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earth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8초

지구의 모양, 색깔, 중력에 대한 3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The Preconceptions about Shape, Color and Gravity of the Earth in the Third Grade Students)

  • 강인숙;정진우;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31-4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선개념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30명의 학생들을 면담하였고, 학생들은 그리기 활동을 포함한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의 모양에 대해 구형의 지구와 편평한 지구의 이중 개념을 갖고 있는 단 한명의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지구의 모양을 구형으로 답하였다. 지구의 색깔은 바다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일 것이라고 답하는 한편, 대륙으로 인해 갈색보다 주로 초록색으로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지구의 중력에 대한 문항에서 약 43%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표출하였다.

  • PDF

모래지반에서 벽체의 변위에 따른 수동측토압 산정 (Estimation of Mobilized Passive Earth Pressure Depending on Wall Movement in Sand)

  • 김태오;박이근;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51-60
    • /
    • 2020
  • 횡방향의 토압에 저항하는 앵커블록, 흙막이 가설벽체, 레이커 지지블록 등에서 수동토압 산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실무에서는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파괴면을 직선으로 가정한 Coulomb과 Rankine의 이론을 사용하여 토압을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 발생하는 수동파괴면은 벽면과 지반의 마찰로 인하여 벽체부근에서는 곡면이고 지표부근에서는 평면이 되는 복합파괴면을 형성한다. 흙막이 구조물의 안정검토에서 저항력으로 산정되는 수동토압이 발생되는 변위는 주동토압이 발생되는 주동변위 보다 커 대부분 구조물의 안정성을 초과하는 변위가 발생하여야 수동토압의 저항력이 발휘되므로 수동토압을 설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허용변위 이내의 임의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측토압의 산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파괴면을 반영한 한계변위 내의 임의 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측토압을 산정할 수 있는 반경험식을 활용하여 벽체의 세 가지 거동조건에 따라 임의 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토압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순천만 갯벌 DEM 제작 (DEM Generation of Tidal Flat in Suncheon Bay Using Digital Aerial Images)

  • 안기원;이효성;김덕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1-420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 항공사진으로부터 세계적 생태보존 지역인 순천만 갯벌의 퇴적 침식 변화를 탐지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DEM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기준점으로 초점거리를 수정하고, 순천만 갯벌영상의 적합한 매칭사이즈를 제시하였으며, 불량매칭으로 인한 과대 위치오차 제거를 위해 교차거리($P_R$) 임계치 적용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지 종단측량 자료를 통해 제안방법으로 제작된 DEM을 기존 상용 S/W로 제작된 DEM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작한 갯벌 DEM이 상용 S/W로 제작한 DEM 보다 해상도와 최대편차(-21cm)가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갯벌 DEM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Flat Dilatometer 현장시험을 통한 점토 지반의 공학적 성질 추정 (Evalu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of Clays Through Flat Dilatometer Tests)

  • 이승래;김윤태;김준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3호
    • /
    • pp.23-36
    • /
    • 1992
  • Flat DMT는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현장시험기구로서 간단하고,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지반의 응력-변형-강도특성을 추정할 수 있으나, 이들 현장시험의 결과들은 지역적 특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준값과 비교하여 많은 연구와 검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안된 상관관계식의 우리나라 점토지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FV 및 CPT의 현장시험을 실시하고, thin-walled tube sampler로 채취된 시료에 대한 비압밀비배수(UU) 실험. oedometer 실험 및 다른 기본적인 물성실험을 수행하여 DMT의 결과들 쏙 비교하였다. 세 장소의 점토지반에서 구한 DMT 결과들로부터 흙의 종류, 단위중량, 정지토 압계수, 과압밀비, 비배수 전단강도 및 변형계수를 추정하였으며 다른 시험결과들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점토 지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조간대(갯벌)에서의 탄성파 탐사: 민어포 지역의 사례 (Seismic Imaging of a Tidal Flat: A Case Study for the Mineopo Area)

  • 주형태;김한준;이광훈;이상훈;정백훈;조현무;장남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3호
    • /
    • pp.197-203
    • /
    • 2008
  • 서해안 민어포 조간대 지역에서 해수면변동과 연관된 갯벌의 퇴적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고해상 천부 육상 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다. 음원으로는 5 kg 무게의 망치를 사용하였으며, 48채널의 100-Hz 지오폰을 이용하여 서로 수직한 두 측선에 대하여 1 m간격으로 총 795 m shot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갯벌 표면이 물에 의해 포화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강성률이 매우 낮아 ground roll의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기록되는 반사신호의 속도가 1500m/s 이상이므로 일반적인 육상 천부탄성파 탐사시에 기록되는 저속도의 잡음과 분리하기가 쉽다. 그 결과 일반적이 육상탐사에 비해 자료의 신호 대 잡음비가 상당히 높고 해상도가 우수한 탄성파 단면을 얻을 수 있었다. 중합단면을 해석해 보면 조사지역의 음향기반 암 상부의 퇴적층은 5 개의 층서로 나뉘어 진다. 지난 빙하기때 침식된 층 위에 홀로세 이후 해수면 상승과 관련하여 형성된 갯벌의 구조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e Tidal Flat Environments an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of Southwest Coast, Korea

