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a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합성세제의 생태독성 평가 (Ecotoxicological Evaluation of Synthetic Surfactant)

  • 최병기;홍사욱;한상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9권3_4호
    • /
    • pp.91-101
    • /
    • 1994
  • In order to evaluate the ecotoxicological harzardousness of synthetic surfactants on Han river, Jung-ryang and Jin-Wi stream, we used the Ecotoxicological Risk Quotient (ERQ). The chemical harzardousness is evaluated by the balance of the toxicity and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Then, ERQ is defined as follows; ERQ = - log (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 Effective concentration in the test ) ERQ of chemical is a logtrighmic value of ratio of a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toxicity in the laboratory. In case of small ERQ, tie chemical harzardousness is high. If ERQ equals O, the same biological effect as in the laboratory test will be observed in the enviromment by the chemicals. ERQ values of the chemicals were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concentration in water environment which were cited from the annual report by our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C$_{50}$ of Daphnia magna (water flea; acute immobilization test) LC$_{50}$ of Oryzias latipes (fish; acue toxicity test) and EC$_{50}$ of chlorella vulgaris (alga; growth inhibition test), which were taken from the annual report of "Chemical in environment" by Japan EA. Liner alkylbenzene sulfonate (determined to MBAS) showed the high average values with more than 2.0 to three species in Han river and Jin-wi stream, and these results mean to be favorable to environmental safety. The areas of Jung-ryang stream were polluted, as the average values of ERQ were less than 2.0 with equal to three species,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herefore, they must be inspected again because their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may have changed during that period. The chemical harzardousness can be numerated with ERQ, and it can be a help to find the chemicals that should be kept under observation and to see whether the chemical pollution is improved or worsened. The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and toxicity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 use of ERQ.se of ERQ.

  • PDF

Toxicity Assessment of Titanium (IV) Oxide Nanoparticles Using Daphnia magna (Water Flea)

  • Bang, Seung-Hyuck;Le, Thai-Hoang;Lee, Sung-Kyu;Kim, Pil;Kim, Jong-Soo;Min, Ji-H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3.1-3.6
    • /
    • 2011
  • Objectives: Titanium dioxide ($TiO_2$), a common nanoparticle widely used in industrial production, is one of nano-sized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TiO_2$ using different size and various concentrations on Daphnia magna. Methods: In the acute toxicity test, four concentrations (0, 0.5, 4, and 8 mM) for $TiO_2$ with 250 or 500 nm and five concentrations (0, 0.25, 0.5, 0.75, and 1 mM) for $TiO_2$ with 21 nm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toxic effect to three groups of ten daphnia neonates over 96 hours. In addi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toxicity, chronic toxicity was examined over 21 days using 0, 1, and 10 mM for each type of $TiO_2$.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all organisms died before the reproduction time at a concentration of 10 mM of $TiO_2$. In addition, the exposure of anatase (21 nm) particles were more toxic to D. magna, comparing with that of anatase (250 nm) and rutile (500 nm) particles.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d that $TiO_2$ had adverse impacts on the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on of D. magna after the 21days exposure. In addition, the number of test organisms that were able to reproduce neonates gradually were reduced as the size of $TiO_2$ tested was decreased.

다양한 시험생물종을 이용한 산업폐수 생태독성 평가 및 원인물질 탐색 (Ecotoxicity Test of Wastewater by a Battery of Bioassay an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 류태권;조재구;김경태;양창용;정기은;윤준헌;최경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207-214
    • /
    • 2010
  • Toxicit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dustrial effluent on the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measure the potential and real toxicity of mixed chemicals in the effluents, the biological method (i.e., WET test) should be used as well as chemical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WET test for various kinds of industrial effluents using aquatic organisms such as water flea (Daphnia magna), algae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fish (Oryzias latipes, Danio rerio), and microorganism (Vibrio fisheri). In addition, we carried out chemical analysis and TIE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for efflu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stances causing toxicity. Among the 30 kinds of wastewater, S13 showed the highest eco-toxicity and $Ca^{2+}$ and $Cl^-$ ion were suspected as major compounds causing toxicity for aquatic organisms. In order to confirm these suspected compounds, various confirmation procedures need to be carried out.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를 위한 물벼룩 감시장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Daphnia magna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Ecotoxicity Assessment)

