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species composition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7초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한 일산호수 내 큰입배스의 생육상태 및 수생동물의 다양성 간접 평가 (Indirect Evaluation of Aquatic Animal Diversity in Ilsan Lak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ing Condition and Stomach Content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 김이태;박재로;김원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953-959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 인공호수에서 서식하는 큰입배스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 다양성에 따른 성장 특성과 수생동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상호수는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시 인공호수 중 하나인 일산호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큰입배스의 길이와 무게의 관계에 따라 Zone III(생태 구역)에서의 체중증가속도가 다른 Zone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 총 16종 및 9종이 각각 Zone III 및 Zone I, II(인공 구역)에서 관찰되어 Zone III의 어류의 종다양성이 Zone I, II에 비해 높았다. 상대중요성지수(IRI)는 Zone III에서 Zone I, II에 비해 더 다양하였으며, 공복율을 고려할 때 먹이 스트레스는 Zone I, II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군집분석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가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와 밀어 Rhinogobius brunneus는 Zone III에서만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Zone I, II에서 나타난 먹이종의 낮은 다양성을 고려할 때, 소금쟁이류 Heteroptera와 같은 절지동물문은 Zone I, II에서 Zone III에 비해 큰입배스의 위 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큰입배스의 위 내용물 분석과 같은 간접적인 평가에 의해 수생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호 내의 염도에 따른 어류분포 (Fish Distribution and Salinity in the Saemangeum Reservoir)

  • 박상현;이진웅;김정희;백승호;윤주덕;최기룡;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11-418
    • /
    • 2013
  • 새만금호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통해 2006년에 완공된 인공 호로 현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만금호 내의 염도 별 어류분포를 확인하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는 새만금호의 어류분포 변화 예측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어류조사는 새만금 호내 10지점에 대해 총 4회에 걸쳐(2012년 2월~10월) 어류군집과 염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지점에서 총 34과 71종이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Thryssa kammalensis (16.1%), 아우점종은 Konosirus punctatus (12.8%)로 새만금호내 해양성 어류의 우점현상을 나타냈다.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류는 4개(A=St. 1, 6, B=St. 2, 3, 7, 8, C=St. 4, 9, 10, D=St. 5)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Cluster 구분에 따른 지점별 평균 염도는 A=0.2 psu, B=14.2 psu, C=19.5 psu, D=23.5 psu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별 1차 담수어, 주연어, 해산어의 비율이 차이가 나타나 4개 그룹의 어류 분포는 염도에 따라 종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도 귀덕 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조성 및 변동 (Composition and Catch Variation of Fis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wideuk, Jeju Island)

  • 차병열;김대권;윤장택;김병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8-35
    • /
    • 2008
  • 제주도 귀덕 정치망 어장의 유영생물 조성과 변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어업이 행해지는 동안 매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 동안 총어종수 21종과 총어획량 45,473.2 kg의 유영생물이 어획되었으며, 이중 어류가 17종 34,285.4 kg, 두족류가 4종 11,187.8 kg이었다. 2. 어획된 유영생물 중에는 전갱이와 독가시치가 가장 많은 비율로 전체 어획량의 44.3%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흰오징어, 잿방어, 방어, 화살오징어, 부시리 등이 54.4%이었다. 3. 주 우점어종인 전갱이와 독가시치는 어기동안 대부분 어획되었으나, 이중 전갱이는 수온이 높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많이 어획된 반면, 독가시치는 여름철에 많이 어획되었다. 4. 귀덕 정치망의 어획량은 봄철에서 여름철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일 변동 폭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철 전후의 많은 어획량은 우점종인 전갱이와 독가시치, 잿방어, 화살오징어, 흰오징어 등의 어장가입과 관련 있었다. 5. 또한, 어기가 시작되는 봄철에는 방어와 흰오징어가 우점하였다.

Preliminary Studies on the Effects of Dietary Genetically Modified Soya and Corn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an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Pham, Minh Anh;Nam, Yoon-Kwon;Kim, Sung-Hwean;Kim, Dong-Soo;Cho, Sung-Hwoan;Kim, Bong-Seok;Lee, Sang-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63-70
    • /
    • 2010
  • Two feed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enetically modified (GM) soya and com on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For each fish species, four isonitrogenous (50% crude protein) and isocaloric (4.1 kcal/g) diets (designated as nGM soya, GM soya, nGM com and GM com) were formulated to contain 20% non-GM (nGM) and GM soya and com. Thirty olive flounder (initial body weight, 15.4${\pm}$0.4 g) and fifty rockfish (initial body weight, 3.1${\pm}$0.02 g) were distributed in each 400 L tank (200 L water) in a flow through system.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o triplicate groups of fish to visual satiation, twice a day (9:00 hand 17:00 h) for 6 weeks. Growth performance was measured every three weeks. No effects of GM feedstuffs on survival were observed. Dietary inclusion of GM feedstuffs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fishes, except for rockfish fed GM com. Rockfish fed the GM com diet showed higher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daily protein intake than did fish fed the nGM com die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inal body weight between the dietary treatments. Condition factor, hepatosomatic index, visceral somatic index and body composition were not altered by the inclusion of GM feedstuff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inclusion of GM soya and com could have no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juvenile flounder and rockfish. Lower weight gain and feed intake in flounder and rock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20% soya were likely due to anti-nutritional factors, rather than transgenic factors in the feedstuffs. Dietary inclusion of GM soya and com at the level tested did not alter the body composition of fishes. Further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M feedstuffs on health cond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fishes, as well as those of residue of transgenic fragments in ambient environments and in animals are necessary for safe use of the ingredients in aquaculture.

