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sh

검색결과 2,449건 처리시간 0.033초

가연성 이성분계 용액인 2-Propanol+Propionic acid 와 n-Hexanol+Formic acid 용액의 밀폐식 인화점의 실험적 결정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Closed Cup Flash Point of Binary Flammable Solutions, 2-Propanol+Propionic acid and n-Hexanol+Formic Acid Solutions)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24
    • /
    • 2015
  • 인화점은 액체 용액의 가장 중요한 인화성 지표 중 하나이다.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의 공기 속 농도가 점화가 발생하기에 충분할 때의 온도 중 가장 낮은 온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이성분계 액체 용액인, 2-propanol+propionic acid 와 n-hexanol+formic acid 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n-hexanol+formic acid 계는 최소 인화점 현상을 보였다. 측정값은 라울의 법칙을 활용한 방법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계산값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계산값이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값 보다 측정값을 잘 모사하였다.

n-Butyl methacrylate(n-BMA)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n-Butyl methacrylate(n-BMA))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47
    • /
    • 2016
  • The combustible properties(flash point, explosion limit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are the important safety items which are considered in the typical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In this study, for the safe handling of n-butyl methacrylate(n-BMA)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the chemical industry, the flash point and the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experimented. And, the lower explosion lim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lower flash point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Setaflash and Pensky-Martens closed-cup testers measured $44^{\circ}C$ and $51^{\circ}C$, respectively.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Tag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s are measured $53^{\circ}C$. The AIT of n-butyl methacrylate by ASTM 659E tester was measured as $295^{\circ}C$. The lower explosion limit by the measured flash point $44^{\circ}C$ was calculated as 0.85 vol.%. It was possible to predict lower explosion limit by using the experimental flash point or flash point in the literature.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정규파일 접근 (Regular File Access of Embedded System Using Flash Memory as a Storage)

  • 이은주;박현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1권1호
    • /
    • pp.189-200
    • /
    • 2004
  • Recently Flash Memory which is small and low-powered is widely used as a storage of embedded system, because an embedded system requests portability and a fast response. To resolve a difference of access time between a storage and RAM, Linux is using disk caching which copies a part of file on disk into RAM. It is not also an exception on embedded system. A READ access-time of flash memory is similar to RAMs. So, when a process on an embedded system reads data, it is similar to the time to access cached data in RAM and to access directly data on a flash memory. On the embedded system using limited memory, using a disk cache is that wastes much time and memory spaces to manage it and can not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a flash memory. This paper proposes the regular file access of limited using a page cache in the file system based on a flash memor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a flash memory. The proposed algorithm minimizes power consumption because access numbers of the RAM are reduced and doesn't waste a memory space because it accesses directly to a flash memory Therefor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ystem applying the proposed algorithm is expected.

  • PDF

플래시 TAG Frequency를 이용한 악성 플래시 탐지 기술 (Flash Malware Detection Method by Using Flash Tag Frequency)

  • 정욱현;김상원;최상용;노봉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5
  • 다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에 존재하는 원격권한 획득이 가능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플래시 플레이어는 브라우저, 오피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되고 있어,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ActionScript에 대한 사전 분석된 특성을 이용해 탐지하기 때문에 신종/변종 탐지에 한계가 있다. 한계점의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전 분석된 특성을 사용하지 않고 플래시의 Tag빈도를 기계학습을 적용해 악성/정상 플래시에 대한 분류방법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신종/변종 악성 플래시를 효과적으로 탐지 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 PDF

복구 성능 향상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 관리 기법 (A Flash Memory Manage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Recovery Performance)

  • 박송화;이정훈;조성우;김상현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5-243
    • /
    • 2018
  • NAND flash memory has been widely used for embedded systems as storage device and the flash memory file systems such as JFFS2, YAFFS/YAFFS2 have been adopted by these embedded systems. The flash memory file systems provide the high performanc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lash memory. However, these file systems don't solve the slow mount time problem when a sudden power failure happen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lash memory manage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recovery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manages the flash memory block type and stores the block type information at recovery image block. When file operations are occurred, our method stores the file information at the metadata block before and after the file operation. When mounting the flash memory, our method only scans the recovery image blocks and metadata blocks.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mount time by seeking the metadata block locations fast by using the recovery image blocks. We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 and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reduces the mount time 13 ~ 46 % compared with YAFFS2.