  • Oh, Kang-Ho;Kim, Hai-Gyoung;Koh, Yeong-Koo;Youn, Seok-Tai;Kim, Jong-Hee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1-258
    • /
    • 2015
  • Ecosystems of the southwestern tidal flats in Korean peninsula have been seriously injured by human activities. The results are mainly due to the lack of public recognition and education on tidal flats. In particular, thoughtless visitors in tidal flats are giving rise up damages because of non-systematic experience programs to tidal flat ecosystems. Therefore, experience programs friendly to natural tidal flats are necessary as a plan to reserve tidal flats and to enhance the effects of environment education on the flats.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on tidal flats can divide into direct experience, indirect experience and local society works. Direct experience work must undergo tidal flats directly and consider on forming the flats with natural refinement functions. Indirect experience includes deeper knowledge on role, circumstance and ecosystems of the flats on the bases of direct experience on the flats. In addition, local society learning must have the feeling and understanding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local society itself through above two works. Experience activity would be a kind of injuring one to tidal flats. However, appropriately planned experience and education works on tidal flats could be sustainable development to attract desirable human activity on coastal ecosystems.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강을 통한 질산염 유입에 따른 질소순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Nitrogen Loads and Nitrogen Cycling at Tidal Flat Sediments in Nakdong River Estuary)

  • 이지영;권지남;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120-129
    • /
    • 2012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갯벌 퇴적물에서 2005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퇴적물-수층을 통한 산소와 용존 무기질소 플럭스, 그리고 탈질소화율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현장 조건 수온에서 퇴적물 배양을 통해 측정된 산소 플럭스의 범위는 $-37.0{\sim}0.5mmol\;O_2\;m^{-2}\;d^{-1}$이었고, 수온이 증가할수록 퇴적물에 의한 산소소모가 많아져,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탈질소화율은 $4{\sim}2732{\mu}mol\;N\;m^{-2}\;d^{-1}$의 범위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국내 연안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산소 플럭스와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탈질 소화율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Isotope pairing technique에서 계산되는, 총 탈질소화 중 "수층에서 유입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D_w$)"도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이 탈질소화의 계절변동의 원인임을 시사하였다. 여름철에 질산염농도가 높은 담수의 유입 증가가 낙동강 하구 퇴적물로의 질산염 유입과 탈질소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 하구 퇴적물에서 생지화학적 과정의 일반적인 패턴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측정된 여러 생지화학적 플럭스를 방향과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온과 질산염 유입 변화에 따라서 여름철에는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와 질산염 플럭스가 높게 나타나고 탈질소화도 높은 반면,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이들 플럭스가 낮아, 갯벌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과정이 낙동강 담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새만금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성분원소 함량과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omposi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조영길;류상옥;구영경;김주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1호
    • /
    • pp.27-34
    • /
    • 2001
  • 전라북도 서해안의 새만금 조간대에서 채취한 38개 표층퇴적물에서 주성분 원소(Al, Fe, Mg, Ca, Na, K, Ti)와 미량원소(P, Mn, Ba, Sr, V, Cr, Co, Cu, Ni, Zn, Pb)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원소의 함량은 우리나라 타 조간대 퇴적물에서 보고된 값보다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Ba와 Pb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지각물질의 평균함량에 미달하였다. 함량의 변화는 대부분의 원소에서 <20%(${\sigma_x/\overline{x}$)로 비교적 작았으며, 주성분 원소의 Ca와 미량금속의 Ba, Cu 및 Mn이 각각 81%, 62%, 43% 및 33%로 가장 컸다. 공간적으로는 상부조간대에서 함량이 높은 원소와 지역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원소로 구분되었으며 , 이러한 분포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입도와의 관련성이었다. 입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낸 Al, Fe, Mg, Ti, Pi Mn, V, Co, Cr, Cu, Ni 및 Zn의 함량은 조간대의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원소의 분포는 조수 퇴적작용에 따른 퇴적물의 입도 분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입도와의 관련성이 미약한 Ca와 Sr, Na, K, Ba 및 Pb의 분포는 조립한 입도의 퇴적물에 많이 포함된 탄산염 및 규산염 광물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태풍 곤파스 전과 후의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지형과 퇴적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and Sediments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Kompasu i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Korea)

  • 강솔잎;양우헌;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9-162
    • /
    • 2019
  • 서해안 대조차 개방형 연안에서 2010년 태풍 곤파스 전후에 나타난 지형, 표층 퇴적물, 퇴적상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형의 강한 태풍인 곤파스는 2010년 9월 1일과 2일 사이에 한반도 남서부 해안에 상륙하여 내륙을 관통했다. 태풍 전후에 고창 동호리 조간대의 측선을 따라 30 m 간격으로 22개 지점에서 지형을 측량하고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연구 지역을 평균고조면, 평균해수면, 평균저조면을 기준으로 고조대, 중조대, 저조대로 구분하였다. 태풍 전후의 지형 변화는 고조대에서 평균 0.03 m 퇴적, 중조대에서 평균 -0.15 m 침식, 저조대에서 평균 -0.39 m 침식으로 나타났다. 조간대의 태풍 전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사와 중립사로 구성되며, 세립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풍 후 표층 퇴적물은 태풍 전에 비해 평균입도가 세립해졌고, 양호한 분급을 보였다.

비점성토로 뒷채움한 강성옹벽에 작용하는 정적토압 (Static Earth Pressure on Rigid Walls Backfilled by Cohesionless Soils)

  • 정성교;백승훈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1호
    • /
    • pp.69-78
    • /
    • 1993
  • The Coulomb and Rankine theories have been usually used for design of retaining walls, in which the earth pressures have been assumed as a triangular distribution For the rigid retaining w리1 with inclined bacuace and horizontal surface backfilled by cohesionless soils, the analytical method of earth pressure distribution has been newly suggested by using the concept of the flat arch. The active thrust obtained by this method agrees well with those by the existing theories, except the Rankine solution.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the height to the center of pressure depends mainly on the inclination of the back wall and the wall friction, instead of 0.33H, where H is the wall h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