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past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9초

원주천의 어류군집을 이용한 생태적 건강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by using Fish Communities in the Wonju Stream, Korea)

  • 박현경;최준길;원경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84-693
    • /
    • 2017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원주천의 현재의 어류상을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통하여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9과 27종 5,201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우점하고, 돌고기(Pungtungia herzi)가 아우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총 8종으로 고유종 빈도는 16.54%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72 (${\pm}0.10$), 다양도지수는 1.37 (${\pm}0.32$), 균등도지수 0.61 (${\pm}0.13$), 풍부도지수 1.70 (${\pm}0.23$)으로 분석되었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중간종의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잡식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였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지수(QHEI) 분석결과 평균 121.2(${\pm}23.4$)로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나타냈으며, 어류평가지수(FAI)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A~B등급으로 하천건강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AI와 다양한 항목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QHEI, 잡식종, 충식종, 중간종, 민감종, 우점도,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는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생활(生活) 및 의식조사(意識調査)에 관한 연구(硏究) -III. 장수자(長壽者)의 과거(過去) 식생활(食生活) 특성(特性)- (Investigation on Daily Life and Consciousness of Longevous People in Korea -III. On the Dietary Life and Its Habit of Longevous People in the Past-)

  • 최진호;변재형;임채환;양정순;김수현;김정한;이병호;우순임;최선남;변대석;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63
    • /
    • 1986
  •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생활(生活) 및 의식조사(意識調査)에 관한 연구(硏究) 일환(一環)으로,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과거(過去) 식생활(食生活)에 대해서 조사(調査),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장수자(長壽者)의 $40{\sim}60$세경의 주식(主食)에 대한 기호도(嗜好度)를 비교하여 보면 ${\ulcorner}$보리 섞인 밥${\lrcorner}$이 49.9%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ulcorner}$쌀 밥${\lrcorner}$(47.0%)이었다. 남녀별(男女別)로 보면 남자(男子)는 ${\ulcorner}$보리 섞인 밥${\lrcorner}$(56.2%)을 ${\ulcorner}$쌀밥${\lrcorner}$(41.3%)보다 좋아한 반면 여자(女子)는 이와 반대로 ${\ulcorner}$쌀 밥${\lrcorner}$(49.6%)을 ${\ulcorner}$보리 섞인 밥${\lrcorner}$(46.9%)보다 약간 더 좋아하는 경향이었다. 2. 장수자(長壽者)의 $40{\sim}60$세경의 음식 맛의 기호도(嗜好度)는 ${\ulcorner}$심심한 것${\lrcorner}$${\ulcorner}$담백한 것${\lrcorner}$이 각각 40.6%로서 가장 높았으며, 일반적으로 장수자들은 ${\ulcorner}$짠 것${\lrcorner}$(24.5%)보다는 ${\ulcorner}$심심한 것${\lrcorner}$(40.6%)을, 또 ${\ulcorner}$기름기가 많은 것${\lrcorner}$(9.8%)보다는 ${\ulcorner}$담백한 것${\lrcorner}$(40.6%)을 더 좋아했음을 알 수 있었다. 3. 장수자(長壽者)의 $40{\sim}60$세경의 동물성단백질(動物性蛋白質)(육류(肉類)및 어류(魚類)의 섭취상태는 ${\ulcorner}$때때로${\lrcorner}$섭취하는 경우가 55.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ulcorner}$거의 매일 먹는다${\lrcorner}$(31.9%)의 순이었다. 따라서 장수자의 대부분(87.3%)이 매일 또는 때때로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4. 장수자(長壽者)의 과거(過去)와 현재(現在)의 중요 식품(食品)의 섭취상태(攝取狀態)를 주(週) $4{\sim}6$회(回)이상 섭취(攝取)로 비교(比較)하여 보면 육류(肉類), 어류(魚類), 난류(卵類) 및 두유제품(豆類製品)은 50.4%, 67.5%, 우유(牛乳) 및 유제품(乳製品)은 26.6%, 51.5%, 야채류(野菜類)는89.9%, 81.0%, 지방질(脂肪質) 식품(食品)은 58.9%, 64.0%, 해초류(海醮類)는 57.0%, 62.9%를 각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주복, Takifugu rubripes의 성성숙과 호르몬 처리에 의한 인공채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onadal Maturation and Egg-Stripping by Hormone Treatments of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 양상근;이영돈;변충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89-205
    • /
    • 1994
  •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수정란 확보를 목적으로 실내 수조에서 사육한 1990년산(3년어), 1991년산(2년어)를 인공 사육 조건하에서 성장에 따른 월별 생식소숙도지수 (GSI)와 간숙도지수(HSI)를 조사하고, 1988년산(5년어)과 1990년산(3년어)을 대상으로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HCG)을 처리하여 배란을 유도한 후 채란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3년 5월까지 성장은 2년어는 체장과 체중이 각각 $30.72\pm1.35cm,\;1,048\pm228g$였고, 3년어는 자각 $36.02\pm1.17cm,\;1,402\pm66g$이었다. 그리고 시험 기간중 양식 자주복의 체장(L)과 체중(W)과의 상관 관계는 2년어는 W=\;1.7892L^{3.1524}\times10^{-5}$ (r=0.9436)였고, 3년어는 $W=3.2849L^{3.6099}\times10{-6}$ (r=0.9070)였다. GSI의 변화는 2년어 암컷은 시험기간 중에 $0.23\pm0.12$에서 $0.74\pm0.08$의 범위였지만, 수컷에서는 11월까지는 변화폭이 적었지만 그 후 증가하여 4월에 최고 값인 $8.69\pm5.09$을 나타났다. 3년어 암컷은 4월에 8.05\pm5.58$, 수컷에서는 5월에 $12.65\pm4.60$로 최고 값을 나타냈다. HSI의 변화에 있어서 3년어는 GSI와 정상관적인 변화를 보이나 2년어는 거의 상관관계 없이 나타난다. 수컷 2, 3년어는 기능적 성성숙에 도달하나, 암컷에 있어서 2년어가 $230{\mu}m$ 전후의 초기 성숙 단계까지 발달하여 그 후 퇴행 변성되고, 3년어는 난경 $900{\mu}m$까지 발달하여 완숙란에 도달하고 있다. HCG 처리후 채란까지 소요시간은 수온 $16.3\~17.8^{\circ}C$에서 5년어(500 IU/kg, BW)는 각각 139시간, 142시간, 3년어(1,000IU/kg, BW)는 114시간이었다. 1마리당 채란량은 5년어가 각각 650g, 400g이었고, 3년어에서는 610g이었으며, 수정율은 각각 $98.0\%,\;97.4\%$$96.5\%$였다. 호르몬 처리에 의한 채란은 성공적이었고, 수정이후 정상적인 부화자어로 이행이 확실하였다.