마산만에 출현하는 난자치어 종조성과 출현량의 시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s of Ichthyoplankton in Masan Bay)

  • 곽석남;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2-49
    • /
    • 2014
  • 조사기간 동안 총 4종의 부유성 어란과 24종의 자치어가 마산만에서 채집되었다. 어란의 우점종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 어란이었다. 그러나 자치어는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돛양태류 (Repomucenus sp.), Scartella cristata, 망둥어과(Gobiidae sp.)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들 7종은 전체 출현개체수의 78.5%를 차지하였다. 어란과 자치어는 시공간적으로 큰 변동을 보였다. 어란과 자치어의 현존량은 2007년 7월에 가장 높았으며, 2007년 2월에 가장 낮았다. 그리고 난자치어는 다른 정점에 비해 정점 5에서 현존량이 높았다. 어란과 자치어 현존량의 시간적 변화는 수온에 영향을 받았다.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는 수심, 지형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 요인에 따라 좀 더 얕은 만 안쪽 정점과 깊은 만 외곽 정점 간 군집 차이를 보였다.

열린 하구인 섬진강 하구 및 광양만 연안 어류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 of Fish Communities in Open Estuary, Seomjin River Estuary and Gwangyang Bay Coast)

  • 이선호;김원석;박재원;조현빈;이완옥;유태식;김효겸;지창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2호
    • /
    • pp.132-144
    • /
    • 2022
  • 강-하구-해양 연속체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적이고 역동적인 수중 생태계 중 하나이다. 어류는 생활사, 섭식 습관, 생태적 지위가 서로 다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다양한 시공간적 규모에서 환경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지표 생물이다.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3회에 걸쳐 섬진강-섬진강 하구-광양만 연안 연속체 내에서 조사된 어류는 멸종위기종 2종을 포함하여 31과 49종으로 나타났다. Bray-Curtis 유사도에 따라 2개의 그룹(1, 2그룹)과 두 그룹 내 속하지 않는 2개의 지점(3, 4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1그룹은 담수역 지점과 기수역 지점들이 주로 구성되었으며, 2그룹은 광양만 연안역 지점들인 ES4~8로만 구성되었다. 공간적인 변수와 시간적인 변수를 이용하여 ANOSIM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섬진강-광양만 연속체의 어류 군집은 계절적인 요인(ANOSIM R=0.273, P=0.002)의 차이보다 공간적인 요인(ANOSIM R=0.398, P=0.001)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다. 구분된 그룹들 중에서도 특히 1그룹과 2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ANOSIM R=0.556, P=0.001), 보구치(9.4%), 날개망둑(6.9%), 전어(5.9%)가 이 두 그룹의 차이에 크게 기여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섬진강-광양만 생태계 내 분포하는 어류상은 공간적으로 크게 구분되었으며, 종수와 개체수는 계절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강-하구-해양 연속체의 연속적인 환경 내에서 분포하는 어류 군집의 변화, 주요어종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해 트롤 조사에서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trawl survey in the East Sea)

  • 윤상철;차형기;이성일;장대수;황선재;양재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4호
    • /
    • pp.323-344
    • /
    • 2008
  • To examine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and biomass of demersal organisms in the East Sea, bottom trawl survey was conducted at 7 sea areas from 2005 to 2007. A total of 107 species were collected and were composed of 54 fish species, 16 crustacea, and 37 mollusks in the East Sea from 2005 to 2007. Yearly abundance per area which caught by trawl survey in the East Sea from 2005 to 2007 ranged from a high of $292,234inds./km^2$ in 2005 to a low of $192,092inds./km^2$ in 2006. The abundance by sea area showed a peak in 76 sea area, and the lowest in 63 sea area. The abundance per area by season showed a peak in summer, and the lowest in spring.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bundance were Clupea pallasii, Neocrangon communis, Chionoecetes opilio. Yearly biomass per area which caught by trawl survey in the East Sea from 2005 to 2007 ranged from a high of $10,322kg/km^2$ in 2006 to a low of $7,096kg/km^2$ in 2005.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Chionoecetes opilio, Clupea pallasii, Dasycottus setiger. The biomass by sea area also showed a peak in 76 sea area, and the lowest in 93 sea area. The abundance by season also showed a peak in summer, and the lowest in spring.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demersal organisms community of 76 sea area showed a large difference with other sea area, and that of summer showed a large difference with other season.

