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r heat flux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겨울철 난방시 탑상형 아파트 구조체의 축·방열 특성에 대한 현장측정 연구 (A Field Measurement Study on Heat Storage/Emission Characteristics of Tower Type Apartment Structures in Winter Season)

  • 장현재;조근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90-195
    • /
    • 2012
  • In this study, as a complementary study of the former study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a tower type apartment house at tropical nights, a field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winter season. Mainly,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and heat emission in apartment structures,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As results, indoor air temperature was changed in the range of $22.5^{\circ}C{\pm}1.0^{\circ}C$, and followed not the change of outdoor air temperature but the changed pattern of floor surface temperature. Wall surface temperature was unresponsive to the change of floor surface temperature compared with the change of indoor air temperature because wall structure was composed of concrete which has large heat capacity, and was changed in the range of $22.3^{\circ}C{\pm}0.6^{\circ}C$. Heat was stored continuously into the structures of wall and ceiling through the measurement term. and this means that a large heat capacity of the apartment structure acts as a disadvantage in winter season, too. As a total review of the study with the former study, a large heat capacity of the apartment structure acts against indoor thermal comfort in winter season as well as in summer season.

건축물 화재시 개구분출화염으로 인한 상층부로의 화재확대 위험성평가 방법 구축 (Establishment of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Fire Spread to the Upper Floors due to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in the Building Fires)

  • 신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6-217
    • /
    • 2020
  • As the fire inside the building grows rapidly,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occurs due to flashover. As a result,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flame spreads to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rapidly expands to the upper floor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re in the Daebong Green Apartment, Uijeongbu in 2015, it was a case where the flame spread to adjacent buildings due to the opening eruption flame from the first ignited building, causing great damage to three a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international standard under development that estimates the shape and properties of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and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radiant heat flux received by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by assuming the occurrence of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 PDF

창덕궁 낙선재 외피 열류량 실측을 통한 열관류율 산정 및 열 성능 해석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Heat Flux Measurement at Nakseonjae in Changdeokgung)

  • 김민휘;김진효;권오현;한욱;정재원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0-19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K-value) of exterior wall, floor, and roof of Nakseonjae, a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via field measurement of transient heat flow and temperature difference across each envelope component. Heat flow sensors and T-type thermocouple were attached o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surface of each building component, and real-time measuremen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three consecutive summer days. The K-values determined in this research showed good agreement with other results from open literature. Peak and annual thermal load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 estimated by a commercial energy simulation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for a current apartment house. The traditional house showed lower annual cooling load than that of the current building. It ma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building has less air-tight envelopes and no fenestration passing direct solar radiation into the space.

  • PDF

폼 분무 노즐 방사 분포 및 폼의 열적 특성 연구 (Thermal Characteristics of Foams and Discharge of Fire-Protection Foam Spray Nozzle)

  • 김홍식;김윤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9권1호
    • /
    • pp.151-158
    • /
    • 2005
  • A characteristic of discharge for a foam spray nozzle with various parameters was investigated. The discharge patterns from a fire foam spray nozzle are important to evenly spray over a maximum possible floor area. Two parameters of a foam spray nozzle were chosen, and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one. Also,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ischarged foam agents used to protect structures from heat and fire damages,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fire-protection foam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 simple repeatable test for fire-protection foams subjected to fire radiation was developed. This test involves foam generation equipment, a fire source for heat generation, and data acquisition techniques. Results show that the bubble size of foam is increased by large inside diameter of orifice or closed air hole, but phenomenon of discharge angle and expansion ratio is opposite. For the case of the open air hole, liquid film of a circular cone discharges with formation, growth, split and fine grain. In case of the closed air hole, a pillar of foam solution discharges with that. Though the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oam increases with increased foam expansion ratio. it is not change with increased intensity of heat flux.

