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noi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4초

찔레꽃(Rosa multiflora) 추출물과 Ascorbic Acid 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Through the Synergistic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and Ascorbic Acid)

  • 범석현;권현지;현진아;강은빈;박하은;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3-340
    • /
    • 2021
  • 본 연구에서 찔레꽃을 추출, 농축 및 동결 등을 통하여 시료화 하였다.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복합물과 단일 ascorbic acid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환원력, FRAP,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공여능 실험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복합물이 대조군(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실험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RMW+A (272.1 mg QE/g), RME+A (90.6 mg QE/g), RMW+A (79.4 mg QE/g)이 대조군(19.0 mg QE/g)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따라서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 복합물은 단독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따라서 이 복합물은 항산화 화장품에 사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화 및 피부노화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라비올라잎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Graviola Leaves)

  • 최종화;옥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9-135
    • /
    • 2017
  • 본 연구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높은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그라비올라 잎을 열수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 소거능과 MTT assay 세포 독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라비올라 잎 분말 300 g을 사용하여 $98^{\circ}C$ 온도에서 열수 추출물 62.3 g을 얻었으며 그라비올라잎 1 mg/mL 추출물 내에 총 폴리페놀 함량은 $291.92{\pm}2.39{\mu}g/mL$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1{\pm}7.85{\mu}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1, 2.5, 5, 10 및 15 mg/mL에서 51.6%, 67.8%, 79%, 82.4% 및 83.9%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의미 있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 HDF)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50 mg/ml 농도에서 대조군과 같은 10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적은 농도에서는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 성분 개발에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