed that microbiotic diversity changes very rapidly in the few days after birth, and the acquisition of unculturable bacteria expanded rapidly after the third day.

백암산(1,004m, 울진군) 일원의 관속식물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Backam-san Mt.(Uljin-gun) Area)

  • 김영철;채현희;박유철;이선미;남기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7-376
    • /
    • 2021
  •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은 대상 지역에 대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이다. 그럼에도 관심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비교적 관심도가 높지 않은 한반도 중남부에 위치한 백암산(1,004m) 일원의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총 9회의 조사를 통해 108과 339속 572종 12아종 49변종 5품종 638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3분류군, III등급이 36분류군, II등급이 29분류군 그리고 I등급이 3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3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 외래식물은 3종이 분포하였다. 백암산을 중심으로 서쪽과 동쪽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차이가 있었다. 백암산의 정상과 능선 및 서쪽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보전가치가 높은 식물이 주로 관찰되었다. 분포하는 식물을 고려해 볼 때 낙동정맥 상에 위치한 백암산은 식물의 확산경로로 기능하였다고 추정되었다.

서낙동강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Hydrophytes in the West Nakdong River, South Korea)

  • 윤해순;김구연;김승환;이원화;이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05-313
    • /
    • 2002
  • 서낙동강의 물과 저토의 이화학적인 환경을 측정하고, 수생관속식물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수질은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엽록소a, 총질소 그리고 총인에 의하면 부영양화 상태이었으나 여름에는 지소에 따라 과영양 상태이었다. 수중 저토는 약산성 이었으며, 모래의 함량이 높았으나 SI는 점토, SU는 미사의 비율이 컸다. 수생식물 분포는 총 16과 26종 1변종으로 총 27분류군이었다. 지소별 우점종은 DU, GA 그리고 SU에서는 마름(Trapa japonica)이 우점하였고, DA에서는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SI는 자라풀(Hydrocharis dubia)이 우점하였다. SI와 SU에서 종다양도, 균등성이 높았으며, 우점도는 DA에서 높았다. 6월에 유입된 외래종 물상추(Pistia stratiotes)와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이 수역 전체에 확산되어 서낙동강 전체의 우점종이 되었다. 낙동강 하구둑 축조 당시와 비교하여 서낙동강에서 소멸된 종은 민나자스말(Najas marina), 톱니나자스말(Najas minor),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이었다. 수생식물의 최대 현존량은 10월에 DU에서 가장 높았다(445g·Dw/㎡). 하구둑 축조당시인 1985년에 비하여 DU와 CA지소의 총현존량은 33.5%로 감소하였으며, 우점종 마름의 감소율이 56.7% 이었다. 종 수와 유사도 지수를 근거로 집괴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GA-SU-DU, DA와 SI의 3집단으로 구분되어졌다.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한 수생식물군락의 교란은 SI와 SU에 분포하는 가시연꽃(Euryale ferox)과 감소추세 종 자라풀을 포함하여 수역전체의 자생종들 특히 수금류의 먹이식물로 이용되는 마름, 나사말, 말즘 등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강원도 동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The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Dong River of Kangwon Province, Korea)

  • 이진환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17-226
    • /
    • 2004
  •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ter quality and to analyze the plank tonic and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at 6 stations in the Dong River and its tributary streams of Kangwon Province from November, 2001 to March, 2002. During the studies,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3.5 to 12.8℃; pH, 6.5-7.9; DO, 9.29-11.36 mg·l^(-1); BOD_5, 0.20-2.38 mg·l^(-1); TN, 1.2842-3.1871 mg·l^(-1); TP, 0.0052-0.0576 mg·l^(-1); and SS, 0.85-9.62 mg·l^(-1). The standard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Kore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 showed the first class except St. 6 through the survey. Six taxa of plank tonic phytoplankton identified were poor flora in November, 2001. The representative species frequently observed were the diatom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minutissima, Cymbella minuta, Cymbella parv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onstruens, Gomphonema pervulum,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palea., Scenedesmus sp. of green algae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Monthly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Achnanthes lanceolata and A. minutissima in both February and March, 2002, but the blue-green algae, Oscillatoria sp. and the diatom, Stephan discus hantzschii were predominant at some stations in March.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9.84 ${\times}$ 10$^3$ to 3.56 ${\times}$ 10$^4$ cell·l$^{-1}$ in November and 1.68-2.99 ${\times}$ 10$^5$ cell·l$^{-1}$ in February, while it changed 4.52-8.01 ${\times}$ 10$^5$ cell·l$^{-1}$ at St. 1, 2, 3 and 1.03-1.71 ${\times}$ 10$^6$ cell·l$^{-1}$ at St. 4, 5, 6 in March.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was composed of 38 taxa in November, 31 taxa in February and 23 taxa in March. It showed a contrary tendency to planktonic phytoplankton diversity. Benthic diatoms which were more than 25% of the total populations were Cymbella turgida, Diatoma vulgare, Cocconeis placentula, Navicula cryptocephala var. intermedia in November; Achnanthe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 Achnanthes minutissima in February; and Achnanthes lanceolata and Cyclotella meneghiniana in March.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 조건과의 관계 (Occurrence of Streamside Flora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dition at Ansungchon Creek)