난방 온실의 지중열 교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Heat Exchange in Heating Greenhouses)

  • 신현호;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8-223
    • /
    • 2016
  • 온실의 난방부하 중 지중전열부하는 산정방법이나 적용여부가 제각각이고, 온실의 규모에 따라 각각의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시설의 난방부하 산정방법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와 규모가 다른 3개의 연동 플라스틱 온실에서 난방기간 동안 지온분포와 토양열류를 실측하였으며,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고 난방설계에 필요한 기준자료를 도출하였다. 난방중인 온실의 지온분포를 실측하여 실내기온과 비교한 결과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높고, 온실의 끝부분과 모서리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중열이 공급되고, 온실의 측면 부분에서는 외주부를 통해서 열손실이 발생하며, 온실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의 외주부를 통한 열손실 개념을 도입하고, 온실의 규모를 반영하여 수정한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토양열류센서를 이용하여 실측한 지중전열량은 실내외 기온차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중전열량 분석 결과로부터 지중전열의 방향이 바뀌는 기준온도차를 도출하였으며, 국내 온실의 난방설계에서 대규모 온실은 $10^{\circ}C$ 내외, 소규모 온실은 $12.5{\sim}15^{\circ}C$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중열류 실측 결과로부터 온실의 외주부 단위길이당 열손실계수를 도출하였으며, 대규모 온실은 $7.5{\sim}10W{\cdot}m^{-1}{\cdot}K^{-1}$, 소규모 온실은 $2.5{\sim}5.0W{\cdot}m^{-1}{\cdot}K^{-1}$를 설계기준 자료로 제안하였다.

CPU 쿨러의 열 및 응력 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t Investigation on the thermal and stress analyses of CPU Cooler)

  • 최계광;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3-1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PU쿨러 모델에서 100℃의 온도 조건을 가하여서 열 및 응력 해석을 하였다. 열유속의 값은 아래쪽 봉 부분에서 가장 많고 전반적으로 위쪽 부분으로 갈수록 열유속이 작아짐을 볼 수 있다. CPU 쿨러 모델의 제일 바닥에 있는 면에서 제일 높음을 알 수 있고 전반적으로 위쪽 부분으로 갈수록 온도는 작아짐을 볼 수 있다. 온도 해석을 기반으로 열팽창으로 인한 열변형은 겹판들의 위부분으로 갈수록 변형량이 작아짐을 알 수 있고, 모델의 아래부분으로 작은 봉의 휘어진 부분에서 변형량이 많이 발생하고 모델 맨 아래의 바닥면에서는 변형량이 가장 작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열응력은 아래의 바닥면에서 570.63 MPa의 최대 열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겹판들의 위부분으로 갈수록 응력이 작아짐을 알 수 있으나, 모델의 중앙부분에서는 그 응력이 다소 높아짐음을 볼 수 있다. CPU 쿨러의 열 및 응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적용함으로서, 본 연구가 미적인 융합에 적합된다고 보인다.

화재실 화재에서 바닥면의 열유속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Flux on the Floor in a Compartment Fire)

  • 김성찬;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231-234
    • /
    • 2010
  • 본 연구는 화재조건에 따른 화재실 바닥면에서의 열유속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ISO-9705 표준화재실의 40% 축소모형공간에 대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하고 화재성상에 따른 열유속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다. 또한 모형실험에서 계측된 열유속을 Scaling Law를 적용하여 실규모 크기의 결과로 환산하고 이를 기존의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화재발생으로 인한 공간내 열유속의 축소법칙의 적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연료는 천연가스, 메탄올, 에탄올, 헵탄, 톨로엔, 폴리스틸렌등이며 모형실험의 최대발열량은 450 kW 정도로 실규모로 환산시 약 4.4 MW이다. 실험결과 화재실바닥면의 열유속은 연층의 온도와 연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측정위치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Scaling Law를 적용한 결과 화재실 상층부 온도가 약 $500{\sim}600^{\circ}C$ 정도에서 바닥면의 열유속은 약 $20kW/m^2$ 정도로 기존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화재공간 내 열유속 측정을 통해 전실화재로의 화재성장을 파악하고 화재실내부의 열적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nvi-Met.을 이용한 도심 대기경계층 내 확산장 변화 수치 모의 (Diffusion Simulation Using Envi-Met. in Urban Planetary Boundary Layer)