한국 연근해 생태계의 잠재 재생산 지수 (Fish Reproduction Potential Indices in the Coastal and Offshore Ecosystems in Korea)

  • 이선길;이재봉;장창익;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0
    • /
    • 2007
  • We developed an ecosystem indicator (EI) for the coastal and offshore areas of Korean waters. One of the major scientific challenges of this undertaking was to translate broad policy statements for ecosystem-based fisheries management (EBFM) into practical terms. Fish reproduction potential (FRP) was defined as an EI to describe the reproductive probability of adult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The FRP was estimated as the ratio of adult fish composition to total catch, catches (in metric tons) by species and by ecosystem, and fishery effort (in horse power per metric ton). The FRP indices of the East/japan Sea Ecosystem (EJSE), Yellow Sea Ecosystem (YSE), and East China Sea Ecosystem (ECSE) began to decrease after the mid-1980s, and the current indices have decreased further, at 0.63 (EJSE), 1.22 (YSE), and 0.68 (ECSE) index points compared to the indices of 1975, when similar catch amounts were recorded. Lower FRPs in the Korean marine ecosystems were the result of higher proportion of immature fisheries resources in the total catch. Because this kind of ecosystem-level indicator is thought to reflect scientific approaches to EBFM and to provide an important tool for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marine ecosystems with respect to both quantity and quality, more EIs should be developed for Korean waters.

강원도 화천군 수달(Lutra lutra) 서식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in Otter (Lutra lutra) Home Range of Hwacheon, Gangwon-do)

  • 서형수;신영섭;이경은;김윤미;전미나;남택우;한성용;정연숙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66-73
    • /
    • 2014
  • 수달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이 수달의 서식지 선택 요인 중의 하나인지를 구명하고자 연구하였다. 강원도 화천군의 북한강 본류와 지류 지천에서 수달흔적 발견지와 미발견지를 조사하였다. 수계의 식생형은 세 유형(단경초지형, 장경초지형, 관목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단경초지는 연수위변동이 큰 파로호와 북한강 상류에 분포하며,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하늘지기 (Fimbristylis dichotoma), 좀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같은 일년생식물이 매우 우점한다. 관목지는 지촌천의 하류와 파로호 하부의 북한강 본류에 분포하며, 버드나무 (Salix koreensis)가 절대 우점하였다. 장경초지는 지류 하천에서 흔하며 거의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순군락이다. 세 유형의 식생에서 수달의 흔적은 모두 발견되었으나 수달 미발견지는 모두 장경초지이었으며, 수달 발견지와 미발견지 간에 장경초지 식생의 상관이나 종조성은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수달이 서식지 선택 시 특정한 식생형을 선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수달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장경초지는 지류의 상류로써 어류풍부도가 낮은 점이 공통적이다. 수달의 서식지 선택에 먹이인 어류의 풍부성이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 풍부도가 높고 사람의 영향이 적은 평화의 댐 지역이 화천군의 수달분포에 최적지인 것으로 보인다.

산지 및 성장조건별 참돔, 조피볼락, 넙치의 정미성분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Taste Compounds of Red Sea Bream, Rockfish and Flounders Differing in the Localities and Growing Conditions)

  • 김희연;신재욱;박희옥;최성희;장영미;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63
    • /
    • 2000
  • 본 조사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주요 해산어로서 뿐만 아니라 식품원으로서, 또한 고급 경제 어종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참돔, 조피볼락 및 넙치 등을 대상으로 동원한 지역에서 어적되는 친연산과 양식산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정미성분에서 구명하고자 충무와 완도 2개 지역의 시료어를 채취하여 일반성분, 핵산관련물질 함량, 구성아미노산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지별로는 어느 시료에서도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성장보건별로 보아 전체적으로 양식산 어류가 천연산어류에 비하여 조지방 함량은 높았고 수분 함량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핵산관련 물질 함량 중 ADP, AMP, IMP 및 inosine 등이 검출되고 ATP 및 hypoxanthi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산지별, 성장조전별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분석된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구성아미노산은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분석된 시료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proline, leucine 등의 함량이 많았으며 cysteine,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적었다. 그 외의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참돔과 조피볼락은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넙치는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 시료에서 taurine이 $39%{\sim}6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hydroxyproline, lysine, alanine, glycine둥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천연산에 비하여 양식산에 유기산 함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