  • 안영희;송종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73-582
    • /
    • 2003
  • According to the survey map, the altitudes of up and down the Ansungchon were 242m and 49m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river was 4m at upperstream and became wider, lam at midstream and 114m at downstream. Water pH of the Ansungchon was measured variously in the range of 6.0-7.9 according to the surveyed times and areas. The water pH measured during June through August decreased continually and suddenly increased at the end of October. Phragmites iaponica, a major species of the fresh water emergent anchored hydrophytes, was surveyed mostly in the area of upperstream,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Typha orientalis were surveyed in the areas of midstream and downstream, and Zizania latifolia was found in all areas of the river. The total of 101 taxa dividing into 32 families, 71 genera, 88 species, and 13 varieties have been inhabited in these areas. Among the inhabited plants, Poaceae was 21.8%, which appeared in the highest percent. Compositae was 20.8%, and Polygonaceae was 11.9%. In the surveyed areas, herbaceous plants were 95.1% and mostly occupied, and woody plants were 4.9%. Among the herbaceous plants, perennial plants were 52.5%, and annual and biannual plants were 28.7% and 13.9% accordingly. Naturalized plants dividing into 8 families and 18 genera have been found in the surveyed areas. The number of the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from upperstream to downstream as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became worse. Only 2.5% of the total naturalized plants were appeared in up, 17.7% in midstream, and 28.6% in downstream. Shannon-Weiner's index for the degree of diversity was 2.898-3.666 in the area of upperstream, but 3.708-4.135 in downstream, which was little higher.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 남한강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Vegetation for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eams - The Case of the Namhan River -)

  • 명현;권상준;김창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8-106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 river model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ecosystem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long the urban rivers on the basin of the Namhanl river, a core life channel for the National Capital regin. The revelation of botanical status, transition trend and correlation of plants might lead to providing the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ecological river formation projects with basic data for a model of ideal aquatic ecology and landscap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plant communities of river flora found o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could be categorized largely into 39 plant communities 2. Most diverse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rivers lower reaches such as Unsim-ri where the protected zone of Paldang reservoir for city water borders the body of Jodae swamp where natural streams flow nearby. 3.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the biomass of the River Namhan is that the communities of such invasive alien plants a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ominate most parts of the area, a fact that has resulted in a reduced variety of plants and will, sooner or later, be likely to cause an ecological imbalance in the hitherto healthy Aquatic plant life. It is highly advisable to gradually diversify the species of trees and to return the plants bark to their original state since, besides the naturalized plants, plantations afforested with Erigeron canadensis and Erigeron annuus stocks in buckwheat field, Robinia Pseudo-accacia in riverside forest, Pinus rigida in terrestrial forest on the river basin and Larix leptolepis are anticipated to act as interceptors of normal migrations of the fluvial and terrestrial ecosystems. Finally, it seems also desirable to continu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vial and terrestrial ecologies with the purpose of building up a model of natural stream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surveyed factors for plant life, soil and landscape and, moreover, on the forecasting for overall influences derived from the rotation upon the ecosystem.