  • 최현정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7-371
    • /
    • 2016
  • Buildings in the city acts as a cause of distorted wind direction, wind speed, causing the stagnation of the air flow. In the recent trend of climate change can not but consider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rbanization.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thermal comfort of planetary boundary layer in different artificial constructions areas which has a direct impact on urban climate, and estimating the warming phenomena. Envi-met model was used to consider the urban structure associated with urban growth in order to precisely determine the impact of the building on the city weather condition. The analyzed values of thermal comfort index were temperature, wind speed, horizontal and vertical turbulent diffusivity. In particular, analysis of the PPD(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 represents the human thermal comfort. In this stud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and proportion of the top floor building in the urban it was found that the inflow of the fresh air and cooling can be derived low PPD. Vertical heat flux amount of the city caused by climate change was a factor to form a high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city and the accumulation of cold air does not appear near the surface. Based on this, to make the city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may require a long-term restructuring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density management.

팬의 운전조건에 따른 종류식환기터널 내의 연기거동에 관한 전산유체역학연구 (Flow and smoke behavior of a longitudinal ventilation tunnel with various velocitie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이주희;권영진;김동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5-115
    • /
    • 2014
  • 터널내의 연기거동 및 대피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더욱 길어지고 있는 장대터널의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온도 분포와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치적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계산에 사용되는 컴퓨터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델로 선정한 터널의 전체길이인 3 km을 사용하는 대신 여러 개의 대피터널이 포함되는 1.5 km만을 해석영역으로 사용하였다. 터널내의 연기거동에 의한 대피자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기의 밀도에 의한 기시도와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고려한 SE (smoke environment)값을 사용하였다. 공기 중에 포함된 연기의 밀도는 3차원 전산유체역학을 통하여 구하였다. 이러한 연기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분포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터널 벽면을 단열 혹은 일정한 열유속(heat flux) 가정을 사용하는 대신 1차원 열전도(heat conduction)방정식을 이용하여 터널벽면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대피터널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피자의 안전성은 높아지겠지만 상대적으로 건설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대피터널의 길이는 250 m로 하였으며 화재 시 제연팬의 운전 조건을 3가지 (팬이 가동되지 않는 조건, 임계풍속이하조건, 임계풍속이상조건)로 나누어 연기의 거동과 온도분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시간부터 플래쉬오버가 발생한 시간까지의 연기의 거동과 대피자의 상황을 SE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발열체가 존재하는 개방된 정사각형공간에서 표면복사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Radi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an Open Cavity with a Heat Source)

  • 남평우;박명식;박찬우
    • 태양에너지
    • /
    • 제12권3호
    • /
    • pp.70-8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개방된 정사각형 공간안에 일정한 열유속을 방출하는 발열체가 존재할 때, 부력과 표면복사를 고려한 혼합대류특성을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입구를 통해 유체가 흘러들어와서 다시 유출구로 나가는 정사각형공간은 공냉식 전자장비를 모사한 것이다. 이러한 공간안에 존재하는 발연체는 전자칩과 같은 발열성 전자부품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모델의 크기는 높이 X 넓이가 $0.1[m]{\times}0.1[m]$이며 공간내부는 2차원 층류유동으로 간주하였다. 공기의 유입속도는 0.07[m/s]이고, 유입온도는 $27^{\circ}C$이며, 유입구의 위치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주요 변수로는 발열체의 열유속, 유출구의 위치, 발열체의 위치, 그리고 벽면이 방사율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어지는 찬공기와 발열체에 의해서 부력의 상승하는 뜨거운 공기의 혼합에 의한 유동특성 및 열전달특성을 복사를 고려하여 고찰하였다. 결과로써 가장 열전달이 활발한 발열체의 위치는 바닥의 좌측벽으로부터 0.075[m]일때이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적으로 전자부품 같은 것의 효율적인 냉각목적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