  • 이장훈;고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물벼룩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생태독성 기준 1 TU(Toxic Unit)에 해당하는 물벼룩 감시장치의 TI(Toxic Index)값을 설정하고 NOEC와 $EC_{50}$에서 물벼룩 감시장치를 운영하였을 때 적절히 경보가 발령되어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가 가능한 지 타진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국 내외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선행연구를 하였고 인공 하천수를 대상으로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에서 권고하는 59개 유해물질 중 6개(As, Hg, Cr, Diazinon, Dioxane, Phenol) 물질을 채택하여 지수식과 유수식 그리고 정도관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NOEC 유수식 시험에서 Diazinon을 제외한 다른 물질들은 TI가 양호단계로 나타났고 $EC_{50}$ Spiking test에서 1 TU 이상과 1 TU 이하를 구분하여 TI는 TU에 상응하게 경보를 발령했다. 본 연구결과는 생태독성관리제도의 보완점을 생각하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하나의 메시지가 된다.

한국산 물벼룩 표준생태독성시험법 확립을 위한 10종 용매대조물질에 대한 독성반응 비교 (Comparison of Toxic Response of Cladocerans to Organic Solvents to Establish the Standard Test Guidelines Using Korean Native Species)

  • 김병석;박연기;양유정;홍순성;박경훈;정미혜;김세리;박경훈;예완해;김두호;윤종철;홍무기;경기성;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5
    • /
    • 2010
  •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 Daphnia magna대한 10종 유기용매에 대한 급성독성을 조사하여 독성이 낮으면서도 농약의 용해도가 좋은 유기용매를 시험에 사용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물벼룩에 대해 급성독성이 가장 강한 유기용매는 ethyl acetate로 조사되었으며 DMF, dioxane, isopropanol 3종은 무영향 농도가 EPA에서 급성독성시험에 추천하는 최고 사용농도인 0.5 ml/L 이하로 조사되어 다른 유기용매에 비해 독성이 강하였다. 따라서 독성이 낮으면서 수용해도가 높고 농약원제의 용해성이 좋은 acetone, methanol, ethanol, acetonitrile을 권장 시험용매로 제안한다.

담배 사은품 실크 인서트(Silk Inserts)에 관한 연구와 보존처리 (The Study and Conservation of Woven Cigarette Inserts)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7-45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뉴욕의 플리마켓에서 구입한 매우 흥미로운 퀼트 텍스타일을 관찰함으로서 시작되었다. 흔하지 않은 스타일의 실크 인서트(Silk inserts)들로 구성된 이 퀼트를 본 연구자로 하여금 그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문서기록을 남기며 보존처리하여 텍스타일 역사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관련된 문헌고찰과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J. R. Burdick 콜렉션을 방문하여 퀼트의 패치들이 silk insert라는 분석을 내렸고 Burdick의 연구(제작연대 1910$\∼$1912)에 의문을 갖고 연구자가 조사를 진행하여 이 연구과제에 사용된 silk inserts의 제작연대가 1934년경부터 1939년경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음 단계로는 이 직물의 상태를 분석하였는데, 실크 섬유의 상태가 바느질을 견디지 못하는 상태로 판단해 보존처리 방법으로는 접착제 Elvace 46575(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emulsion)를 Stabiltax에 코팅처리하여 직물을 강화처리하였다. 본 연구는 문서처리 되지 않은 미확인 직물의 역사적 의미 발견과 보존처리를 통해 후대의 텍스타일 연구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담수 물벼룩 Daphnia magna의 자외선 B 적응이 자외선과 중금속의 동시노출에 따른 독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violet-B Radiation Acclimation to Fresh Water Daphnia magna Simultaneously Exposed to Several Heavy Metals and UV-B Radiation)

