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ed prostheses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2초

고정성 보철물과 연관된 합병증과 실패에 관한 조사 (Complication and Failure Analysis of Fixed Restorations)

  • 윤미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9
    • /
    • 2011
  • 고정성 보철물의 장기적 예후를 보장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임상에서는 부적절한 제작 및 유지 관리로 인한 다양한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이 관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를 조사하여 보철 진료의 임상적 참고 자료와 연구의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2009년 1월에서 2009년 12월까지 12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치과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 중 기존의 고정성 보철물을 철거하고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고정성 보철물과 지대치에 연관된 임상적 상태를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고정성 보철물의 추정 수명은 10.0년이었고, 평균 장착 기간은 $10.3{\pm}5.5$년이었다. 2. 악골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없었으나 (P>.05), 전후방 위치에서는 전치부 또는 구치부에 비해 전치부와 구치부를 포함하는 보철물의 수명이 가장 길었다 (P<.05). 3. 고정성 보철물의 재료별 수명은 금속관이 가장 길었고 (P<.05), 다른 재료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4. 고정성 보철물의 크기는 보철물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5). 5. 대합치 조건별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자연치와 고정성 보철물, 가철성 국소 의치, 총의치 순으로 길었다 (P<.05). 6. 고정성 보철물의 생물학적 합병증은 치주 질환 (37.5%), 치아 우식증 (19.0%), 그리고 치수 질환 (10.8%) 순이었고, 기계적 문제점은 변연 결함 (18.4%), 보철물 파절(4.2%), 유지력 상실 (3.9%), 치아 파절 (3.6%), 그리고 식편 압입 (2.6%) 순이었다. 보철물을 철거한 후 치대치의 33.1%는 재수복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한국 노인의 치과보철 상태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Q-5D index according to the dental prostheses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 황홍구;이종화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9-2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tain basic data on oral health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the EQ-5D index according to the oral prosthesis status of elderly persons aged 65 years or older in Korea using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In this study, 3,426 elderly person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inclu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tal prostheses status and EQ-5D index in the collected data. Results: Compared to the "complete denture" in oral prosthesis, EQ in case of no dental prostheses or fixed dental prostheses is comparable to removable prosthetics such as "no dental prostheses," "one fixed bridge," and "two or more fixed bridges."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complete denture required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EQ-5D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t necessary" than in "complete denture necessary" in all the elderly persons. Conclusion: The condi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and the need for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complete denture for the elderly's EQ-5D index were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the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emovable dental prostheses. Therefor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d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maintenance.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에 대한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 박찬용;윤미정;허중보;정창모;전영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17-326
    • /
    • 2013
  •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누적 생존율을 구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요소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0년에서 2007년까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관련한 종합적인 임상적 상태를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추정 수명은 11.7년이었고, 고정성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되는 추정 시점은 9.5년이었다. 2. 나이와 성별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3. 치아 발거 원인은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쳤다(P<.05). 치아 우식증의 경우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10.0년, 치주 질환의 경우 9.0년이었다. 4. 악골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전후방 위치에서는 소구치부 보철물의 수명이 11.0년으로 수명이 길었고, 대구치 부위 보철물의 수명이 8.8년으로 짧았다(P<.05). 5.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크기는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6. 대합치 조건별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차이가 없었다(P>.05). 7.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은 식편 압입(40.5%), 도재 파절(25.8%), 나사 풀림(23.6%) 순이었다. 식편 압입은 임플란트 위치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사와 관련된 문제는 임플란트 위치와 보철물 종류에 영향을 받았다(P>.05).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status of fixed prosthesis)