ATA 버스 방식을 위한 Flash Memory Drive 개발 (Development of a Flash Memory Drive for ATA bus)

  • 강경식;장문기;황연범;정남모;박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47-5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하드디스크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인 Flash Memory를 이용한 ATA 버스 방식의 Flash Memory Drive를 설계 및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하드디스크의 경우, 외부의 충격에 비교적 민감하며 이로 인해 데이터의 손상이나 디스크의 오류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내부적인 구조로 인하여 구동 시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며 경량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인 Flash Memory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를 제작하게 되면 소전류로도 구동이 가능하며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외부의 충격에 강하므로 자동차, 선박, 산업용과 더불어 군사용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폴트 삽입 테스트를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프트웨어의 강건성 분석 (Robustness Analysis of Flash Memory Software using Fault Injection Tests)

  • 이동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4호
    • /
    • pp.305-311
    • /
    • 2005
  • 휴대전화와 PDA 등에서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소프트웨어는 돌발적인 전원 중단이나 기록매체 폴트에 대처하기 위하여 충분히 테스트되어야 한다 이러한 테스트를 위하여, 폴트 삽입 기능을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에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폴트 삽입을 통한 테스트 기법은 FTL(Flash Translation Layer)과 플래시 메모리 기반 파일 시스템의 폴트 회복 기법을 설계하고 폴트로 인한 피해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에서 관찰되는 폴트의 유형과 플래시 메모리 에뮬레이터에서 구현된 폴트 삽입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폴트 삽입 테스트 과정에서 밝혀진 디자인 결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도입된 기능이 신뢰성을 향상하기 보다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FTL과 파일 시스템의 "폴트 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The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2,2,4-Trimethylpentane, Methylcyclohexane, Ethylbenzene and p-xylene at 101.3 kPa

  • Hwang, In Chan;In, Se Jin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279-285
    • /
    • 2020
  • Laboratories and industrial processes typically involve the use of flammable substances. An important property used to estimate fire and explosion risk for a flammable liquid is the flash point. In this study, flash point data at 101.3 kPa were determined using a SETA closed cup flash point tester on the following solvent mixtures: {2,2,4-trimethylpentane + methylcyclohexane}, {2,2,4-trimethylpentane + ethylbenzene}, and {2,2,4-trimethylpentane + p-xylene}.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obtain flash point data for binary mixtures of 2,2,4-trimethylpentane with three hydrocarbons (methylcyclohexane, ethylbenzene, and p-xylene),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ounds of the main aromatic hydrocarbon fractions of petroleum. The measured flash points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calculated using the GE models' activity coefficient patterns: the Wilson, the Non-Random Two-Liquid (NRTL), and the UNIversal QUAsiChemical (UNIQUAC) models. The non-ideality of the mixture is also considered. The average absolute devi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lower flash point s is less than 1.99 K, except when Raoult's law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minimum flash point behavior is not observed in any of the three binary systems. This work's predicted results can be applied to design safe petrochemical processes, such as identifying safe storage conditions for non-ideal solutions containing volatile components.

Zn-Flash 코팅 처리가 전기아연도금 시 초고강도 강재의 수소 발생, 유입 및 취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n-Flash Coating on Hydrogen Evolution, Infusion, and Embrittlement of Advanced-High-Strength Steel During Electro-Galvanizing)

  • 방혜린;김상헌;김성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341-350
    • /
    • 2023
  • In the present study, effects of a thin Zn-flash coating on hydrogen evolution, infusion, and embrittlement of advanced high strength steel during electro-galvanizing were examined. The electrochemical permeation technique in conjunction with impedance spectroscopy was employed under applied cathodic polarization. Moreover, a slow-strain rate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loss of elongation (i.e., indicative of hydrogen embrittlement (HE)) and examine fracture surfaces.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a thin Zn-flash coating, even when it was not distributed uniformly, reduced hydrogen evolution rate and substantially impeded infusion of hydrogen into the steel substrate. This was primarily due to a hydrogen overvoltage on Zn coating and trapping of hydrogen at the interface of Zn coating/flash coating/steel substrate. Consequently, the sample with flash coating had a smaller HE index than the sample without flash coa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hin Zn-flash coating could be an effective technical strategy for mitigating HE in advanced high-strength steels.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플래시 파일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Efficient and Reliable Flash File System)

  • 진종원;이태훈;이승환;정기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651-660
    • /
    • 2008
  •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저전력, 빠른 입출력, 충격에 강함 등과 같은 많은 장점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제자리 덮어쓰기가 불가능하고 블록의 지움 횟수 제약이 있으며, 지움 연산을 페이지 단위로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YAFFS와 RFFS와 같은 NAND플래시 파일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YAFFS는 마운트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얻기 위해 전체 플래시 메모리를 읽어야 하기에 마운트 시간이 느려진다. 따라서 빠른 마운트를 위해 필요한 모든 블록의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관리하는 RFFS 파일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메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연산으로 인하여 파일시스템에 부담을 증가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최소한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빠른 부팅 및 복구를 제공 할 수 있는 NAND 플래시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마운트 및 복구 성능 향상과 시스템에 부하가 없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