숨은물뱅듸 습지(제주도)의 식물 다양성 (Flora of Sumeunmulbaengdui wetland in Jeju-do, Korea)

  • 고성철;손동찬;박범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2-232
    • /
    • 2014
  •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숨은물뱅듸 습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2010월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계절별로 총 9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숨은물뱅듸 습지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69과 148속 202종 2아종 27변종 5품종의 총 2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을 생활형에 따라 구분하면 대형지상식물 37분류군, 소형지상식물 26분류군, 착생식물 2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84분류군, 지중식물 33분류군, 수생식물 21분류군, 일년생식물 3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분류군이 각각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분류군, 4등급 7분류군, 3등급 12분류군, 2등급 8분류군, 그리고 1등급 13분류군의 총 43분류군이, 귀화식물은 붉은서나물과 서양민들레 2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다. 숨은물뱅듸 습지는 제주도 내 람사르 습지들과 비교해 볼 때 습지의 규모가 크고, 종 다양성이 우수하여, 식물학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보호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우포늪의 교란된 제방에서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와 1차생산 (Seasonal Change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Primary Production in the Disturbed Banks of the Upo Wetland)

  • 강은영;김태근;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1-70
    • /
    • 2009
  • 우포늪의 제방 보강공사로 식생이 교란된 대대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구조물을 설치한 지역과 설치하지 않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 및 1차생산량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8 종류로 구조물 지역과 비구조물 지역에서 각각 72 종류 및 75 종류가 각각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 종류, 습생식물 33 종류, 중생식물 42 종류 등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0종으로 전체의 25.6%로서 구조물 지역 17 종류(23.6%) 및 비구조물 지역 18 종류(24.0%)로 두 지역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구조물 지역은 쇠뜨기가, 비구조물 지역은 토끼풀이 각각 우점하는데, 두 지역 모두 개망초, 환삼덩굴, 자운영, 돼지풀 등 귀화식물의 중요치가 비교적 높았다. 종다양성지수는 1.010~1.450으로 구조물 지역 및 비구조물 지역 모두 10월에 높고 3월에 가장 낮았으며, 조사기간 중 비구조물 지역이 구조물 지역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 지역간의 군집유사도는 0.359~0.456으로서 3월에 가장 낮고 식물의 최대 번성기인 8월에 가장 높았다. 구조물 지역에서 관속식물의 단위면적당 순1차생산량은 $417.1\;g/m^2$로서 갈대 179.5, 달맞이꽃 84.0, 물억새 $66.1\;g/m^2$ 등의 순이었으며, 비구조물 지역의 순1차생산량은 $392.7\;g/m^2$로서 망초 102.5, 물억새 87.4, 갈대 $81.6\;g/m^2$ 등의 순이었다.

  • PDF

유구천(충남, 공주)의 식물 분포 현황분석 (The Analysis of the Plant Distributional Pattern in Yugu Stream (Gongju, Chungnam))

  • 문애라;이율경;박정미;장창기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07-120
    • /
    • 2012
  • 본 조사는 유구천의 수생식물과 수변계류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포함하여, 2009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7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7개 지점의 조사를 통해 유구천의 관속식물은 88과 229속 290종 3아종 30변종 5품종 3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내의 한국 특산식물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Pursh), 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창포 (Acorus calamus L)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III~V등급종은 V등급종이 2분류군, IV등급종이 2분류군, III등급종이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10개과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목록 중 약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구천은 마을이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도로나 농경지 등에 따라 인간의 간섭이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귀화식물의 유입도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조사지점별 식물들의 집괴분석과 좌표 결정분석 결과 유구천 본류형, 소하천형, 저수지형 등 3개 모둠으로 구별되었다.

조성 후 15년이 경과한 인공습지의 식물상과 식생구조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in a 15-Year-Old Artificial Wetland)

  • 손덕주;이효혜미;이은주;조강현;권동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54-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총 면적 $3,000m^2$ 인 수질정화용 인공습지에서 조성 15년 후의 식물상과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이곳 인공습지에서는 총 93종의 식물종이 출현하였고, 절대습지식물과 임의습지식물의 비율이 40%, 절대육상식물과 임의육상식물의 비율은 57%로 나타나 천이에 의하여 인공습지가 점차 육상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천이 선구자 종인 1, 2년생 식물보다 다년생 식물의 종수 비율이 높아졌다.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 습지 군집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환경요인은 수심이었다. 군집별 종다양성은 노랑꽃창포 군집, 벌개미취 군집 등의 육상화된 군집에서 높았다. 식물 군집별 습지지수는 벌개미취 군집은 육상, 삿갓사초 및 노랑꽃창포 군집은 임의습지, 노랑어리연꽃, 수련, 갈대, 새우가래 및 애기부들 군집은 절대습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공습지에서는 천이에 의하여 식물 군집의 육상화가 진행되므로 퇴적과 수문 체계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습지식생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