  • 윤미정;전영찬;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9-107
    • /
    • 2009
  • 연구목적: 악구강계의 건강을 심미적, 기능적으로 유지 및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치아의 형태 이상이나 결손 등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 고정성 보철 술식이 보편적으로 시술되어 오고 있다. 환자 스스로의 관리 부족과 더불어 부적절한 기공 과정으로 인해 보철물과 연관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고정성 보철물의 장기간의 임상 상태 조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를 조사하여 보철물의 치료 계획과 생존율을 높이는 guideline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7년 4월에서 9월까지 6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치과 보철과에 내원한 초진 환자 중 고정성 보철물을 장착하여 사용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보철물과 관련한 종합적인 상태를 조사하였다. 결과 및 결론: 1. 전체 고정성 보철물의 추정 수명은 10.0년이었고, 평균 장착 기간은 $8.6{\pm}0.6$년이었다. 2. 부위별 추정 수명은 차이가 없었으나(P>.05), 성공률은 하악과 구치부 보철물에서 높았고(P<.05), 전치-구치 혼합형 보철물에서는 실패율이 높았다(P<.05). 3. 재료별 추정 수명은 금속관이 14.0년으로 가장 길었고, 금합금관(10.0년), 귀금속 도재관(10.0년), 비귀금속 도재관(8.0년) 순이었다(P<.05). 그러나 금속관은 실패율이 높았고, 성공률은 금합금관과 귀금속 도재관에서 높았다. 4. 크기별 추정 수명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5), 성공률은 단일관에서 높았고(P<.05), 실패율은 3-유닛 이상에서 높았다(P<.05). 5. 대합치 조건별 추정 수명은 차이가 없었으나(P>.05), 고정성 및 가철성 국소 의치가 대합치인 경우 실패율이 높았고, 자연치일 경우 성공률이 높았다(P<.05). 6.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은 치아 우식증(23.0%), 치주 질환(19.3%), 치수 질환(16.9%) 순이었고, 기계적 문제점은 변연 결함(28.2%), 보철물 파절(6.7%), 유지력 상실(4.8%) 순이었다. 보철물을 제거한 후 잔존 치질은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30.1%가 수복 불가능한 상태였다.

포스트로 수복한 근관 치료된 치아의 임상적 상태에 대한 평가 (Complication and Failure Analysis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Post and Cores)

  • 윤미정;김무현;정창모;허중보;전영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359-370
    • /
    • 2012
  • 근관 치료가 시행된 치아의 상당수는 많은 치질의 상실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치수관 내에 포스트를 세워 유지를 얻고 코어를 제작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치료되고 있다. 포스트와 코어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의 장기적 예후를 보장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는 다양한 합병증이 관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 치료를 받고 포스트와 코어를 시행한 치아에 제작된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를 조사하여 보철 진료의 임상적 참고 자료와 연구의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990년에서 2005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치과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 중 근관 치료 후 포스트와 코어를 시행하고 고정성 보철물을 치료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고정성 보철물에 연관된 임상적 상태를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고정성 보철물의 추정 수명은 11.1년이었고, 평균 장착 기간은 $9.7{\pm}3.4$년이었다. 2. 나이와 성별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5). 3. 악골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05), 전후방 위치에서는 전치부에서 수명이 가장 길었고 구치부, 견치를 포함하는 보철물 순으로 수명이 짧았다 (P<.05). 4. 포스트의 재료 및 방법과 고정성 보철물의 종류는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P>.05), 보철물의 재료는 수명에 영향을 미쳤다(P<.05). 5. 고정성 보철물의 크기는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5). 6. 대합치 조건별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차이가 없었다 (P>.05). 7.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은 치아 우식증 (34.5%), 치주 질환 (25.9%), 치아 파절 (15.5%), 치수 질환 (12.1%) 순이었다. 보철물을 제거한 후 잔존 치질은 51.9%가 수복 불가능한 상태였다.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for pontic site development in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 Choi, Sunyoung;Yeo, In-Sung;Kim, Sung-Hun;Lee, Jai-Bong;Cheong, Chan Wook;Han, Jung-Su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4호
    • /
    • pp.152-155
    • /
    • 2015
  • Purpose: This case report discusses the effect of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on preserving the periodontal tissue at the pontic site of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aesthetic zone. Methods: Teeth with less than ideal structural support for fixed retainer abutments were decoronated at the crestal bone level. After soft tissue closure, the final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placed with the pontics over the submerged root area. Radiographic and clinical observations at the pontic sites were documented. Results: The submerged roots at the pontic sites preserved the surrounding periodontium without any periapical pathology. The gingival contour at the pontic site was maintained in harmony with those of the adjacent teeth, as well as the overall form of the arch.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report indicate that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pontic site development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especially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자연치와 임플란트 고정성보철에서 PAEK소재의 적용 (Dental application of Polyaryletherketone for fixed dental prostheses)