  • PDF

부산, 경남 일부 지역 주민들의 생선 섭취량과 혈중 수은 농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Fish Consumption and Blood Mercury Levels in Residen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nam Province)

  • 김찬우;김영욱;채창호;손준석;김자현;박형욱;강윤식;김장락;홍영습;김대선;정백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23-232
    • /
    • 2012
  • 본 연구는 직업적으로 수은에 노출되지 않는 일반 인구 군에서 생선 섭취량과 혈중 수은 농도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2개 동과 남해군 3개 마을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484(남자: 134명, 여자: 350명)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09년 6월 말부터 7월초까지 연구 참여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훈련된 조사자가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주요 내용은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업, 현재 흡연 여부, 현재 음주 여부, 일주일간 생선 섭취량, 아말감 치료, 거주지역 등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성별, 나이, 결혼상태, 현재 음주 여부, 일주일간의 생선 섭취량, 그리고 거주지역이 혈중 수은 농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혈중 수은 농도를 종속 변수로 한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일주일간의 생선 섭취량, 그리고 거주지역이 혈중 수은 농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생선 섭취량과 혈중 수은 농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 앞으로 혈중 수은 농도와 건강 장애간의 관련성을 비롯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생선 섭취와 연관된 수은 노출 기준, 실제적인 생선 내 수은 잔류 기준, 생선 섭취빈도와 생선 섭취량에 관한 여러 가지 권고안들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하천 연속성 단절이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밀양 단장천을 중심으로 (The Impact on Fish Assemblage by the River Connectivity Fragmentation: Case Study of the Danjang Stream, South Korea)