  • 김정곤;이민정;오소린;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3-131
    • /
    • 2007
  • Many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cluding several metal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harmaceuticals, have been identified to be phototoxic in the water environment. Concerns regarding photo-enhancement of toxicity of several environmental contaminants have been increasing because of the increased level of ultraviolet irradiation on the earth surface. However, there exist arguments that there might be certain defense mechanisms taking place in the aquatic ecosystem, which may includ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r genetic acclim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tential responses of aquatic receptors to several phototoxic metals in the real environment, where long-term acclimation of such organisms to low dose UV-B may take place. For this purpose, water flea Daphnia magna was acclimated to environmentally relevant dose of UV-B (12 to $18uW/cm^2$) for >11 generations.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and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responses were evaluated. Acclimation did not affect the daphnids' growth, longevity, a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to first brood, and brood size: After 21 d, survival of D. magna was not influenced by UV-B acclimation. When the number of young per female was compared. the daphnids acclimated for 11 generations tend to produce less number of neonates than the un-acclimated individuals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Four metals that were reported to be phototoxic elsewhere were employed in this evaluation, that include As, Cd. Cu, and Ni. UV-B level being applied in acclimation did increase the toxicity of Cd and Cu, significantly (p<0.05). However, the toxicities of As and Ni were not affected by irradiation of UV-B. Phototoxic responses were evaluated between the acclimated and the un-acclimated daphnids. For Cu, UV-B acclimation led to reduction of the photo-induced toxicity $(p\approx0.1)$ in daphnids. Non-acclimated Daphnia were affected by 50% at 4.18 ug/l Cu. but UV-B acclimated individuals exhibited $EC_{50}$ of 5.89 ug/l. With Cd, UV-B acclimation appeared to increase phototoxicity (p>0.05). With As and Ni, UV-B acclimation did not influence photo-induced toxicity. This observation may be in part explained by the type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at were generated by each metal. Similar to UV-B light, Cu is known to generate superoxide anion by acting as redox cycling toxicant. This is one of the first studies that employed_laboratory based UV-B acclimated test species for photoenhanced toxicity evaluation.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독성영향평가 (Ecotoxicity Assessment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 김동우;유승호;장순웅;이정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5-11
    • /
    • 2014
  •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이하 구제역침출수)의 생태계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유공관 또는 관측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환경부 기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 항목 중 염소이온($Cl^-$)과 암모니아성질소($NH{_4}{^+}-N$)농도,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안한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인 NRN(Ninhydrin-Reactive Nitrogen)농도를 분석하였고, 생태독성시험은 발광박테리아(V. fischeri), 담수미세녹조류(P. subcapitata), 그리고 물벼룩(D. magna)을 생물종으로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V. fischeri에 대한 독성영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도가 높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기준 인자를 도출하였고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반수독성을 유발하는 지표항목의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생태독성영향과 구제역침출수의 수계유출관리법과의 연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 의한 생태계 위해성을 평가하고 향후 관리 기준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비티플러스 살충제의 모기 방제 효과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Mosquito Control Efficacy of a BtPlus Insecticide and Its Safety Assessment to Aquatic Environment)

  • 박영진;유성민;권보원;박찬;김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8
    • /
    • 2016
  • 비티플러스는 Bacillus thurigiensis와 면역억제가 혼합된 생물농약의 총칭이다. 본 연구는 모기류에 살충력이 높은 새로운 비티플러스 생물농약에 대해서 야외포장 조건에서 약효와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관해 수행되었다. 모기 유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를 위해 두 가지 살포 처리에 따라 비티플러스의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티플러스의 공중살포 ($3.3m^2$ 당 100 mL)에 따른 수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서는 최소 50%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가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논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의 간이모형 조건에서 비티플러스를 수중살포한 경우 모기유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방제효과는 0.1%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나타냈고, 0.2% 처리에서는 완전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충에 비해서는 다소 낮지만 10% 설탕물에 포함된 0.1%의 비티플러스는 성충에 대해서도 4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서는 잉어 (Cyprinus carpio), 큰물벼룩(Daphnia magna), 꿀벌(Apis mellifera)을 대상으로 비티플러스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급성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생태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방제에 비티플러스의 수중살포 처리가 유효한 방제 처리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청소년의 윤리적 소비 교육 경험과 윤리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olescents'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 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1-208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윤리적 소비교육의 실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중고등학생 587명을 대상으로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윤리적 소비 교육 경험과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 교육 경험들이 대체적으로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이 중 학교소비자교육에 대한 교육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윤리적 소비행동 영역에서는 녹색소비를 중심으로 한 미래세대를 위한 소비자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교 프로그램에서는 행사 및 봉사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회 프로그램에서는 벼룩시장 참여를 통해 윤리적 소비를 많이 접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접촉 빈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행동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으므로, 윤리적 소비 교육이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특히 동시대 인류를 위한 소비 교육이 더 요구되어진다. 넷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성인 경우, 가정소비자교육과 학교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학년이 저학년일수록 더욱 윤리적인 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윤리적 소비교육의 중요성이 나타나므로, 서로 연계하여 청소년 스스로 경험을 통해 터득할 수 있도록 실생활과 연관된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