  • 이두형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3호
    • /
    • pp.152-158
    • /
    • 2018
  • Polyaryletherketone (PAEK) is recently introduced in dentistry. The polymer has superior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mpared to previous dental materials. PAEK has been explored for lots of applications for clinical dentistry. The prostheses can be made by the injection molding or milling techniques. Recent studies focus on improving the bioactivity of PAEK and expanding the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basic features, chemical structure and various clinical applications in fixed dental prostheses. Further research and clinical trial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 usability of PAEK in the routine practice.

  • PDF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한 다양한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Fixed prostheses fabricated by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system: case report)

  • 백주원;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246-254
    • /
    • 2016
  •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LS) 방식은 3D 프린팅 중 한 방식으로, 재료를 쌓아가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sintering하는 방식이다. 이는 주조 방식에서 문제되는 결손과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삭 가공 방식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복잡한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DMLS 방식을 이용하여 지대치 간 길이가 긴 고정성 보철물, 포스트 등 다양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수복하였고, 주기적인 관찰 결과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전자처리 스페클 패턴 간섭법(ESPI)을 이용한 3-유닛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형특성 분석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3-Unit Fixed Partial Dentures by Using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 강후원;이철민;양승필;김희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9-56
    • /
    • 2013
  • Purpos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duced by non-destructive stresses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PZT) were analyzed for 3-unit fixed partial dentures manufactured PFM, Everest(CAD/CAM) and Zirkonzahn(copy milling, MAD/MAM) by electron speckle pattern interferometery(ESPI). Methods: The ESPI analysis after loading the restoration with PZT by applying electric voltage of 900mV at the points of 10 mm above the base of the prostheses. Results: PFM and All-Ceramic Everest prostheses showed about 0.1 ${\mu}m$ while that of All- Ceramic Zirkonzahn prostheses showed 0.085 ${\mu}m$, demonstrating that Zirkonzahn displaced less. For PFM and All-Ceramic Zirkonzahn prostheses, the displacements were large at just below the loading point, while generalize displacement was shown over the loading point and weak connector areas for All-Ceramic Everest prostheses.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duced by non-destructive stresses using PZT analyzed by ESPI were similar to the fracture strengths evaluat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엇갈린 교합 환자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Kennedy class IV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and maxillary Kennedy class IV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case report)

  • 강석형;한중석;김성훈;윤형인;여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2호
    • /
    • pp.842-849
    • /
    • 2017
  • The term, 'crossed occlusion' implies clinical situation in which the residual teeth in one arch have no contact with those in the antagonistic arch,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he treatment goal of this pathologic condition is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and stabilization of abnormal mandibular position. Previously, konus removable prostheses or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were suggested to solve crossed occlusion. Nowadays,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for definitive suppor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case report, a 65 years old female patient had a crossed occlusion, in which the maxillary posterior residual teeth and mandibular anterior residual teeth cross. Interim removable and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used to confirm the proper vertical and horizontal jaw relation. After that, the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restoration-driven implant placement. The maxillary an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Kennedy class IV removable prosthesis, considering the patient's economic status. The patient's jaw position and prostheses have been well maintained at the follow-up after 6 months of definitive restoration. The antero-posterior crossed occlusion problems appeared to be effectively solved with the combination of removable in one arch a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n the 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