  • 허승빈;김강희;홍동현;이현식;김구연;주기재;조현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31-243
    • /
    • 2022
  • 인위적 교란은 담수 생태계에서 어류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건설이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장천과 동천 내 총 8개 지점에서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어류조사를 총 5회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10과 23종 78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로 상대풍부도(Relative Abundance)는 50.89%로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와 UPGMA 결과, St. 3은 공사로 인해 정수역이 형성되고 하류 지점과 하상이 유사해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생활상에 따라 어류를 저서성(demersal)과 중층성(benthopelagic)으로 나누었을 때, 중층성 어류인 참갈겨니의 건강도가 공사지점 기준 상류지점보다 하류지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저서성 어류의 상대밀도는 과거에 비해 상류지점, 하류지점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 건설이 어류의 서식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서성 어류의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사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 미소서식처 파괴와 같은 교란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저질상태, 유속 등을 고려한 오탁방지막과 침사지 설치와 같은 보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활용한 어류 가두리 양식장 내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 (Origin and Source Appointment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 Marine Fish Cage Farms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 고영신;이대인;김청숙;심보람;김형철;이원찬;이동헌
    • 생태와환경
    • /
    • 제55권2호
    • /
    • pp.99-1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양식장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를 위해 어류(숭어) 가두리 양식장이 이동된 후 수층 및 퇴적물 내 물리/화학적 인자들의 변화와 함께 안정 동위원소 비의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과거 양식장 퇴적물 내 축적된 유기물의 거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어장환경평가 기법을 검토하였다. 연구정점(OFF 및 control)에서 입자성 및 침강물질은 정점 간 차이보다는 계절적 강수량 변동에 따라 차별적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퇴적물 내 분석된 δ15N 결과는 수층 기원 질소원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거 외부기원의 유기물 (예: 어류 배설물)의 다량 유입이 주된 요인이라 판단된다. 실제로 과거 어류 가두리 양식활동으로 인해 OFF 정점 내 어류 배설물의 우점적 기여(>50%)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정점 내 분해되지 않은 어장 양식기인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수준으로 존재할 것이라 판단되며, 어장 회복력의 체계적인 진단을 위한 중요한 고려요인이라 판단된다.

The Comparison of Two Strains of Fibrocapsa japonica (Raphidophyceae) in New Zealand and Japan

  • Cho Eun Seob;Rhodes Lesley L.;Kim Hak G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58-65
    • /
    • 1999
  • Fibrocapsa japonica (Raphidophyceae) is regarded as a harmful algal bloom organism in Japanese waters, where it has been linked to fish kills. Fibrocapsa is a common species in New Zealand coastal waters, particularly in the Hauraki Gulf, where it has regularly bloomed in the spring under E1 Nino climate conditions for the past six years. The New Zealand isolate had 1.4 times more total polyunsaturated acids than the Japanese isolate under the same growth conditions, suggesting that eicosapentaenoic acid in particular coold be used as a discriminating chemotaxonomic marker. The molecular probes tested showed no differential binding of the raphidophytes to lectins, but oligonucleotide probes targeted F. japonica ribosomal RNA bound specifically to both isolates. Neither strain was toxic in mouse or neuroblastoma bioassay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New Zealand F. japonica isolates investigated to date produce ichthyotoxins.

  • PDF

First Record of the Pacific Fanfish Pteraclis aesticola (Jordan and Snyder, 1901) in the Tropical Eastern Pacific

  • Aguero, Jose De La Cruz;Gomez, Victor Manuel Cot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161-164
    • /
    • 2008
  • One specimen of Pteraclis aesticola was collected off San Jose del Cabo, Baja California Sur, Mexico ($22^{\circ}54'N$, $109^{\circ}45'W$), in March 2007. Present record is the first reported occurrence of the species in the Tropical Eastern Pacific biogeographic region (Gulf of California to southern Ecuadorian waters). Its large fan-like anal and dorsal fins and its counts of fin rays and vertebrae can distinguish the Pacific fanfish from the other species in the genus. This fish may have not yet been recorded in the region because its presence has been overlooked in the past because of rarity and lack of commercial value.

고품질 수산가공품유통을 위한 슈퍼칠링과 패키징기술에 대한 고찰 (Superchilling and Packaging Technology for High-quality Perishable Food Distribution: A Review)

  • 양수정;최석;김종경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9-165
    • /
    • 2018
  • This review outlines the past and curr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trends on the superchilling technic along with packaging technology such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 superchilling technic combined with appropriate packaging technologies such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is beneficial and promising for fish and meat products in terms of freshness and shelf-life extension although there are many barriers for commercialization such as temperature control throughout supply chain.

Pesticides with Reduced Risk Characteristics

  • Racke, Kenneth D.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27-128
    • /
    • 2003
  • During the past decade a reduced risk pesticide registration program has been in operation in the United States (Racke, 1992).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reduced risk pesticide registration program in the U.S. is to give registration priority and accelerated approval to products with the most favorable characteristics as compared to currently available alternatives (EPA, 1997). The overall objective is to accelerate the introduction of these types of products so that marketplace choices rather than increased regulatory restrictions can lead to replacement of older products and technologies with newer ones. Under the program, pesticides classified as “reduced risk” products must meet several or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as compared with currently available alternatives: $\textbullet$ Reduced risks to human health $\textbullet$ Reduced risks to non-target organisms (e.g., fish, birds) $\textbullet$ Reduced potential for contamina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water, air, soil) $\textbullet$ Broadened adop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 PDF